영국 해병대

 

[image]
The Corps of Royal Marines

'''Per Mare, Per Terram[1]


바다를 통해, 땅을 통해'''

1. 개요
2. 역사
3. 조직
4. 코만도 대대 편제
5. 관련 문서


1. 개요


영국군해병대로, 영국 해군(Royal Navy) 소속의 수륙양용 정예 전투부대다.

2. 역사


영국에서 해병대와 유사한 최초 부대의 기원을 찾으면 1664년에 영국 육군 예하로 창설된 '요크와 알바니 공작의 해양 보병연대'(English Army Duke of York and Albany's maritime regiment of Foot)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해군 소속의 보병부대인 해병대는 1755년에 해군 예하의 '폐하의 해병대'(His Majesty's Marine Forces)란 이름으로 창설되었다.[2] 1802년 영국 해병대(Royal Marines, RM)로 개칭되었다.
1804년에는 영국 해병대와 별도의 조직으로 해군 함포를 운영하는 영국 해병대 포병(Royal Marines Artillery, RMA)이 창설되었다. 초기 영국 해병대 포병은 육군 포병 장교와 육군 포병으로 구성되어 해군에 파견된 부대로 해군에 배속되어 해군 함포를 운영했지만 해군의 명령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해군 함포를 운영했다. 영국 해병대 포병(RMA)은 육군 포병이었기 때문에 육군 포병의 청색 군복을 착용하여 파란 해병대(Blue Marine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 해병대(RM)는 1664년부터 육군 보병의 붉은색 군복을 착용하여 빨간 해병대(Red Marine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해군 수병들은 붉은색 군복을 입고 함정에 탑승한 이들을 바닷가재라며 놀리곤 했다. 영국 해병대는 함정을 경비하고 수병들의 규율을 유지하며, 함상 전투에서 적함 승무원과 전투를 벌이는 전투와 경비 두가지 임무를 가지고 있었다. 1855년 영국 해병대(RM)는 영국 해병대 경보병(Royal Marines Light Infantry, RMLI)으로 개칭되었다. 1862년에는 영국 해병 경보병(Royal Marine Light Infantry, RMLI)으로 개칭되었다.
영국 해군은 1850년 이후부터 함상전투를 거의 하지 않게 되어, 해군여단의 영국 해병 경보병(RMLI)은 지상전투 임무로 전환되었다.
미국 독립전쟁(1775~1783), 나폴레옹 전쟁(1803~1815), 크림 전쟁(1853~1856), 제1, 2차 아편 전쟁((1839~1842, 1856~1860)), 의화단 운동(1899~1901) 등 18, 19세기에 벌어진 영국의 주요 전쟁에 참전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 제1차 세계 대전에서도 안트워프 방어전, 갈리폴리 전투, 쩨브뤼헤 전투 등에 투입되어 활약하였다.
1923년 6월 22일 영국 해병 포병(RMA)과 영국 해병 경보병(RMLI)이 통합되어 영국 해병대(Royal Marines)로 개칭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영국 해병 포병(RMA)이 육군 포병으로 복귀하고, 육군 포병이 영국 해병대에 포병 지원을 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영국 해병 포병(RMA)의 청색 군복은 현재 영국 해병대의 예복으로 남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위한 해병사단과 해군기지 경비를 위한 기동 해군기지 방어기구(Mobile Naval Base Defence Organisations)를 가지고 있었다. 영국 육군 코만도의 활약에 고무된 군 수뇌부는 해병대에도 코만도 부대를 만들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1942년 해병사단에서 지원자를 뽑아 육군 코만도 훈련소에 파견 교육을 보내 2개 해병 코만도 부대를 창설하고, 이후부터는 해병사단의 예하 대대를 대대 단위로 입소시켜 해병사단 내 9개 해병대대가 모두 해병 코만도 부대로 개편되었다. 해병대 코만도 부대는 4개 육군 코만도 여단에 배속되어 2차 세계대전 종전시까지 함께 각종 작전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영국의 군축 정책에 의해 영국 육군 코만도 부대의 해체가 결정되자, 제1~4 육군 코만도 여단 중 육군 제3코만도 여단 본부가 해병대로 이관되어 해병대 제3코만도 여단이 되었고, 나머지 3개 육군 코만도 여단은 해체되었다. 육군 코만도 여단에 배속되었던 9개 해병 코만도 부대 중 6개 해병 코만도 부대가 해체되었고, 나머지 3개 해병 코만도 부대는 해병대 제3코만도 여단에 예속되었다. 육군 코만도 여단에 있던 육군 코만도 부대들은 모두 해체되었다.
참고로 영국 해병대도 6.25 전쟁에 참전을 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장진호 전투에서 미국 해병대와 더불어 전투에 참여했다. 다만, 특수부대 성격을 가진 영국 해병대 코만도가 미 해병 1사단 예하에서 보병으로 소진되는 바람에 한국에는 코만도 부대의 소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파병 1진 이후 추가 파병이 없어서 1년 동안만 파병되었다.

