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치
1. 개요
大內.[1] 일본의 성씨 중 하나.
백제 왕족의 후손을 자처하는 가문 중의 하나이다. 이미 조선왕조실록에서부터 관련 기록이 많다. 조선과 교류를 시도했던 다른 다이묘들보다 뚜렷하게 기록이 많으며 조선 태종 때부터 조선 전기~중기 내내 오우치 가문과의 교류 기록이라든지 오우치에 대해 의논하는 조선왕조실록 기사가 수백건에 달한다. 외교적으로는 대내전(大內殿)이라는 표현[2] 을 썼으며 조선왕조실록에서도 대내전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임성태자 문서도 참조.
조선과 무역을 하면서 백제의 후손이라 칭하고, 조선 초기에 친조선 정책을 취했다. 조선에서도 오우치씨를 백제의 후예로 인정하고 다이묘들 가운데서 특히 우대하였다. 심지어 조선에 조상들의 땅을 봉토를 달라고 청하기도 했고 조선 정부에서도 300결을 주는 것을 잠깐 진지하게 논의해보기도 했지만, 아무래도 그건 무리였는지 흐지부지 거부되었다. 그리고 팔만대장경을 달라고도 했는데 당시 여전히 불교가 중요했던 일본과는 달리 조선은 숭유억불이 기조였기 때문에 대장경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니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대장경의 가치는 그렇다치고 한 번 주면 자꾸 달라고 할 것이므로 그냥 주지 말자고 해서 몇 차례 거절하였다. 그럼에도 오우치씨가 끊임없이 대장경을 청구하자 세종이 잠깐 대장경판을 넘겨줄까 했다가 신하들의 반대로 철회하기도 했다.
오우치 씨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주고쿠와 규슈 북부를 제패[3] 한 강력한 다이묘 가문 중 하나였지만 센고쿠 시대로 유명한 모리 모토나리에게 본가는 멸망했고[4] 그 방계가 다이묘 지위는 상실했지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2. 실존 인물
- 오우치 요시나가
- 오우치 요시오키
- 오우치 요시타카
- 오우치 기미오 - 임성태자 45대손. 일본의 인쇄소 디자이너로 지극히 평범한 사람이다. 이전부터 내려오던 족보와 학교에서 배우던 고대사를 통해 백제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2000년대 중반 부여에 방문하여 지역발전에 써달라며 그간 모은 재산 일부를 기부한 것을 시작[5] 으로 매년 백제문화제 및 백제관련 행사에 참여하였다. 익산의 원광고등학교에 장학금을 기부하기도 하였는데 이 때 1400년만에 조상의 땅을 밟게 된 것이 매우 감격스럽다며 눈물을 흘렸다. 익산시는 감사의 의미로 오우치 기미오를 명예홍보대사로 임명하였고 2017년 그의 아내 오우치 기미오가 지병으로 별세하자 익산시에서 조문단을 보내어 위로를 표하였다. 오우치 기미오의 적극적인 행보는 역사 관련 프로그램에 종종 소개되면서 한국에서도 오우치 가문의 역사, 업적을 알게 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 오우치 히사시 - 도카이촌 사건으로 16시버트에 피폭해 사망했다 1964년 도카이무라에서 태어났고 고등학교에서 운동선수 럭비 선수였다고 했다
[1] 이 한자에는 '대궐', '궁전'이라는 뜻도 있다. 교토의 황궁을 대내리(大内裏)라고도 부른 것이 그 예.[2] 전의 일본식 발음은 도노. 다른 다이묘들도 00전이라는 표현을 썼다.[3] 주코쿠의 스오, 나가토, 아키, 이와미와 큐슈의 지쿠젠, 부젠 6개 국을 장악한 서일본 최대의 다이묘 세력이었다. 한 때 교토로 상경하여 무로마치 쇼군을 대리하는 칸레이 자리에 오른적도 있었다.[4] 재미있는 것은 모리 씨의 조상은 임성태자를 따라온 종자였다는 설이 있다(간양록). 즉 '''모리 씨의 조상은 원래 오우치의 조상을 주군으로 섬겼다'''는 것.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으로 모리 씨의 선조는 가마쿠라 막부의 창건공신 중 하나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치 참모였던 오오에노 히로모토이다. 오오에 씨는 도래인 가계가 아니다.[5] 이 때 일본어로 기부 의사를 밝혔는데 오우치 가문을 몰랐던 구청 직원들이 부여와 연고 없는 외국인이 지역발전을 위해 기부를 한다고 하니 어안이 벙벙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