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사마귀

 

[image]
'''왕사마귀'''
Chinese mantis
이명: 큰사마귀, 중국사마귀
''' ''Tenodera sinensis'' '''Saussure, 1871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바퀴목(Dictyoptera)
아목
사마귀아목(Mantodea)

사마귀과(Mantidae)

사마귀속(''Tenodera'')
''''''
'''왕사마귀'''(''T. sinensis'')[1]
[image]

1. 개요
2. 상세
3. 기타


1. 개요


한국에서 서식하는 사마귀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세계에 서식하는 사마귀 종을 통틀어 보아도 왕사마귀보다 큰 종이 많지 않다. 명백히 대형종에 속하는 사마귀.
사전적 몸길이는 70~95 mm 사이다. 서식 환경과 영양 상태에 따라서 규격 외의 사이즈가 나오기도 한다. 쉽게 볼 수 있는 곤충임에도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기 때문에, 더 크게 보이는 착시를 일으키기도 한다.
왕사마귀는 큰 몸집에 걸맞게 사냥 실력도 뛰어나고, 공격성 또한 매우 높은 편이다. 다른 사마귀들이 자신보다 큰 생물을 만나면 지레 겁부터 먹거나 도망치기 바쁜데 반해, 왕사마귀는 우선 앞다리부터 들이밀고 본다.
사마귀의 앞다리는 다양한 방향으로 가시가 나 있어서 한번 잡은 사냥감은 쉽게 벗어날 수 없다. 왕사마귀는 이 앞다리를 이용해서 풀무치방아깨비 같은 대형 메뚜기 등을 주식으로 삼는다. 행동 반경이 넓고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먹이층도 굉장히 넓다. 장수잠자리를 비롯한 대형 잠자리, 말매미, 말벌을 종종 잡아먹기도 한다.[2][3] 이 밖에도 거미, 중소형 개구리, 어린 , [4], 심지어 들쥐 등을 잡아먹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왕사마귀를 죽이거나 잡아먹을 수 있는 천적이 나타나도, 앞다리를 들어올리고 공격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날개를 펼치고 소리를 내기도 한다. 왕사마귀는 덩치가 크기 때문에 민첩하게 숨기도 힘들고, 숨었더라도 천적의 눈에 잘 발각될 수 밖에 없다. 왕사마귀의 공격성은 천적을 쓰러뜨리기 위해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천적을 위협하고 쫓아내기 위한 생존 방법인 것이다. 이 특성을 표현한 고사성어가 바로 당랑거철.
왕사마귀는 온대종 사마귀답게 활동적이며 자신에게 맞는 환경을 찾아서 널리 이동한다. 긴 다리로 통통 튀어서 이동하는 경우 가 일반적이고, 성체의 경우 날개를 이용해서 활강하기도 한다. 날랜 수컷은 꽤 멀리 날아가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양지바른 초지나 산의 도입부에 자리잡고 살아간다. 도심의 경우, 화단이나 근린 공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심에서 정말 보기 힘들다면 강가의 초지나 건설부지 공터를 살펴보기를 권한다.
왕사마귀가 한반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지배적인 사마귀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탁월한 적응력 때문이다. 물론 우월한 크기와 강함도 강점이 되었으리라. 왕사마귀는 온대종 답게 낮은 온도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서도 잘 버티는 편이다. 또한 크고 두터운 거품집으로 이루어진 왕사마귀 알집은 아무리 추운 겨울이라도 이겨낼 수 있다. 알집에 조금의 열과 빛만 주어지면 가장 쉽게 부화하는 것도 왕사마귀이다. 보통 크고 강력한 포식자는 번식력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왕사마귀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마귀 중 가장 많은 약충이 부화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알집에서 100마리에서 300마리의 초령 약충이 나온다.
옛날 책을 보면 왕사마귀는 카멜레온처럼 자유자재로 색을 바꾼다는 거짓 정보가 돌아다니는데, 사실 사마귀는 색을 바꿀 수는 있지만, 자기 마음대로 색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탈피를 통해''' 주변 환경에 따라서 색을 점차 바꾸는 것이다. 약충은 점차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에 적합한 색깔로 변화한다. 성충이 되면 탈피를 못하니, 색을 바꿀 수 없고 죽을 때까지 그 색깔로 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왕사마귀의 발색은 갈색과 녹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사마귀와 마찬가지로 야생개체는 성질이 매우 사납지만 사람손을 몇번 타면 얌전해진다.
요령껏 잡으면[5] 의외로 순순히 잡혀준다. 사람 손에 잡히면 그냥 다리를 쭉 뻗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는 암컷 한정으로 수컷은 앞다리로 뒤를 할퀴면서 물려고 덤벼든다.


