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도 창의군

 

十三道倡義軍
1. 개요
2. 편성
3. 활동
4. 의의


1. 개요


정미 7조약 때문에 대한제국의 정규군이 해체되자,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쳐 통감부를 격파하고 국권을 회복하려는 목적에서 1907년 12월에 의병들이 경기도 양주에서 조직한 연합 단체.

2. 편성


주요 의병장
병력(명)
대한관동창의장(총대장) 이인영
군사장 허위
진동창의대장(황해도) 권중희
2,000명
호서창의대장(충청도) 이강년(李康秊)

관동창의대장(강원도) 민긍호(閔肯鎬), 창의군 총독장 이구재, 창의군 중군대장 이은찬
'''6,000명'''
교남창의대장[1](경상도) 박정빈, 신돌석

호남창의대장(전라도) 문태수(文泰洙)
100명
관서창의대장(평안도) 방인관(方仁寬)
80명
관북창의대장(함경도) 정봉준
70명

3. 활동


남대문 전투의 패배 이후 해산된 군인들이 소지 중이던 신식 무기를 들고 전국 각지의 의병으로 편입하였다. 그 때문에 1907년 무렵에 활동하던 소위 정미의병은 이전의 을미의병이나 을사의병과 비교하여 전투력이 대폭 향상됐다.
전국의 의병장들은 이 사실에 고무되어 경상북도에서 활동하던 의병장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전국의 의병장들에게 참가를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 1907년 11월 경기도 양주에 집결한다. 이리하여 허위, 민긍호, 김수남, 연기우 등 당대의 쟁쟁한 의병장들을 비롯하여 도합 1만 명에 달하는 병력이 집결한다. 특히나 이 1만 명 중에서도 최정예인 해산 군인 출신들이 무려 3천 명에 이르렀다.
13도 창의군은 이듬해인 1908년 1월 서울에 주재 중인 각국 대사관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합법적인 교전 단체로 여겨줄 것, 즉 교전권을 인정해줄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었다. 한편으로 허위가 이끄는 선발대 3백 명이 한양 밖 30리[2]까지 진격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격문 및 홍보에서 진입날짜를 노출시키면서 일본군이 기관총과 대포 등으로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기에 진입에 실패한다. 이후 창의군의 사기는 떨어졌고 전년도부터 이어진 교전으로 탄약도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부친 사망 소식이 전해져오자 이인영은 총대장 자리를 허위에게 넘기고 귀향한다. 무책임하게 도망가듯 물러난게 아니라 일본군의 완강한 방어로 진공작전이 어렵게 되었다고 판단하고 게릴라 작전으로 전환하고자 의를 중지하라는 통문을 각 의병진에 돌려 서울진공작전 중지시켰다. 작전을 매조지하고 수습하는 과정을 허위가 맡게 된것인데 고종의 밀지를 받은 이인영의 영향력은 13도 창의군을 결성할 때까지 유효했으나 창의군 결성 이후 관력이나 연배, 예하 병력에서 앞서는 허위, 민긍호 등이 합류하자 총대장이면서도 부대 재정에 일체 관여를 못했을 정도로 발언권과 영향력이 크게 밀리던 상황이라 그의 귀향이 의진 활동에 지장을 주진 않았다. 그렇지만 이 사실을 한국사 교과서에서 의도적으로 묻어버려서 창의군의 실패의 원인은 이인영이 삼년상을 치르느라 낙향한 탓이라는 인식이 지금도 남아 있다. 13도 창의군은 서울에서 퇴각, 해산하여 각자 연고지로 돌아가 예전처럼 독자적으로 활동하였고, 특히나 황해도전라도 쪽에서 움직임이 활발했다. 한편 3년상을 치르고자 낙향한 이인영은 1909년 일본에게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지만 이 사실도 사람들은 거의 모른다.

4. 의의


구한말 활동한 의병 중에서도 가장 조직적이고 전국적인 단체였으며, 작전 수행 이전 각국 대사관에 교전권을 인정해달라고 호소하는 격문을 보냈던 것에서 알 수 있듯 20세기 초반 국제 정세 및 국제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지식과 현실 감각이 있었다. 물론 이는 딱히 이상할 것도 아니다. 위정척사파는 위정척사파이기는 했지만 정말 극소수를 빼면 배척하긴 했지만 나름대로 알 것은 알아두었다. 이미 10년도 더 이전에 만국공법을 인용한 위정척사파의 상소가 올라온 적이 있었으니 어느날 갑자기 위정척사파가 확 바뀐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그 정도는 알고 있던 것이다.
13도 창의군 관련해서 가장 왜곡된 상식이 홍범도, 신돌석 같은 평민의병장들을 고루한 봉건주의자 유생들이 배격했다는 소리인데 정작 농민 출신 김수남이나 출신 성분 불분명한 연기우가 들어가고 당대에 명성 높았던 유생 의병장 이강년, 문태수는 빠졌다. 창의군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허위는 본인은 사대부이나 족보 거슬러 올라가면 보부상 후손이다. 신분 문제가 아니라 일본군 수비대, 친일 민병대와 교전하느라 길이 막혀 제때 상경하지 못했을 뿐이다.
예를들어 이강년의 호좌창의군 부대는 영월, 단양, 청풍, 죽령, 봉기 등 각지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싸우느라 정신 없었고 신돌석 의진은 경북 영양 일월산 방면으로 밀려나 양주에는 가지도 못했다. 홍범도는 주 활동지가 삼수갑산이라 애초에 합류가 불가능했다. 이인영도 거리와 지형상 북쪽 의진 합류는 처음부터 무리라고 생각해 1907년 10월 전국 의진에 통합 의병부대를 조직해 서울로 진격하는 계획을 설명하고 상경을 촉구할때 서북 양도는 제외했다. 창의군 구성을 살펴보면 함경도와 평안도에선 정봉준과 방인관이 각각 80명을 거느리고 합류했을 뿐 이다. 애초에 대표적 평민의병장으로 알려진(실제론 양반들과 같은 서당에 다닌 중인 출신인건 차치하고) 신돌석부터가 간접적으로 고종의 궐기 독려를 받고 거의했으며 퇴계 종가에서 자금 지원을 받았고 휘하에는 양반들도 있었다. 평민 의병장 무시설은 무시해도 좋다.
그러나 이런 점들은 교과서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아 수십년째 낡은 학설이 중고등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주입되고 있다.
정부의 수훈등급에도 영향을 주어 이인영의 뒤를 이어 의병을 지휘한 허위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이인영보다 더 높은 등급의 건국훈장을 수여받게 된다.


[1] 교남(嶠南). 주흘산 남쪽 지방.영남이 조령의 남쪽이라는 의미인데, 주흘산과 조령의 큰 줄기가 같으므로 같은 뜻이다.[2] 당시엔 성저십리만 한양이라서 당시 한양에선 바깥이지만, 오늘날 서울특별시엔 들어 간다. 정확한 위치는 오늘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중랑구 일대. 정확히는 왕산로부근이다, 참고로 왕산로 자체가 허위의 호에서 따와서 지은 도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