3. 조직


영국 해병대 사령부의 직할부대들로는 코만도 훈련센터, 제1강습상륙단, 군악대 등이 있다. 사령관(Commandant General Royal Marines)은 소장이다. 영국 해병대의 주력 전투부대는 제3해병코만도 여단이다. 여단장은 준장이다. 이 코만도 여단은 5개의 해병 코만도 대대와 해병 기갑지원단, 군수연대, 강습전대, 육군 포병대대, 육군 공병대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만도 여단에 배속된 육군과 해군, 공군 장병은 전입자 교육으로 해병대 코만도 훈련센터에서 코만도 훈련을 이수해야 한다. 코만도 훈련을 이수한 장병은 코만도 그린 색상의 베레모가 지급된다. 2016년부터 여군도 해병대 지상 전투부대에 지원이 가능하다.
영국 해병대는 사실상 제4의 군조직에 가까운 미국이나 한국과는 달리 별도로 독립된 군이 아니라, 코만도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준 특수부대 내지 경보병부대의 성격이 짙어[3] 규모 면에서 크지 않은 편이라 사령관(Commandant General Royal Marines)의 계급이 소장급이다.[4] 주임원사의 호칭은 연대주임원사(Corps Regimental Sergeant Major)이다. 1989년에 신설되었고 준사관이 부사관과 통합된 영국군의 특성상 준위가 맡는다.
2010년대 현재 총 병력은 해병대 현역 7,760명, 해병대 예비군 750명, 육군과 해군 등 해병대 외의 병력이 8,510명이다.
영국 해병대 사령부, Portsmouth
  • 제3코만도여단(영국 해병대), Plymouth
    • 제30 코만도(영국 해병대), Plymouth - 감시수색중대, 통신중대, 지원중대, 전자전중대, 보급중대 등으로 구성된 여단 직할대.
      • 통신중대(Communications Squadron)
      • 감시 & 정찰중대(Surveillance & Reconnaissance Squadron)
      • Y 중대(Y Squadron) (전자전)
      • 군수지원중대(Logistic Squadron)
    • 제40 코만도(영국 해병대), Taunton
    • 제42 코만도(영국 해병대), Bickleigh
    • 제45 코만도(영국 해병대), Arbroath
    • 제43 코만도 함대 방호그룹(영국 해병대), Helensburgh - 해군기지/함대 경비대대.여기에서 말하는 기지는 핵무기를 갖춘 기지를 의미.
    • 제24 코만도연대(영국 육군 공병), Devon
      • 54 코만도 본부중대(54 Commando HQ & Support Squadron)
      • 59 독립 코만도 공병중대(59 Independent Commando Engineer Squadron)
    • 제29 코만도연대(영국 육군 포병), Plymouth (105mm L118 견인포 x 18문)
    • 영국 해병대 기갑 지원단, Somerset - 휘하에 BvS10 Viking 장갑차를 운영하고 있는 부대.1944년 운영되었다가 2010년대에 부활시킨 것이다.
    • 코만도 군수연대(영국 해군을 주축으로 한 합동부대, 해병대, 육군, 공군도 포함), Devon
      • 본부중대(Headquarters Squadron)
      • 장비 지원중대(Equipment Support Squadron)
      • 군수 지원중대(Logistic Support Squadron)
      • 의료중대(Medical Squadron)
      • 상륙군 지원중대(Landing Force Support Squadron)
      • 바이킹 중대(Viking Squadron)[5]
    • 제539강습전대(영국 해병대), Plymouth
  • 코만도훈련센터
  • 제1강습단(영국 해군이 주축, 해병대도 포함)
    • 제4 강습전대(4 Assault Squadron Royal Marines)
    • 제6 강습전대(6 Assault Squadron Royal Marines)
    • 제9 강습전대(9 Assault Squadron Royal Marines)
  • 해병대 군악대(Royal Marines Band Service) 코만도 훈련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진한 청색 베레모를 착용한다.
코만도 헬기부대(Commando Helicopter Force)
코만도 헬기부대는 3코만도 여단과 별개의 부대로 상륙부대에 대한 항공지원을 담당하는 영국 해군 항공대인 동시에 영국군의 모든 헬기부대를 통괄하는 합동 헬기 사령부 휘하 조직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해군 비행대대로 구성된 해군 항공대이지만 부대 임무 특성상 해병대 대령이 예하 해군 비행대대장들을 지휘한다. 부대원들은 해군 항공대와 해병대 장병들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영국 공군에서 훈련을 받는다. 영국 해병대나 영국 제3코만도 여단에 배속된 부대가 아니라서 해병이 아니라면 코만도 훈련은 받지 않는다.
2개 대대는 수송헬기이며 나머지 1개 대대는 정찰/경공격헬기로 운영된다.상륙부대 단위에서 공격헬기가 필요한 경우 육군 헬기부대들 중에서 AH-64 공격헬기[6]를 갖춘 부대의 조력을 받으면서 작전할 수 있다.

