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트 덴드로그램/애니메이션

 


'''인피니트 덴드로그램'''
インフィニット・デンドログラム

작품 정보 ▼
'''원작'''
카이도 사콘(海道左近)
'''캐릭터 원안'''
타이키(タイキ)
'''감독'''
코바야시 토모키
'''시리즈 구성'''
모모세 유이치로(百瀬祐一郎)
'''캐릭터 디자인'''
나카다 마사히코(中田正彦)[2]
'''총 작화감독'''
오오노 츠토무(大野 勉)
모리마에 카즈야(森前和也)
토쿠다 유메노스케(徳田夢之介)
'''미술 감독'''
츠키다테 이쿠코(槻舘育子)
'''색채 설계'''
마츠야마 아이코(松山愛子)
'''3D CG'''
사토 코이치(佐藤公一)
'''촬영 감독'''
이마이즈미 히데키(今泉秀樹)
아이다 유키(相田悠樹)
'''편집'''
타이후 그래픽스(颱風グラフィックス)
'''음향 감독'''
코이즈미 키스케(小泉紀介)
'''음향 제작'''
STUDIO MAUSU
'''음악'''
히라마츠 켄지(平松建治)
'''음악 제작'''
일본 컬럼비아
'''애니메이션 제작'''
NAZ
'''제작'''
인피니트 덴드로그램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0. 01. 09. ~ 2020. 04. 16.
'''방송국'''
[image] AT-X / (목) 23:00
[image] 애니플러스 / (토) 00:3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13화
'''국내 심의 등급'''
19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관련 사이트'''
,
}}}
1. 개요
2. PV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평가
7. BD&DVD

[clearfix]

1. 개요


라이트 노벨 인피니트 덴드로그램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방영 시기는 2020년 1월.
2019년 1월에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감독은 코바야시 토모키, 제작사는 하마토라 1기, 첫 갸루, 이모이모를 제작했던 NAZ. 아무래도 전작 이모이모의 퀄리티가 너무나도 압도적이었던지라 퀄리티에 대한 걱정이 많고, 같은 분기 ID:INVADED와 다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감독과 캐릭터 디자인은 칭송받는 자의 코바야시 토모키와 애니메이터 나카다 마사히코. 티어즈 투 티아라 이후로 두 사람이 11년만에 다시 호흡을 맞추는 작품이 되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NAZ가 담당하지만 주요 스태프인 코바야시 감독과 나카다 마사히코는 WHITE FOX 소속이다.
애니메이션 진도를 어디까지 뺄지도 걱정되는데, 4권 분량을 1쿨에 집어넣으려면 외전을 다 빼도 오프닝 할 시간이나 있을지 의심되는 수준이다. 그렇다고 2권 분량으로 고즈메이즈전까지 만들면 앞부분 떡밥을 모조리 날려버리는 상황이라, 2쿨로 만들면 되지만 과연 그럴만한 판매량이 나올만한 퀄리티를 뽑아낼 수 있을지 의문(...).
본편에서 다루지 못한 설정을 친절하게 풀기 위해 '어째서 왜 덴드로그램'이라는 미니 애니메이션 파트가 있다. 하지만 국내 수입사인 애니플러스의 방영분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 PV



'''PV 제1탄'''

'''PV 제2탄'''


3. 등장인물




4. 주제가


'''인피니트 덴드로그램 여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Unbreakable
'''노래'''
유우키 아오이[릴리아나]
'''작사'''
Hisakuni
'''작곡'''
카나자키 마사시(金崎真士)
'''편곡'''
'''애니메이션'''
HOTZIPANG
가사는 가능성이 절망적이여도 포기하지 않으려고 하는 주인공을 묘사한 모양인데, 작품이 게임물이라 가사가 여러모로 가챠를 연상케 한다. '소수점 넘어서 반드시 존재하는 희망'이라던가 '바라지 않는 현실에'라던가 '1퍼센트 이하라도'라던가. 그런데 이거 PV는 정작.... 직접 보자.
'''인피니트 덴드로그램 닫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Reverb
'''노래'''
우치다 아야
'''작사'''
오오니시 요헤이(大西洋平)
'''작곡'''
쿠로스 카츠히코(黒須克彦)
'''편곡'''
'''애니메이션'''
HOTZIPANG

