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워치 전국 PC방 경쟁전
[image]
ROAD TO APEX!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주최하고, 인벤에서 주관하는 아마추어 리그.
2월 24일(금)부터 3월 12일(일)까지 오프라인 예선 참가 접수를 받고, 서울, 대전, 강릉, 광주, 부산 총 5개 도시에서 1,2차 예선을 뚫고 올라온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해 경합을 벌인다.
대회의 우승팀에겐 차기 챌린저스에 진출할 시드권을 준다.
이후 오픈 디비전 한국 리그의 역할을 맡게 되며 공식 3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 주관 사이트: 인벤
- 후원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중계진: 김영일(캐스터), '빈본' 김진영(해설), '러너' 윤대훈(해설), '네클릿' 김민기(해설), 윤지은(리포터)
- 참가 접수: 2017. 2. 24. (금) ~ 2017. 3. 12. (일)
- 대회 기간: 2017. 3. 18. (금) ~ 2017. 4. 9. (일)
- 예선: 2017. 3. 18. (토) ~ 2017. 3. 26. (일)
- 8강: 2017. 4. 1. (토) ~ 2017. 4. 2. (일)
- 4강: 2017. 4. 8. (토)
- 3, 4위전 및 결승: 2017. 4. 9. (일)
- 경기장: 성신여대역 세븐 PC방, 잠실 탑플레이스 PC방
- 대회 방식
- 예선: 싱글 엘리미네이션 (3전 2선승)
- 8강 ~ 4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5전 3선승)
- 결승: 단판 (5전 3선승)
- 총 상금: 1200만원
- 우승: 500만원 / APEX 챌린저스 본선 진출 시드권
- 준우승: 300만원 / APEX 챌린저스 오프라인 예선 진출 시드권
- 3위: 100만원 / APEX 챌린저스 오프라인 예선 진출 시드권
- 4위: 100만원
- 5위 ~ 8위: 50만원
- 대회 관련 문의: overwatch@inven.co.kr
2. 일정 및 진행
- 지역 예선 (1차)
- 각 지역 PC방에서 조별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
- 대진 구성이 완료된 팀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기 돌입
- 승리 팀은 상위 단계로 진출하며, 전국 32강 팀이 선정될 때까지 경기 진행
- 지역별 32강 시드 배정은 참가자 수에 따라 차등 분배
- 지역 예선 (2차)
- 각 지역에서 선발된 32팀은 추첨을 통해 대진표 구성
- 1차 지역 예선을 통과한 32팀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
- 모든 경기는 사전에 고지된 전장에서 3전 2선승제 경기 진행
- 승리 팀은 상위 단계로 진출하며, 최종 8팀이 본선 진출
- 8강
- 선발된 8팀은 서울 지역 PC방에서 본선을 진행, 추첨을 통해 대진표 구성
- 대진 구성이 완료된 8팀은 5전 3선승제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기 진행
- 각 게임은 쟁탈전(심판 선정) > 점령/호위 > 점령 > 호위 > 점령호위 순으로 진행
- 점령전과 호위전, 점령/호위전은 경쟁전 룰로 진행(동점 시 쟁탈 단 판 연장 경기)
각 게임이 끝나면 패배 팀은 전장 또는 진영 선택 후 승리 팀은 패배 팀이 선택하고 남은 전장 또는 진영을 선택한다.
- 쟁탈전의 경우 3전 2선승제 경기 진행
- 4강
- 선발된 4팀은 서울 지역 PC방에서 본선 진행
- 대진 구성이 완료된 4팀은 5전 3선승제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기 진행
- 각 게임은 쟁탈전(심판 선정) > 점령/호위 > 점령 > 호위 > 점령호위 순으로 진행
- 점령전과 호위전, 점령/호위전은 경쟁전 룰로 진행(동점 시 쟁탈 단 판 연장 경기)
각 게임이 끝나면 패배 팀은 전장 또는 진영 선택 후 승리 팀은 패배 팀이 선택하고 남은 전장 또는 진영을 선택한다.
- 쟁탈전의 경우 3전 2선승제 경기 진행
- 결승
- 최종 2팀은 5전 3선승제 경기 진행(4강 패배팀은 3, 4위전 진행)
- 각 게임은 쟁탈전(심판 선정) > 점령/호위 > 점령 > 호위 > 점령호위 순으로 진행
- 점령전과 호위전, 점령/호위전은 경쟁전 룰로 진행(동점 시 쟁탈 단 판 연장 경기)
각 게임이 끝나면 패배 팀은 전장 또는 진영 선택 후 승리 팀은 패배 팀이 선택하고 남은 전장 또는 진영을 선택한다.
- 쟁탈전의 경우 3전 2선승제 경기 진행
3. 참가팀
3.1. 팀 엔트리
4. 경기 진행
4.1. 8강
4.1.1. 1경기 칼퇴근 2 : 3 CTU
영상#1, #2, #3
CTU의 NokB 선수가 용봉탕을 닮아 채팅창에서 화제에 오르내렸다.
4.1.2. 2경기 esq.wind 0 : 3 GC 부산
영상 #1, #2
GC 부산이 피지컬, 오더 등 모든 면에서 압도했던 경기.
esq.wind팀 서브힐러 esqInY0uNg 선수는 지금 Afreeca Freecs에서 활동하는 InY0uNg 선수.
4.1.3. 3경기 왕복 20만원 0 : 3 오투블래스트
영상 #1, #2
4.1.4. 4경기 TL 1 : 3 벤치걸즈
영상 #1, #2
오버워치 리그에서 맹활약중인 방성현 선수와 문기도 선수의 첫 공식전 데뷔 경기. 방성현 선수는 당시 스트리머로서 여러가지 의미로 유명했던지라 그의 참가에 화제가 집중되기도 했다. 방성현 선수는 '봉털', 문기도 선수는 'diog'로 각각 다른 닉네임으로 참가하였다.
4.2. 4강
4.2.1. 1경기 CTU 0 : 3 GC 부산
영상 #1, #2
4.2.2. 2경기 오투블래스트 3 : 0 벤치걸즈
영상 #1, #2
4.3. 3·4위전
4.3.1. CTU 2 : 3 벤치걸즈
영상 #1, #2
풀세트에 마지막 세트인 할리우드에서 무승부가 나와 쟁탈 연장전까지 진행된 접전이었다.
4.4. 결승
4.4.1. GC 부산 3 : 0 오투블래스트
영상 #1, #2
GC 부산이 오투블래스트마저 3:0으로 잡아내며 전승 무실세트 우승을 차지했다.
5. 결과
GC 부산이 무실세트로 우승을 거두며 챌린저스 본선 시드권을 따냈다.
2위와 3위를 해낸 오투블래스트와 벤치걸즈는 챌린저스 오프라인 예선 시드권을 획득했다.[2]
[1] 현재 우햘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성승현과 혼동이 있었는데, PC방 경쟁전 이전 둘은 ACE White 팀 동료였다. PC방 경쟁전 때 성승현이 명일주에게 우햘이라는 닉네임을 잠시 빌려주었다고 추측된다.[2] 아무래도 벤치걸즈는 이후 팀이 와해된 듯, 챌린저스 오프라인 시드를 포기하였다. 이후 diog(現 Gido) 선수는 루나틱 하이에, 봉털(現 JJonak) 선수는 LW Blue에 입단하며 나란히 OWL에 입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