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성장군

 

[image]
[image]

'''一星龍(イーシンロン)'''[1]
(위의 사진이 일성장군. 밑에 있는 사진은 사악룡들 전원의 힘을 얻어 변화된 초일성장군.)
1. 개요
2. 작중 행적
3. 파워


1. 개요


Syn Shenron / Omega Shenron

"날 용서할 수 없다? 그런 나를 창조한 게 누구냐! 바로 너다, 손오공. 너희들이 드래곤볼을 남용해왔기 때문에 내가 태어난 거다. 지구가 이상해진 건 다 너희들이 자초한 일일 뿐. '''실컷 드래곤볼에 기대해왔던 주제에 헛소리 지껄이지 말란 말이다.'''"


드래곤볼 GT의 최후의 적인 사악룡 중 하나이자, 사악룡들을 지배하는 최강자. 드래곤볼 GT의 '''진 최종보스'''이자 드래곤볼 구애니 시리즈의 최종보스라고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성우는 시바타 히데카츠[2] / 정동열[3] / 밥 카터.
본디 일판명은 '''일성룡'''이지만, 국내에 와서 '''일성장군'''으로 개명되었다. 비디오판 더빙의 영향인 듯 게임판에서도 쭉 일성장군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고 있다. 일성룡이라는 명칭보단 일성장군이 더 간지나고 있어보이기 때문인지 국내 팬들은 그냥 일성장군으로 부른다. 다른 사악룡들도 마찬가지.

2. 작중 행적


일성구를 가지고 구름을 휘저으면서 몸을 갖추게 된 악룡이다.[4] 드래곤볼 GT 최강의 적으로 허리와 팔꿈치와 무릎에 있는 검은 가시로 적을 꿰뚫을 수 있다. 보통 때는 일성구가 이마에 붙어 있지만 초일성장군 때는 일성구가 가슴으로 옮겨가며 다른 드래곤볼이 둥글게 감싼 모습이 된다. 냉혹하고 무자비하며 자신 이외의 모든 것을 깔보는 듯한 거만한 성격이지만 버닝 스핀 기술을 사용했던 사성장군은 일성장군을 겁쟁이라고 조롱했다. 실제로 등장하면서 가장 먼저 한 짓이 손오공의 눈이 낫지 못하도록 약을 깨버린 것이어서 일성장군 본인도 반박하지 못했다. 다른 사악룡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절대적인 파워를 자랑하며, 10배 에네르기파에도 쓰러지지 않는 힘으로 초사이어인 4 오공을 압도했다. 그러나 오공이 오반 일행에게 힘을 받아 초사이어인 4의 풀파워를 초월한 상태로 맞서자 이내 밀리기 시작했고, 이에 다른 6개의 드래곤볼을 흡수해서 초일성장군[5]으로 변신한다. 본인에 따르면 초일성장군의 모습이 본래의 모습이며 일반 일성장군 파워의 10배 이상이라고 한다. 초일성장군 상태에서 다른 장군들의 기술까지 쓰면서[6] 오공을 일방적으로 압도한다.
그렇게 승리를 거머쥐는 듯 했지만, 오공의 눈이 순식간에 나았고 이 사실을 간파하지 못해 방심한 채로 오공에게 에네르기파 + 용권 기습을 당해 죽을 뻔 했다가 사악룡의 능력으로 재생/부활한다. 이후 오공은 자신이 이길 수 없음을 인지하고 일성장군을 상대로 자폭을 시전하려다 갑자기 합류한 초사이어인 4 베지터와 같이 엄청난 기를 발산하지만 "피래미가 모여봐야 피래미일 뿐이다"라는 조롱을 듣고 베지터가 곧바로 퓨전을 제안한다. 오공과 베지터가 퓨전초사이어인 4 오지터는 초일성장군을 압도적으로 발라버린다. 빅뱅 에네르기파를 맞으면서 큰 대미지를 받고 다른 여섯 드래곤볼을 잃어버리는데, 오지터의 퓨전이 풀린 틈을 타서 그 중 다섯 개의 드래곤볼을 다시 흡수한다. 이때 흡수하지 못한 드래곤볼은 사성구였고, 초사이어인 4가 풀린 오공이 사성장군을 부활시킨다. 이때 사성장군은 일성장군을 궁지로 몰아넣으면서 자긴 안 죽는다고 언급하는데, 여기서 일성장군이 힌트를 얻어 사성장군의 몸을 빼앗는다. 그렇게 다시 드래곤볼 7개를 모두 흡수해 다시 초일성장군이 된다.[7]
다시 오지터가 되어 싸우려 하지만 이번에는 베지터마저 초사이어인 4가 풀려버리고, 파워가 다운된 오공과 베지터를 완전히 압도했으며 마침내 마이너스 에네르기 볼로 오공을 죽이는 데에 성공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더 마이너스 에너지를 온 지구에 뒤덮고 베지터와 원군으로 온 손오반 손오천 트랭크스 세 명이 상대하나 역부족이었고 베지터에게 오공처럼 죽으라고 하자 베지터는 '''"무슨 개소리냐..? 네 놈의 패배다."'''라고 하고 쓰러진다. 그런데 불사의 영혼 상태의 오공이 전 우주의 기운을 모아 원기옥을 만드는데, 일성장군은 오공을 향해 기공파를 퍼붇지만 전혀 대미지를 주지 못한다. 그리고 두려움에 떨며 저항도 못하며 원기옥에 맞고 소멸당하는 최후를 맞는다.

