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령관

 




1. 개요
2. 대한민국 국군의 사령관
3. 과거 대한민국 국군의 사령관
4. 가상의 사령관


1. 개요


司令官, commander(CDR)
사령부라는 명칭이 붙는 단위의 부대를 지휘하는 지휘관. 중국에서는 그냥 사령(司令, 중화민국)[1]이라고 부르거나, 사령원(司令員, 중화인민공화국)[2]이라고 하며 자위대의 경우에는 비행단이나 집단의 장도 사령관이라고 부른다.
이 보직은 밑 사람들이 한 모든 행위들을 전부 책임지는 보직으로 보통은 장성급에서 맡게되는 보직이다. 세간의 인식으로는 여단장, 사단장 등 "-장"으로 끝나는 지휘관 직책보다 높다고 생각하지만, 딱히 그렇지는 않으며, 그냥 부대 명칭이 사령부냐 대 혹은 단이냐의 차이일 뿐이다.[3]
미국에서는 영관급 장교가 사령관을 맡는 일도 있다. 미국해군신병훈련사령부의 사령관은 대령이다. 93년도에 해체되기 전, 몽골 '해군'의 사령관은 무려 대위였다. 전 병력이 고작 7명에다가 운용할 수 있는 배라고는 딸랑 고속정 한 척 뿐이었다니...지금은 민영화된 상태다.
문민통제가 중요시되는 현대에서는 사령관이 아닌 참모총장이 각군의 최선임이 된다. 말그대로 대통령과 국방부장관의 각군별 참모이기 때문.[4]

2. 대한민국 국군의 사령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의 국직부대들 중에도 사령관이 지휘하는 부대가 있다. 특히 무슨무슨 사령부로 이름이 지어진 부대들은 모두 최고 지휘관이 사령관이라고 보면 된다.
대한민국 육군
육군본부 소속의 실급이라든가 처급으로 끝나는, 사령부가 없는 병과들도 있다.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공군

3. 과거 대한민국 국군의 사령관



4. 가상의 사령관



[1] 높여 부를 땐 사령장관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장관은 자신보다 높은 직위의 장교에 대한 경칭.[2] 공산주의 국가답게 장병은 모두 평등하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원'자를 붙였다. 그래서 일반 병사들도 직급 뒤에 동등하게 '원'자가 붙는다. 예를 들어 취사병은 취사원 등.[3] 각 군별로 편제가 다르기 때문이다. 공군의 비행단 및 해군의 전단과 육군의 여단은 지휘관이 계급상 준장으로 같지만 전술체계상 비행단, 전단, 사단이 상응하며, 공군의 공군기능사령부 및 해군의 함대사령부와 육군의 사단은 지휘관 계급은 소장으로 같지만 전술체계상 상이하다.[4]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참모총장 중 합동참모의장은 육, 해, 공군의 각 작전사령부와 해병대사령부를 감독, 지휘하는 최고 작전지휘관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사령관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다. 물론 작전권인 군령권에 한정되며, 인사권을 포함한 군정권은 각군의 참모총장이 행사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