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리가나

 

[image]
'''(仮名(がな'''
1. 개요
2. 특이한 사용법
2.2. 숙자훈
2.2.1. 예시
3. 컴퓨터에서
4. 유사 사례
5.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어에서 한자를 읽는 법을 표시해 주는 문자. 후리가나를 예로 들면 振り仮名라고 적고 振 위에 조그맣게 ふ, 仮名 위에 조그맣게 がな라고 적는다. 가로쓰기에서는 글자의 위에, 세로쓰기에서는 글자의 오른쪽에 단다. 읽는 글자라는 뜻에서 요미가나(読み仮名)라고도 하며 사용되는 글자체의 명칭에서 따와 루비 문자라고도 부른다. 줄여서 루비.
대부분 한자에 1개, 일부 한자에만 좀 더 많은 음이 존재하는 한국어중국어와 달리 일본어에서 대부분의 한자는 굉장히 다양한 방식으로 읽을 수 있으며, 어느 정도 규칙성은 있지만 수많은 상황에서 '''눈치껏''' 적절한 음으로 읽어야 한다. 일본 한자음에는 오음, 한음, 당음, 관용음 이렇게 네 가지 종류의 음이 있으며, 몇백년에 걸쳐 몇십개의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동안의 음을 통합 없이 모조리 들여왔다. 그리고 일본어는 여기에 훈독까지 추가된다. 심지어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 자체가 훈독인 경우도 많다. 그리고 자기 마음대로 읽는 방법을 만들수도 있다. DQN네임,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참조.
이 때문에 한자로 쓰인 인명이나 지명을 어떻게 읽을지 알려주기 위해 한자 위에 가나를 적어놓는 것이 후리가나다. 명함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 처음 보는 사람은 小鳥遊八月一日, 四月一日, 五月七日라는 성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알 수 없을 것이다.
또 하나의 기능은 한자에 익숙지 않은 유소년층과 외국인들을 위해 친절히 읽는 법을 알려 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을 주 독자로 잡는 소년만화에는 모든 한자에 후리가나가 달려 있는 반면, 독자가 좀 더 학력을 쌓았다고 가정하는 청년만화에는 대개 (앞에서 언급한) 필요한 경우에만 달려 있어 둘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대표적으로 NHK News Web Easy 기사들에는 한자에 후리가나가 달려있다.
다만 후리가나 자체의 크기가 작다 보니, っ, ゃ, ゅ, ょ 등의 작은 가나는 일반 크기의 가나(つ, や, ゆ, よ)로 적히는 경우가 많다. 이미 후리가나 자체가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더 작게 하면 알아보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却下에 후리가나를 단다면 きゃっか가 아니라 きやつか라고 다는 경우가 많다. 현대 가나 표기법에도 ‘요음에 쓰이는 や, ゆ, よ는 '''되도록''' 작게 쓴다’, ‘촉음에 쓰이는 つ는 '''되도록''' 작게 쓴다’[1]고 되어 있기 때문에, 요음에 쓰이는 や, ゆ, よ와 촉음에 쓰이는 つ를 작게 쓰지 않아도 엄밀히 말해서 틀린 것은 아니다. っ, ゃ, ゅ, ょ 등의 작은 가나는 일본어의 한자 읽기에서 규칙적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게 헷갈릴 일은 없으나, 고유명사가 문제가 된다. 번역자가 이것을 구분하지 못하면 하쯔토리 헤이지, 키츠쇼하루카제 고등학교처럼 본명을 잃어버리기도 하고, 왓카나이가 '와츠카나이'가 되기도 한다.원문
기본적으로 후리가나는 한자 독음을 달아두는 데 쓰지만 가타카나 위에 히라가나로 후리가나를 달아놓기도 한다. 유아들을 위한 글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일본인들도 일본어 학습에서는 히라가나를 먼저 배우기 때문에 글을 이제 막 배운 유아들에게는 가타카나가 더 어렵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2. 특이한 사용법


일본어에서는 한자와 그 후리가나가 따로 노는 경우가 있다.

2.1. 아테지


한자의 의미가 관련 없는 경우. 가차에 해당하는 용법이다. 예를 들면 珈琲(가배)라고 쓰고 コーヒー(커피)라고 읽는 식이다. 여기서 珈와 琲는 뜻이 없으며 소리가 유사해서 갖다붙은 것이다.

