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황
한약재의 일종. 우황청심원의 성분.
인도 ·이란 ·중국 등에 사는 포유동물인 소 ·산양 ·영양(羚羊) 등의 반추류의 담낭 속에 병으로 인하여 생긴 응결물이다. 즉, 소과 동물의 담낭에 생긴 담석.
소에 담석이 생기면 인간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 사람이 담석증에 걸리면 앓지만, 소가 담석이 생기면 성질이 거칠어져 광폭해지며 힘이 세지고(힘을 절제를 안한다는 뜻) 눈에는 핏줄이 붉게 선다. 그러다 담석을 토해내면 언제 그랬냐는 듯 제 정신으로 돌아와 멀쩡해진다. 오늘날에는 담석 문제를 수술로 해결하는 듯 하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가죽과 털에 윤기가 있지만 눈이 충혈되고 물을 좋아하는 소에게 우황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이 담석에는 콜릭산 ·빌리루빈 · 에르고스테롤 · 비타민D 등이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때문에 한방에서는 이를 해열제, 해독제, 진정제, 진통제, 또는 강심제로 쓴다.
오늘날 시판되는 우황은 중국산과 북아메리카산이 많다. 대개의 모양은 구상(球狀)의 작은 덩어리이고, 지름은 약 2cm이다. 색은 담색 또는 황갈색이며, 재질은 가볍고 쉽게 부서진다. 한때는 제주도가 특산이였다.
하지만 정사면체(피라미드) 모양의 우황이 상품이며, 동그란 모양의 우황은 B급이라 한다. 국산-콜롬비아산-중국산 순으로 효과가 좋다.
황토흙을 빚어 가짜를 만든다고 하는데, 가짜의 밀도가 더 높다. 따라서 무게로 구분하면 진짜와 가짜를 분간하기가 쉽다. 그 외에 가루를 내어 손톱에 바른 후 닦아 보았을 때 '''손톱에 묻은 우황의 가루가 잘 안 닦이고 누런 색이 오래 남아 있을수록 상품이라고 한다.'''
소가 딸꾹질을 하면 가끔 우황을 입으로 토해내는 경우가 있다. 이를 생황이라고 하며, 그 희귀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우황 중에서는 가장 비싸다.
숙종 39년 7월 16일 우황을 먹고 싶었던 숙종[1] 이 말리지 않은 생우황을 구해 오라는 어명[2] 을 내려, '''조선시대에 왕명을 따르기 위해서 수백마리의 소가 도축되었다.''' 이게 보통 일이 아닌 게, '''현대 한국 사회에 맞게 해석을 하면, 산업 기반 트럭 수만대를 부숴버린 것과 같다.''' 보다 못한 신하들이 들고 일어나 막았지만 생우황은 결국 구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