5. 회차 목록


  • 2월 20일자 방송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제작 사정에 차질이 생겨 휴방되었다.#
  • 전화 각본: 모모세 유이치로(百瀬祐一郎)
'''회차'''
'''제목'''[1]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可能性の始まり
가능성의 시작

코바야시 토모키
와타나베 스미오
(渡辺純央)

노무라 유마
(野村優真)
오카다 마사토
(岡田雅人)
사토 유우코
(佐藤ゆうこ)
미나미 신이치로
나카자와 유이치
(中澤勇一)
니시지마 케이스케
(西島圭祐)
콘도 이즈미
(近藤いずみ)
토미타 요시유키
(冨田佳享)

오오노 츠토무
(大野 勉)

日: 2020.01.09.
韓: 2020.01.11.

제2화
墓標迷宮
묘표 미궁

하바라 쿠미코
(羽原久美子)

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이카이 카즈유키
켄모츠 케빈 유타
(監物ケビン雄太)
누마타 히로시
(沼田 広)
와다 신이치
(和田伸一)

모리마에 카즈야
(森前和也)

日: 2020.01.16.
韓: 2020.01.18.

제3화
超級
슈피리어

코타니 나오키
(児谷直樹)

미요시 나오
(三好なお)

시마자키 노조무
(島崎 望)
마츠모토 히로시
(まつもとひろし)
朱荣双
EverGreen
타키가와 카즈오
(瀧川和男)
나카무라 신고
(中村真吾)
니시지마 케이스케
(西島圭祐)
아사리 아이
(浅利歩惟)
토리이 쇼타
(鳥井祥太)
장희규

모리마에 카즈야
오오노 츠토무

日: 2020.01.23.
韓: 2020.01.25.

제4화
逆転は翻る旗の如く
리버스 애즈 플래그

코바야시 토모키
사사키 타츠야
(佐々木達也)

謝宛倩
카마다 히토시
(鎌田 均)
미나미 신이치로
花輪
이경
(李慶)
李映霞
尤茜

토쿠다 유메노스케
(徳田夢之介)

日: 2020.01.30.
韓: 2020.02.01.

제5화
地獄門
지옥문

타마가와 마코토
(玉川真人)

스즈키 요시나리
(鈴木芳成)

송진영
황영식
타다 카즈하루
(多田和春)
사쿠라이 코노미
(桜井このみ)

모리마에 카즈야
日: 2020.02.06.
韓: 2020.02.08.

제6화
小数点の彼方
소수점의 저편

세키야 마미코
(関谷真実子)

무라나가
(村長)

화조동화제작집단
(火鳥動画制作集団)
빛의 정원 애니메이션
(光の園.アニメーション)
쥬몬도
(寿門堂)
tap

토쿠다 유메노스케
日: 2020.02.13.
韓: 2020.02.15.

제7화
決闘都市
결투 도시

우에하라 히데아키
(上原秀明)

우스다 요시오
(臼田美夫)

이카이 카즈유키
이와타 류지
(岩田竜治)
이마다 아카네
(今田 茜)
켄모츠 케빈 유타
쿠와하라 료스케
(桑原良介)
누마타 히로시
하나와 미유키
(花輪美幸)
모리마에 카즈야
와다 신이치

모리마에 카즈야
오오노 츠토무

日: 2020.02.27.
韓: 2020.02.29.

제8화
超級激突
슈피리어 격돌

요시다 히데토시
(吉田秀俊)

와타나베 스미오
장희규
권오식
임근수
신재익
타다 카즈하루
토리이 쇼타
Jumondou Seoul
tap

모리마에 카즈야
타키가와 카즈오

日: 2020.03.05.
韓: 2020.03.07.

제9화
狂宴の始まり
광연의 시작

아오야기 류헤이
(青柳隆平)

김형일
나카무라 신고
니시지마 케이스케
콘도 이즈미
장희규
정연순
오은수
김형일
박훈
Jumondou Seoul
시드
(シード)

日: 2020.03.12.
韓: 2020.03.14.

