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군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인물. 자는 온(溫). 동생 예식진은 유명한 백제의 매국노로 알려진 인물이기도 하다.
백제가 멸망할 때, 의자왕 일행과 함께 당에 투항해 웅진도독부 관리가 되었다. 이후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지만, 중국 천자의 사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입국 거부를 당했다. 삼국사기에 예군의 행적이 기록이 되었는데, 670년 7월 웅진도독부의 사마로 신라한테 붙잡혀 갇혔다. 삼국지의 관해처럼 등장의 빈도가 매우 적다. 사실 예군의 묘지명의 발견이 없었으면 대다수 한국 고대사의 인물들처럼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는 사례가 되었을 것이다.
2. 예군의 묘지명 발견
2011년, 중국에서 그의 묘지명이 발견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image]
묘지명 전문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고대금석문
【원문과 해석】
3. 일본 국호 논란
예군 묘지명의 내용 중에 '일본'이라는 표현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945년에 편찬된 구당서 이전의 기록으로 후대의 문헌 기록인 삼국사기를 제외한 '일본'의 실제 사용 사례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주목된다. 구체적으로는 '관군(당나라)이 번방(백제)을 멸하자 일본(백제)의 잔당들이 扶桑(부상, 일본)에 들어가 죽임을 면했다'는 문구이다.이 때 日本(일본)의 남은 백성은 扶桑(부상)에 의지하여 주벌을 피하고 있고, 風谷(풍곡)의 남은 백성들은 盤桃(반도)를 의지하여 굳세게 저항했다.
于時日本餘噍, 據扶桑以逋誅; 風谷遺甿, 負盤桃而阻固.
여기서 '부상'은 중국에서 왜국을 가르키던 말로 중국 전설에 나오는 신목인 부상이 어원이다. 예군의 묘지명에는 당시 상황에 대해 구체적인 나라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해당 나라를 빗댄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나라현대학의 도노 하루유키(東野治之) 교수는 첫째, '부상'은 '일본'을 가리키는 명칭이고 둘째, 다른 나라는 다 빗대어 말하는데 일본만 국명을 말하는 것은 부자연스럽다는 이유를 들어, '일본이라는 단어'는 '백제'를 가리킨다[1] 고 주장하였다.# 왜국이 부상으로 표현된 것과는 달리 '일본이라는 단어'는 '해좌(海左)', '영동(瀛東)' 등의 단어를 통해 별도로 나타냈다고 주장하였다.
도노 교수는 풍곡을 고구려, 반도를 신라로 비정하면서, 묘지명에 기록된 당시 '''백제, 고구려, 신라 등 중국의 주변 나라는 국호를 쓰지 않고''' '부상·풍곡·반도' 등 자연환경적 특징에 근거한 은유적 명칭을 썼는데, '''유독 일본만 공식 국호를 썼을리 없다'''는 논지다. 묘지명의 ‘일본’은 중국에서 볼 때 ‘해가 뜨는 곳’이라는 뜻으로 곧 백제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이렇게 예군의 묘지에는 동방을 지칭하는 많은 용어와 함께 ‘일본’이 사용되고 있지만, 정작 동 시기에 사용되던 국호는 하나도 기록돼 있지 않다. 이성시 일본 와세다(早稻田)대 문학학술원장은 이 같은 사실이 예군 묘지가 제작된 시점, 즉 678년에 ‘일본’이 국호로서 성립돼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고 강조했다. 예군 묘지는 일본 국호의 성립이 678년 이후의 일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료란 것이다. [2][3] #
윤선태 동국대 교수는 “‘일본’이란 단어가 일본에서 생산된 용어라기보다는 한반도에서 사용됐던 용어이며 일본의 국호 제정 과정에서 백제 유민들의 지적인 역할을 추정케 해준다”고 말했다.
또한 <구당서>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나오는 별종이라는 표현은 발해를 언급하면서도 나타나난다.일본국은 왜국의 별종이다.日本國者倭國之別種也.
그 나라가 해의 가장자리에 있기 때문에 일본이라 이름하였다.以其國在日邊, 故以日本爲名.
어떤 사람은 왜국이 스스로 그 이름이 우아하지 못한 것을 싫어해서 일본으로 고쳤다고 말한다. 或曰, 倭國自惡其名不雅, 改爲日本.
어떤 사람은 일본은 옛날에 작은 나라였는데, 왜국 땅을 합병하였다고 말한다. 或云, 日本舊小國, 倂倭國之地.
- 구당서 동이열전
이런 면에서 살펴보면 일본과 왜국은 연속성 있는 다른 나라로 추측할 수 있다.동북아역사넷발해말갈의 대조영이란 자는 본래 고려의 별종이다.
渤海靺鞨大祖榮者 本高麗別種也
구당서에 일본이 왜국의 땅을 합병하였다는 말이 이때까지 이해가 힘들었는데, 여기서 일본(日本)을 '백제의 유민들'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왜국으로 넘어간 '백제의 유민들'은 스스로를 왜국과 다르다고 인식하여 일본(日本)이라는 이름을 썼으며,[6] [7] 이후 왜국의 지도층이 되어 일본을 정식 국호로 사용하게 되었을 것이다.[8]
4. 같이보기
[1] 즉, 문구 내용 중 '''백제는 일본으로''', 일본은 부상으로 표기했다는 주장.[2] 반면, 구당서(945년 편찬) 동이전과 삼국사기(1145년 편찬)에서는 '''670년'''에 왜가 일본으로 국호를 바꾼 배경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일본국은 왜의 다른 이름이다. 나라가 해가 머무는 곳에 있으므로해서 이름지었다. 혹자는 왜국 스스로 그 명칭이 우아하지 못하다고 해서 싫어하기 때문에 일본(日本)으로 고쳤다고 말한다."(日本國者倭之別稱也 以其國在日處故爲名.或曰倭國自惡其名不雅.故改爲日本) 이성시 원장의 말은 여기에 나오는 구당서와 삼국사기의 내용이 틀렸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3] 일본이라는 국호의 '''공식 사용'''은 '''701년''' 다이호 율령 이후에 쓰이게 된다.[4] 삼국사기는 구당서를 참조[5] 왜에서 일본으로 국호가 바뀐 후 250년이 지나 구당서를 지었으니 틀릴만 하다.[6] 왜국은 난쟁이을 연상하는 비하의 뜻이 있기 때문에 백제 유민 입장에서는 사용하기 싫었을 것이다.[7] 또한 일본 이라는 말은 해가 뜨는 곳을 말하는데, 이는 중국이나 한반도의 입장에서 봐야 일본섬의 위치가 해가 뜨는 동쪽이 된다. 즉, 일본(日本)이라는 이름 자체는 일본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타지역 사람이 일본으로 유입된 이후 왜국을 대체하기 위해 제시되었다는 것이 중론.[8] 비슷한 예로 영국을 뜻하는 브리튼도 트로이의 귀족 브루투스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학설이 존재한다.[9] 예식진의 묘지명을 보면 예씨집안의 선조가 예형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