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이박동

 


2010년 초반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새롭게 제기 되었었던 스타크래프트 관련 용어.
기존의 임이최마 본좌라인에서 MSL 연속 우승자인 최연성 을 제외하고 온게임넷 스타리그 커리어가 막강한 박성준이제동을 넣어 본좌라인을 새롭게 구성하자는 논리이다.
MSL의 연이은 논란과 대놓고 하는 부커질에 질린 스타크래프트 팬들의 인식이 MSL을 '''하부리그, 이벤트전'''으로 폄하하는 쪽으로 변해가고, 이에 따라 MSL 우승은 커리어에서 이벤트전으로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MSL에서 날렸던 과 최연성 역시 본좌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는 극단적인 주장까지 나왔다.
물론 이 이론은 아발론 MSL 이전의 MSL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던 리그라는 점, 최연성과 이 그 당시에 막강한 포스를 내뿜던 프로게이머로서 단순히 커리어로서만 본좌를 설명해서는 안 된다는 점 때문에 한 때의 논의로 그치게 될 공산이 컸다. 무엇보다 e스포츠계에서 '본좌'라는 정의의 탄생에는 이 가장 큰 역할을 했기에 더더욱 그랬다. 그리고 이 담론의 주된 의도는 박성준&이제동을 찬양하거나 최연성& 을 까는 것이 아니라 바로 '''MSL'''을 까는 거였다.[1] 하지만 최연성이나 의 팬들이 좋게 볼 담론은 아닌 게 분명할 뿐만 아니라 최연성과 의 팬층도 상당히 두터운 편이다 보니 그딴 걸로 우리 본좌님을 끌어낼 생각 따위는 하지도 말라는 식으로 제동을 걸었을 가능성도 있다. 거기다 결정적으로 최연성은 '''임이박동중 임요환까지 꺾고 우승했고, 임요환과 승수로도 동일했는데 임요환만 유지시키고 최연성을 빼는건 전형적인 이중잣대다.'''[2]
그러나 이런 논의가 있다는 것 자체가 MSL의 실책에에 따라 팬들이 얼마나 실망했는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했을 때, 이런 인식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스타리그와 MSL의 위상이 현재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으로 전개될 공산이 크다고 할 수 있었다. 게다가 '''NATE MSL 결승에서의 최대의 사건'''로 인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MSL이 커리어의 시초인 혁명가 김택용, 독사 박성균, 정ㅋ벅ㅋ자ㅋ 박지수 등만 억울하게 되었다. 그 외에 박태민도 MSL 우승 커리어가 부정되면 졸지에 명예의 전당 헌액자에서 락라인이 되어버린다(...). 나름 3신전이라고 불리는 등 시대를 풍미한 선수인데. 조용호 역시 MSL 우승 커리어가 부정되면 명예의 전당 헌액자에서 콩라인에 잔류하는 족강을 먹는다.[3]
하지만 온게임넷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이 각종 트러블을 양산해내고 정작 엠겜하나대투증권 MSL은 깔끔하게 진행된 탓에 이 논란은 깔끔하게 끝났다.
임이최마의 경우 이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크게 연루되어 기존 본좌론의 존폐마저 거론되고 있었지만, 임이박동의 박성준이제동은 다행히도 승부조작과는 관련이 없어 임이박동이 본좌론으로 대두될 가능성은 있었다. 하지만 본좌론 자체를 버리자는 말이 많았고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본좌론은 사실상 숨통 자체가 끊어져 버렸다. 역시 본좌론의 중심인 의 부정행각이 본좌론 자체를 압살해버렸다고 할 수 있다.
임이박동의 멤버도 임이최와 마찬가지로 모두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 최연성과 두 명 다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경력이 있다.[2] 이 2명은 OSL 우승 횟수도 2회로 같다.[3] 조용호는 원래 이윤열 1명한테 양대리그 결승에서 동시에 깨지는 바람에 콩라인이였다. 그걸 우승 1번으로 탈출한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