2.2. 숙자훈


熟字訓(じゅくじくん
한자 한 글자에 일본 고유어를 대응하는 훈독 개념의 발전판으로, 두 자 이상의 한자에 하나의 고유어를 갖다붙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른이라는 뜻의 おとな[2]에는 大人라는 한자를 붙이는데, 이는 おとな라는 일본어가 大人라는 한자에 연결된 것이다. 大人가 통으로 おとな에 대응하기 때문에 大人를 おと/な 혹은 お/とな로 끊어 읽는 것이 불가능하다.
게임, 만화, 소설 등의 매체에서 한 단어에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후리가나로 달아 해석의 폭을 넓히기도 한다. 메탈기어 시리즈 등에서 이런 방식을 자주 사용(애용한다. 반드시 실제 의미가 유사해야 할 필요는 없고 작품 내에서 내포하는 의미가 유사하면 갖다붙일 수 있다.

2.2.1. 예시


  • 옛 문건에서

(こく(せい調(てう(社會(よのなか實況(ありさま((ため(おこなふので課税(ぜいきん(ためでも犯罪(ざいにん(さが(ためでもありません

다이쇼 9년 국세조사 포스터(이미지)

다이쇼 9년(1920년)에 제작된 포스터를 살펴보면,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사용하였고(調査: てうさ→ちょうさ) 실제 한자의 음독을 무시하고 후리가나를 붙인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훈독 일본어로는 사회((しゃ(かい)에는 ((なか, 실황((じっ(きょう)에는 (あり(さま를 사용하였다. 음독 한자를 후리가나로 쓴 경우를 보면, 과세(((ぜい)에는 세금((ぜい(きん), 범죄((はん(ざい)에는 죄인((ざい(にん)을 사용했다.
  • 창작물에서

'''“이는 L노트(전설이자 내 노트(유서이다.”'''

데스노트 어나더 노트 로스앤젤레스 BB 연속 살인사건에서

첫 '노트'는 전설이라는 뜻을 포함하는 '노트'이며, 다음 '노트'는 유서라는 뜻을 포함하는 '노트'이다.
그 외에도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서 '유파문(幽波紋)'이라 쓰고 '스탠드'라고 읽는 것이나, '''世界(세계)'''라 쓰고 '''더 월드'''로 읽는 등 이런 사례를 자주 찾아볼 수 있으며, 사실 죠죠뿐만 아니라 게임, 만화, 소설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방식이다. 더 자세한 사례는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문서 참조.

3. 컴퓨터에서


한컴오피스 한글에서는 '덧말' 기능을 이용하여 후리가나를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문을 男の娘라고 쓰고 덧말을 おとこのこ라고 넣어 보면 男の娘 위에 조그맣게 おとこのこ라고 나온다. 후리가나를 자동으로 붙게 하고 싶으면, '도구-글자판-언어선택사항-확정-요미가나를 위 덧말로'를 설정해주고 입력하면 된다. Microsoft Word에서는 텍스트를 블록 잡고 '윗주 달기'(영어판 명칭 phonetic guide)를 누르면 그 단어에 맞는 후리가나가 '''자동으로''' 붙는다. 물론 人気처럼 다양하게 읽힐 수 있는 건 문맥에 따라 바로잡아 줘야 할 수도 있다. 참고로 ruby 태그가 적용된 HTML 문서를 MS 워드와 한/글에 복붙할 경우, MS 워드는 잘 알아먹지만('윗주 달기'로 자동으로 변환해서 받아들임) 한/글은 못 알아먹는다('덧말' 기능으로 변환하지 못함).
웹페이지에 후리가나를 달도록 변환해주는 프로그램, 웹사이트들을 구글 검색하면 찾을 수 있으니 일본어 공부나 필요시에 사용하면 편리하다. 후리가나를 사용한 페이지의 예시.
나무위키에는 루비 틀을 이용해 후리가나를 달 수 있다. 이 문서의 편집 기능을 활용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ruby(漢字), ruby=かんじ)]
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4. 유사 사례


[image]
이 사진은 MSG항목에 게재되어 있던 것을 가져온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이렇게 한글을 후리가나처럼 일본어 위에 달아 놓기도 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한자 옆에 한글 달린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를 한자 위에(가로쓰기) 혹은 오른쪽에(세로쓰기) 후리가나처럼 덧말로 붙여 독음을 알려주기도 한다.
최근에는 현대 중국어에서 애니나 영화 등 동영상 자막을 보면 한자 위에 영어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후리가나 비스무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병음이 아니라 진짜 영어로.#[3]

5. 관련 문서



[1] 원문: 拗音に用いる「や、ゆ、よ」は、'''なるべく'''小書きにする。, 促音に用いる「つ」は、'''なるべく'''小書きにする。 (볼드는 임의로)[2] 오토나[3] 모 한일합작 애니메이션의 원판에 중국어판 자막을 씌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