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야구기구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를 총괄하는 일본의 스포츠기관. 한국의 KBO나 미국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무국과 같은 구실을 한다.
일본프로야구뿐 아니라 일본의 사회인야구리그인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도 일본야구협회, 마이니치 신문과 공동 주관하고 있다.
2. 역사
전신은 1936년에 출범한 일본직업야구연맹이다. 1936년 2월 5일에 도쿄 자이언츠와 오사카 타이거즈, 나고야 군, 다이도쿄 군[2] , 한큐 군, 도쿄 세네타스, 나고야 긴고군 등 7개 팀이 야구 관련 기구 설립에 합의해 일본직업야구연맹을 출범했다. 그리고 그해 4월에 첫번째 일본프로야구 경기가 치뤄졌다.
이듬해인 1937년에 고라쿠엔 이글스[3] 가 합류했고 1938년 9월부터는 남해군이 합류해 9개 구단이 소속되었다.
1939년에 일본직업야구연맹에서 일본야구연맹으로 이름을 변경하였고,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가 분리되는 1950년에 해산되었다. 이후 센트럴리그 사무국과 퍼시픽리그 사무국이 각각의 리그를 담당하게 되었다.
각 리그 사무국이 설치되긴 했지만 1951년에 일본프로페셔널 야구조직(日本プロフェッショナル野球組織)이 결성,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의 전반적인 운영을 맡았으며 이후 일본야구기구가 창설, 통합되는 2007년까지 일본프로페셔널 야구조직은 리그 규정을, 일본야구기구는 리그 마케팅을 담당했다.
이후 기구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고 리그 흥행을 극대화 하기 위해[4] 일본프로페셔널 야구조직이 일본야구기구 산하로 편입되었다.
3. 커미셔너
일본야구기구의 수장으로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커미셔너는 주 1회 업무를 주관하며 연봉은 2억 4천만원이다.
4. 산하 기관
NPB 기업(NPBエンタープライズ)이라는 단체가 있다. 이 단체는 일본야구기구가 3000만엔, 일본야구기구 소속 12개 구단 500만엔을 출자해 2014년 11월에 설립된 기관으로 TV 중계권등을 관리하고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브랜드 활성화 및 수익화 작업과 국제대회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쉽게말해 KBO 산하의 KBOP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는 셈.
[1] 사단 법인으로 전환된 해. 전신인 일본야구연맹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1936년 2월 5일.[2] 이후 쇼치쿠 로빈스와 합병됨[3] 도호쿠 라쿠텐 이글스와는 전혀 상관없는 팀. 1937년에 창단해 1943년에 해체.[4] 정확하게는 2004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해체후 단일리그 관련되어 일본 야구계에서 논의가 활발히 일어났을때 이를 컨트롤할 타워의 부재이 후폭풍이 일고난 후 .[5] 이 사람 재직 중 검은 안개 사건이 일어났다.[6] 대한민국의 법제처와 동일.[7] 나중에 새역모 지지자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8] 2011~2012년 극악의 투고타저를 불러온 통인구 반발계수 조작사태에 대해 무책임하게 대응했다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사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