4. 코만도 대대 편제


영국 해병대에 3개가[7] 존재하는 코만도 대대는 다음과 같이 편제된다.
  • 코만도 대대(Commando Battalion) (중령이 지휘)
    • 본부중대(Command Company)
      • 중대 본부(Company Headquarters)
      • 수색소대(Reconnaissance Troop)
        • 저격분대(Sniper Section)
      • 대전차소대(Anti Tank Troop) (6x Milan AT Missile)
      • 박격포소대(Mortar Troop) (6x 81mm Mortar)
      • 중기관총소대(Medium Machine Gun Troop)
    • 근접 전투중대(Close Combat Company) (x2) (소령이 지휘)
      • 전투소대(Fighting Troop) (x3)
    • 장거리 전투중대(Stand Off Combat Company) (x2) (소령이 지휘)
      • 중기관총소대(Heavy Machine Gun Troop) (6x M2 12.7mm Machine Gun)
      • 대전차소대(Anti Tank Troop) (6x Milan AT Missile)
      • 전투소대(Fighting Troop)
    • 군수지원중대(Logistic Support Company) (소령이 지휘)

5. 관련 문서



[1] By Sea, By Land의 라틴어로, 영국 해병대의 공식 모토다.[2] 하지만 공식적인 창설연도는 위에 설명한 육군 해양 보병연대가 창설된 1664년으로 정하고 있다. 육군 해양 보병연대 병력들을 군종변경을 시킨 것이기 때문.[3] 한국군으로 치자면 특공여단이 육군이 아닌 해군 소속으로 운용되는 정도.[4] 이 보직이 꼭 해병대 장군들의 최종 보직인건 아니다. 중장을 달고 연합지상군사령부(Allied Land Command 등 NATO군 보직으로 옮기는 경우가 자주 있다.[5] 상륙지원 장갑차인 BvS10 Viking 장갑차를 운용하는 부대로, 16대로 구성된 바이킹 소대 4개로 구성되며, 162명의 병력으로 구성됨, 각각의 바이킹 소대는 해병중대 1개를 수송할 수 있음.[6] 영국 육군 인도형은 이러한 것을 감안해서 처음부터 기체 전체에 방염처리가 된 상태로 도입한 것이라고 한다.[7] 제40, 42,45 코만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