3. 파워


Z최강이었던 부우나 그 외의 강자인 셀, 프리저에 비하면 포스가 한참 모자라는 편이다. 그래도 계왕신이 말했던 드래곤볼의 재앙으로 나온 적인데, 드래곤볼에서 시작한 만화에서 드래곤볼에 의해 마지막 최강의 적이 나오게 되었다는 상징성은 좋다만 포스, 목적이 불분명해서 까인다. 하는 짓도 문제고 디자인도 혹평인데다 GT의 단골 까임 소재인 허접한 전투신의 최대 피해자인지라. 나름 필살기인 마이너스 볼의 크기가 무슨 프리저전의 원기옥보다도 조그마할 정도니. 물론 위력은 차원이 다를 정도로 마이너스 볼의 위력이 높다.
포스가 한참 모자랄 뿐이지[8] 부우, 셀, 프리저보다 훨씬 강한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Z최강이었던 부우의 경우는 초사이어인 3인 손오공과 호각으로 맞선 반면, 눈이 안보이는 데다 힘이 어느 정도 소모된 상태였다지만 변신 없이도 마인부우보다도 강한 GT의 손오공이 초사이어인 4가 되었음에도 역으로 압도했으며[9], 오공 본인이 지금까지의 상대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인정하고 오반 일행에게서 자신의 풀파워를 훨씬 초월한 기를 받아서 맞설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초일성장군 상태에서는 원래 상태보다 최소 10배 이상 강해졌다고 호언장담하며 풀파워를 초월한 초사이어인 4 오공까지 압도했고, 그 베지터조차 등장하자마자 오공에게 퓨전을 제의할 정도였다.[10] 또한, 이후 15대 이전 계왕신의 대사 및 GT 퍼펙트 파일에서 초일성장군 한 명의 힘으로 우주를 멸망시킬 수 있다고 언급된다.[11]
여담이지만 사이어인 편부터 등장한 보스들이 했던 짓을 거의 다 해본 희한한 캐릭터다. 특히 마인부우와 많이 겹치는 편이다. PS2 드래곤볼Z3에서는 처음부터 기를 풀로 채우고 시작한다. 일성장군 때의 필살기술은 에너지 탄을 연속 발사하는 "초살마광탄"[12]이 있고 초일성장군 때는 다른 악룡들의 기술과 가슴에 박힌 드래곤볼이 붉게 변하면서 마이너스 에너지를 한 곳에 모은 '마이너스 에너지 파워 볼'이 있다.
[1] 일본어판 한정으로 사악룡의 이름은 중국어식 독음으로 읽는다. 정확하게는 '잇세이류(いっせいりゅう)'와 같은 일본어식 독음이 아닌 이싱룽(Yixinglong, 一星龍의)을 가타카나후리가나 표기하고 읽는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드래곤볼 각 성구와 신룡 또한 이러한 중국어식 독음으로 읽는다.[2] 무인편에서 차파왕을 맡았다.[3] 원판과 비슷한 연기톤을 보여줘 비디오판에서 몇 안되는 호평받는 더빙 중 하나, 직접 자. [4] 여기서 이상한 점은 사악룡이 일곱 명으로 나뉘어지면서 흩어질 때 드래곤볼에서 곧바로 나타난 사악룡의 형태로 날아갔는데 구름을 휘저으면서 몸을 갖추게 되었을 때는 다른 악룡과 같은 형태였다는 점이다.[5] 해외판에서는 오메가 신룡이라고 부른다.[6] 다른 장군의 기술을 쓸 때는 해당 드래곤볼이 빛난다.[7] 칠성장군의 기생능력을 그대로 이용한 듯. 불완전한 초일성장군 상태에서도 흡수된 드래곤볼의 능력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용권에 의해 바스라져버린 신체도 오성장군의 전기슬라임을 이용해 재생시켰다.[8] 첫 등장할 때부터 안약을 바르려던 오공과 사성장군을 기습해대고, 이후 사이야파워를 받은 오공에게 털리다가 겨우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서 드래곤볼을 흡수하는 건 시작일 뿐. 이후에는 용권에 산산조각나고, 오지터에게 망신당하다가 퓨전이 풀리는 천운으로 살아남고, 자신보다 약한 사성장군의 필살기에 다 죽어가다가 몸을 빼앗아서 살아남았다. 이모양 이꼴에 포스가 있을수가...[9] 10배 에너지파를 정면으로 맞았는데도 아무런 타격을 입지 않았다.[10] 실제로 퓨전이 풀린 이후, 초사이어인 4 오공과 베지터가 동시에 덤볐지만 도리어 일방적으로 압도당했다.[11] 다만, 일격에 의한 파괴가 아닌 그에게 넘쳐 흐르는 마이너스 에너지의 침식으로 인한 멸망이다. 지구를 중심으로 서서히 전 우주까지 마이너스 에너지가 퍼져나가 결국에는 우주가 멸망한다는 것.[12] 사성장군을 골로 보내버린 손가락 에너지파로 최신 미디어믹스에서는 암흑용살탄이라는 명칭으로 나온다. 같은 사악룡인 사성장군을 죽였으니 적절한 네이밍 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