제10화
盤上の攻防
게임판 위의 공방

사이토 히사시
(斉藤 久)

키무라 히로시
(木村 寛)

王敏
周健
周林
姜智慧
趙小川
劉冬冬
사이토 히사시
쥬몬도

日: 2020.03.19.
韓: 2020.03.21.

제11화
勝利者の右腕
승리자의 오른팔

야나세 유지
신재익
정연순
김형일
박훈
오은수
장희규
타다 카즈하루
나카무라 신고
Big Owl
쥬몬도

日: 2020.03.26.
韓: 2020.03.28.

제12화
破壊王
킹 오브 디스트로이

아오야기 류헤이
쿠로세 다이스케
(黒瀬大輔)

신민섭
이상진
김석융

日: 2020.04.02.
韓: 2020.04.04.

제13화
可能性を繋ぐ者達
가능성을 잇는 자들

시마즈 히로유키
고하라 쇼토쿠
(郷原承徳)

타다 카즈하루
정연순
임근수
박훈
오은수
김형일
신재익
쥬몬도

타키가와 카즈오
日: 2020.04.16.
韓: 2020.04.18.


6. 평가


결국 우려대로 작화 상태는 좋지 못하다. 거기다 오프닝 만들 시간조차 없었는지 PV컷 붙여넣기에 온갖 프랙탈로 오프닝을 때우고 있다.
4화에 이르러서 작붕이 정말 심각해졌다. 그전까진 적어도 평범한 저예산 애니 정도의 작화는 냈는데, 4화에 와선 점점 눈 위치가 이상해진다 싶더니 작붕이 심심하면 나온다...
7화에선 코로나 때문이긴 하지만 한 주 휴방을 해서 그런지 작화가 다시 안정적으로 돌아왔다.
애니메이션이 끝까지 완벽하게 묻히는 작품이 되자 원작팬들은 이따위로 제작한 NAZ를 증오한다며 이를 갈고 있다. 특히 같은 제작사에서 만들어 같은 시기에 방영된 ID:INVADED가 상당한 퀄리티로 호평받았고, 옆동네의 다른 VRMMO 판타지 애니가 제작사를 잘 만나 중국, 해외 등에서 대박이 터지자 더욱더 한탄하는 분위기(...)

7. BD&DVD


'''01권'''
'''02권'''
'''03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20년 04월 1일
'''
'''[image] 2020년 05월 13일
'''
'''[image] 2020년 06월 10일
'''

'''01권'''
'''02권'''
'''03권'''
¥13,000 (소비세별도)
COXC-1241
¥13,000 (소비세별도)
COXC-1242
¥13,000 (소비세별도)
COXC-1243
1화 ~ 4화
원작 일러스트 "타이키"가 새로 그린 BOX
캐릭터 디자인 "나카다 마사히코"가 새로 그린 디지팩

동봉특전
원작자 "카이도 사콘"이 새로 쓴 오리지널 소설 "The Southern Cross" (544P)

영상특전
어째서 왜 덴드로그램 제0화~ 제7화
원작자 "카이도 사콘"이 새로 쓴 시나리오 어째서 왜 덴드로그램 Blu-ray 특별판 제1화
OP/ED

음성특전
오디오 코멘터리 제1화 출연: 사이토 소마 (레이 스탈링), 오오노 유우코 (네메시스), 이자와 시오리 (체셔)
5화~8화
원작 일러스트 "타이키"가 새로 그린 BOX
메카디자인 "야마네 마사히로"가 새로 그린 디지팩

동봉특전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CD
소책자 (16P)

영상특전
어째서 왜 덴드로그램 제8화~ 제14화
원작자 "카이도 사콘"이 새로 쓴 시나리오 어째서 왜 덴드로그램 Blu-ray 특별판 제1화
PV집

음성특전
오디오 코멘터리
제5화 출연: 무라세 아유무 (유고 레셉스), 오구라 유이 (큐코), 오오노 유우코 (네메시스)
[릴리아나] 본 작품에서 릴리아나 그란드리아의 성우를 맡고 있다.[1]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