2. 상세


전체적인 생김새는 사마귀와 비슷하나, 이름답게 길이도 좀 더 긴 편이고 비슷한 길이의 사마귀와 비교하면 더 덩치가 있다. 생김새가 사마귀와 매우 닮아서 구별하기가 힘든 편이지만 낫이 달린 앞다리 사이의 가슴 색깔로 사마귀와 구별이 가능하다. 왕사마귀는 주로 노란색, 사마귀는 주황색을 띈다. 그리고 뒷날개 색이 보라빛을 띄는 갈색이라 이 특징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이 뒷날개를 활용하여 적이 나타나면 뒷날개를 펼쳐 위협한다.
유충은 5월에서 8월 사이에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성충은 7월에서 11월까지 볼 수 있다. 9월이나 10월에 교미를 하고 알을 낳는데 알을 거품집으로 싼다. 거품은 처음엔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알집은 둥근 편이고 주로 갈색을 띈다.
[image]
알. 갈색이라서 멀리서 보면 낙엽처럼 보인다.
북미에도 분포하는데 영어로 중국사마귀(Chinese mantis)라 부른다. 해충을 없애기 위해 중국에서 들여와서 풀었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항라사마귀도 북미에 풀었다.
왕사마귀는 풀밭에 서식하는 거의 모든 곤충들을 잡아먹으며, 심지어 척추동물인 청개구리, 장지뱀부터 어린 '''독사(!)'''나 새끼 ''''''까지도 잡아먹을 정도로 강력한 포식자이다. 한번 붙잡은 사냥감은 절대 놔주지 않는다. 순수한 육체파 육식 곤충으로서는 척추동물들에게 대적하는 거의 유일한 곤충.
미국에서는 왕사마귀나 항라사마귀로 인해 미국에 사는 토종 사마귀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6] 미국에는 캐롤라이나 사마귀나 나뭇가지사마귀 같은 왕사마귀보다 작고 약한 사마귀들이 살기에 왕사마귀를 당해낼 수가 없는 것.
사계절이 뚜렷한 온~냉대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종류이다보니 온도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최소 10°c 내외 까지는 무리없이 살수있다.[7]

3. 기타


먹성이 좋고 사육 난이도도 사마귀들 중에선 가장 낮은 편이여서 곤충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주 기르는 사마귀이기도 하지만 사마귀들이 다 그렇듯이 사육 방법을 숙지하지 않고 어설프게 기르면 금방 죽으니 꼭 사육 방법을 숙지하고 기르도록 하자. 사육 방법은 사마귀/사육 문서 참조.
연가시의 종(終)숙주 중 하나라고 한다. 드물게 연가시가 빠져 나가고도 살아 있는 경우가 있긴 하나, 영양 공급이 잘 된 사육 상태에서의 이야기지 야생이라면 탈진해서 죽는다.

[1] 원래 ''Tenodera aridifolia''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Ehrmann에 의하여 ''Tenodera sinensis''로 재분류되었다.[2] 이 먹이사슬 도표에서 왕사마귀가 장수말벌을 포식한 보고가 있다는 예외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홈페이지 운영자도 보고만 들었을 뿐 본인이 직접 확인한 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장수말벌을 정말 잡아먹는지는 추가자료가 필요하다. '도시의 말벌' 홈페이지의 운영자는 야마우치 히로미(山内 博美)로 기후 대학 농학부를 졸업, 일본 응용 동물 곤충 학회, 일본 위생 동물 학회, 일본 해충학 학회에 소속된 말벌 전문가다. 현재 나고야시 생활 위생 센터에서 근무. 홈페이지와 동명의 책도 썼는데, 자신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원고를 쓰고 고친 것이라고 한다.[3] 왕사마귀가 장수말벌을 포식한다는 사례는 극히 소수로 대부분 왕사마귀가 장수말벌의 먹이원에 포함된다는 것이 여러 논문에서 입증된 결과다. 왕사마귀가 장수말벌을 잡아먹는 사례는 아직 논문으로 나오지 않았다.[4] 먹이가 된 사진의 새는 상모솔새.[5] 가슴과 날개 사이를 잡으면 된다.[6] 왕사마귀는 중국에서, 항라사마귀는 유럽에서 해충구제를 목적으로 들여온 외래종이다.[7] 사람이 반팔입고도 춥지 않을정도면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