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의병

 




丁未義兵
정미의병
丁未義兵

[image]
구한 말 의병의 자료 중에서도 특히 잘 알려진 사진[1]
시기
1907년
장소
한반도 전역
원인
정미7조약으로 인한 고종의 강제 퇴위에 반발
교전 세력
일본 제국
의병
지휘관
일본 제국
<^|1>13도 창의군
병력
불명
불명
피해
불명
불명
결과
일본 제국의 승리
총포급 화약단속법(銃砲及火藥團束法) 제정
영향
잔존 의병 세력의 추후 독립을 위한 만주독립군의 성립
1. 개요
2. 배경
3. 전개
4. 의병 목록

[clearfix]

1. 개요


1907년 정미7조약으로 인한 군대 해산 및 고종의 강제 퇴위에 반발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의병. 구한말 시기 일어난 수 차례의 의병 활동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활동을 펼쳤으나 남한대토벌작전으로 대표되는 일제의 강경한 탄압으로 인해 결국 붕괴된다. 이후 잔존한 의병 세력은 만주와 같은 국외로 탈출하여 독립군으로 재편성된다.

2. 배경


1905년 을사조약을 통하여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외교권을 박탈당한다. 이에 대항하여 고종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3명의 특사를 파견하여 조약의 부당함을 알리는 최후의 저항을 시도해보지만, 끝내 무산됐고 이를 빌미로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황위에 앉힌다. 아직 전근대적인 근왕 사상이 사회 곳곳에 퍼져있던 한반도에서 고종의 강제 퇴위는 엄청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907년 정미 7조약을 통해 진행된 군대 해산이 이런 반발 심리에 불을 붙인다.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 박승환이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자결하자, 분노한 병사들이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며, 지방의 진위대에서도 각종 무장 봉기가 일어났다. 이러한 무장 봉기들은 압도적인 화력을 갖춘 일본군에 의하여 실패했지만 다수의 시위대와 진위대의 군사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신식 무기를 가지고 탈영하여 각 지방의 의병 부대[2]로 참가했고 그 결과 의병들은 기존보다 훨씬 강한 전투력을 보유하게 됐다.

3. 전개


1907년 8월 1일 군대해산에 반발해 봉기한 대한제국군 시위대남대문 전투로 정미 의병은 시작된다. 다음날인 8월 2일 원주에서도 진위대 병사들이 여주의 진위대 병사들 및 의병들과 함께 무기고를 점령하고 봉기를 일으킨다. 이어 강화도와 진주 등에서도 진위대 병사들의 봉기 및 무장 탈영이 속출한다. 탈영한 군인들은 각 지역의 의병 부대로 편입됐고 이러한 움직임은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다.
같은해 9월에는 전국에 산개된 의병을 하나의 지휘 체계로 합치자는 주장이 펼쳐졌고 이는 13도 창의군으로 현실화된다. 하여 서울을 공략하기 위한 서울 진공 작전이 펼쳐졌으나 일본의 압도적인 전력 앞에 실패로 돌아갔고 이후 13도 창의군은 해체되어 다시 각자의 본거지로 돌아가 게릴라전을 펼치게 된다.
정미 의병의 활동이 격화되어가자, 일본은 대한 제국을 합병하기 이전에 의병 세력을 완전히 뿌리뽑을 결심을 하게 되고 문자 그대로 초토화 작전을 실시해버린다.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은 남한대토벌작전. 오늘날의 남한 지역에서는 이 남한 대토벌 작전 덕분에 말 그대로 의병 활동이 궤멸되어 버렸으며 북한 지방에서 활동하던 의병들 역시도 1909년 후반으로 접어들면 서서히 고사되기 시작한다. 결국 한일 합방 무렵이 되면 한반도에서는 일본에 전면적으로 대항하는 무장 조직이 실질적으로 소멸됐으며, 일본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는데 성공한 소수의 의병들은 국경을 넘어 만주로 이주해 독립군을 구성한다.[3] 특히 1907년 결성된 독립운동단체 신민회는 일찍이 국외 무력투쟁 기지건설을 주요 활동 목표로 설정하여, 한일병합 전후로 이들이 진출한 간도지방에 본격적인 국외 독립운동 역사가 시작된다.
한편 이 의병 활동을 막기 위해 일본은 총포급 화약단속법(銃砲及火藥團束法)이란 법률을 제정했다. 의병들의 무장을 막기 위해서 만든 법으로 총, 화약의 소지와 판매를 제한하는 법률이다. 이 법을 통해 한국의 민간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무기들을 대량으로 압수하고, 폐기 처분했다. 이 과정에서 총과 화약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보존하고 있던 전통 활, 화살, 칼, 갑옷까지 대량으로 압수되었다. 현대에 한국에서 남아 있는 전통 무기 유물의 양이 의외로 적은 이유가 이 때문이다.

4. 의병 목록


  • 강재천, 강기동(장성)
  • 권득수(용문산)
  • 기삼연(장성)
  • 김덕제(평창)
  • 김병길(양주)
  • 김수민(장단)
  • 김춘수(홍천)
  • 민긍호(원주)
  • 박동의(지리산)
  • 양회일(화순)
  • 연기우(제물포)
  • 이익삼(용인)
  • 임행숙(여주)
  • 정용대(인천)
  • 정주원(죽산)
  • 조인환(용문산)

[1] 원 출처는 영국 신문인 데일리 메일(Daily Mail)의 프레더릭 매켄지(Mckenzie, F. A.)기자가 당시 한국의 상황을 취재한 뒤 저술한 <조선의 비극(THE TRAGEDY OF KOREA)>에 실린 사진이다. 그는 경기도 양근군 (오늘날의 양평군) 지역에서 이 사진을 촬영했다. 출처 중앙에 대한 제국군 육군의 제복을 입은 의병이 있다.[2] 비록 세력은 많이 약화됐지만 이 시기에도 을사의병들이 지방 곳곳에 산개해 있었다.[3] 참고로 국내 최후의 의병장은 1915년 평양에서 순국한 채응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