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교통

 


[image]
[image]
'''현대 그린시티 차량'''
'''자일대우 BS090 차량'''
[image]
[image]
'''자일대우 BS106 로얄시티 F/L 08년식 (중고/좌석)'''
'''자일대우 레스타 (마을버스)'''
''' 예산교통(공영)'''
Yesan Transportation company
[image]
'''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예산로 306
'''설립자'''
조강현, 조영웅 (공동체제)
'''창립일'''
1980년 12월 27일
'''업종'''
공영버스
'''계열사'''
충남고속
'''관할기관'''
충청남도 예산군
'''홈페이지'''
예산군청 교통과

1. 개요
2. 연혁
3. 노선번호체계
4. 차량
5. 특징

[clearfix]

1. 개요


예산군 농어촌버스를 담당하는 회사로 본사는 충남 예산군 예산읍 예산로 306에 있다.
노선 대부분이 예산종합터미널 착발이며, 예산터미널 주차장에는 시외버스보다 예산교통의 버스가 더 많다.
모회사는 충남고속이나 서류상의 계열사이고 회사 운영은 단독으로 경영한다.

2. 연혁


  • 1981년에 충남교통운수(현 충남고속)에서 분사해 설립되었다.
  • 2010년 10월에 단일요금제를 도입하였다.
  • 시기미상으로 충남고속이 인수했으나 서류상의 인수한것이고 회사운영은 단독으로 경영하고 있다.

3. 노선번호체계


'''종점 행은 각 번호를 사용하나, 예산 행은 승객들의 혼동을 줄이도록 어디서 출발하든 해당 방면 지정 번호를 이용한다.'''
'''번호체계'''
'''노선도'''
'''100-199번[1]'''
예산종합터미널 ↔ 대술 방면
'''200-299번'''
예산종합터미널 ↔ 신양, 유구(공주터미널 방면)[2], 운곡, 청양[3]
'''300-399번'''
예산종합터미널 ↔ 응봉, 대흥, 예산군추모공원, 예당관광지 (예당저수지), 광시 방면[4]
'''400-499번'''
예산종합터미널 ↔ 신례원, 대술 [5], 삽교천(당진)[6], 온양(아산), 신창전철역[7], 고덕, 합덕, 덕산 방면
'''500-599번'''
예산종합터미널 ↔ 삽교, 오가, 고덕, 봉산, 삽교역 (장항선), 덕산(온천), 해미(한서대,서산), 면천(당진), 합덕(당진), 수덕사(덕산),
내포신도시, 예산일반산업단지(삽교), 덕산중고등학교[8]
'''544-?번 (단독)'''
예산종합터미널 ↔ 내포신도시, 덕산중고등학교, 내포이주택단지(이지더원), 용봉산 방면
'''600-699번'''
예산종합터미널 ↔ 오가 [9], 양신 방면
'''700-799번'''
예산종합터미널 ↔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대률, 딴산 방면
'''800번 (단독)'''
예산종합터미널 ↔ 손지리, 신속, 탄방
'''900-902번 (특수목적)'''
예산역전 ↔ 쌍송배기 [10],주교리, (구)예산군보건소, 예산여자중학교 [11]
'''903번 (단독,특수목적)'''
예산종합터미널 ↔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예산공설운동장 [12]
  • 모두 예산군청(신청사 / 분수대정류장)을 경유한다.
  • 예산군 농어촌 버스 시간표는 여기서 다운로드나 열람할 수 있다.

4. 차량


2000년대 초반 당시만 해도 거의 대우버스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5년 글로벌900을 대량 도입한 이후 현대버스도 자주 도입하는 편이다. 그래도 대우 신차도 있는 편이다. 레스타도 있고... 차는 낡은 차는 잘 보이지 않고 새 차의 비율이 아주 높다.[13]
홍성의 홍주여객과 더불어 신차 출고시 서울 구도색이었던 몬드리안 도색을 사용한다.[14]

농어촌업체로는 특이하게 타 업체들이 전부 BF105를 뽑던 1996년 전개창 BS106 냉방차량을 출고한 적이 있다. 버스 중 세 대(6004, 6040[15], 6049[16])가 부산 307번 출신 중고차인데,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도색을 그대로 한 채 운행하고 있었다. 관련 게시물 주로 온양, 신례원 방면에 투입된다.
예산교통에서 몇 안되는 좌석버스였기도 하다. 부산 시절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 외에 레스타(6031, 6055)가 있다. 도색은 초록색으로 되어 있으며 마을, 지선버스 도색이다. 주로 100번대, 300번대 오지노선에 투입된다. 출고된 지 얼마 안 된 차량들은 온양, 신례원 방면 노선에 고정으로 투입된다. 이후 신차가 나오면 시골노선으로 내려가는 형식.
한때 차량 상태가 윗동네 천안시 시내버스와 같이 막장으로 유명했으나[17] 최근에는 신차가 많이 도입하고 있어서 천안, 아산시 시내버스 보다 버스 상태가 좋은편이다.

4.1. 현재 보유차종



4.1.1. 현대자동차



4.1.2. 자일대우상용차



4.2. 과거 보유차종



4.2.1. 현대자동차


  • 현대 글로벌900 디젤
  • 현대 FB485 디젤[18]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19]

4.2.2.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20]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21]
  • 새한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22]

4.2.3. 쌍용자동차


  • 동아 HA20 디젤[23]

5. 특징


  • 안내방송은 옆동네 홍성, 세종, 계룡, 논산과 같은 본시스템의 것을 사용했다, 충청남도에서 가장 깨끗하고 음질이 좋은 방송을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는 천안시 시내버스, 아산시 시내버스에서 사용하는 보이스웨어 안내방송을 쓰고 있는데 천안보다 음질이 좋은편이다.

  • 차량 내부 LED는 유니비젼 것을 사용한다. 차량 외부 LED는 마블사인 것을 사용한다. 관련 게시물

  • 예산교통 버스노선도에는 홍성까지 다닌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내포시, 혹은 용봉산까지만 다니니 주의. 시외버스나 기차를 타거나 해미, 수덕사, 광시, 내포신도시, 청양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21번 국도로 다니는 버스 또한 전무하다.
  • 농어촌 버스정류장 개선 사업으로 인해, 버스 시간표를 계속 교체해주고 있으며 버스정류장도 수리 및 단장을 계속하고 있다. 몇몇 주요 정류장에는 냉난방기기 및 열선의자를 설치하고 있다.

[1] 예산군 농어촌버스/100번대[2] 하루에 아침(252번,귀곡, 시왕리 경유, 예산터미널 7시 출발), 낮 시간(250번, 예산터미널 12시 13분 차)에 2번 다니지만 시외버스는 30~50분 간격으로 다닌다. 시내버스는 차동고개 정상까지 올라다니지만, 시외버스는 그냥 국도로 차동터널로 직접 다닌다. 그래서 시내버스 12시 13분보다 15분 뒤인 12시 28분에 출발하는 시외버스가 더 빨리 간다.[3] 200번, 청양교통 200번과 공동배차한다. 다른점은 안내방송의 유무와 청양 버스는 청양시내버스터미널로 가지만 200번은 시외버스터미널로 간다. 시외버스도 같은 가격에 좌석으로 운행중. 3900원에 카운티, 레스타부터 시내버스, 충남고속 시외버스까지 랜덤에 만나볼 수 있다.[4] 청양충남고속 과 같이 다닌다.[5] 온양행 410-1/2번만 해당[6] 평일 1일 1회만 운행, 주말에는 운행안함[7] 충청남도 버스는 수도권 전철과의 환승 요금 적용이 되지 않는다.[8] 내포신도시 이전으로 인해서, 덕산이나 봉산에 소속된 학생들 이송차량으로 쓰임.[9] 오가방면은 버스가 많다.[10] 옛날 예산터미널 자리[11] 주용도는 통학용 차량, 주말운행 X[12] 통학용 차량[13] 대우차량 중 2012년 이전형식 차량은 2020년 8월 말에 전량 대차되어 이 후로 대우차량은 NEW BS시리즈와 레스타만 남았다.[14]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하다.[15] 18년식 NEW BS 090으로 대차[16] 19년식 그린시티 로 대차[17] 과거 대우차량중에 BS090 F/L 차량이 녹이 잔뜩 쓸어서 청 태이프로 붙어서 그대로 운행하고 있어서 상태가 않좋기로 유명했다.관련 게시물 [18] 창립 초기에 7대 도입했다. 충남 5 자 4215, 4226, 4227, 4228, 4229, 4230, 4231[19] 한양여객이 아산시내버스 사업정리때 들여온 차량이다.[20] 2005년에 단 1대 도입했다.(6007)[21] 2020년 8월에 300번대에서 운행하던 마지막 2011년 12월식 BS090 F/L 차량이 그린시티 F/L 으로 대차된 것을 끝으로 사라졌다.[22] 2013년에 중고로 도입한 2008년형이다.(6004, 6040, 6049)[23] 1981년 분사해 나오기 전부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