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의병

 



乙巳義兵
1. 개요
2. 전개
3. 평가
4. 의병 목록


1. 개요


1905년 을사조약이 맺어지자 최익현(양반 유생), 민종식(전직 관료), 신돌석(평민 출신 의병장으로 유격전 전개) 등이 의병을 일으켜 을사의병이 일어났다.
을사 의병은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인 신돌석과 머슴 출신 안규홍 등 다양한 신분의 의병장이 나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최익현은 의병을 진압하러온 군대에 조선인이 있다는 이유로 싸움을 포기하고 쓰시마로 잡혀간 후 순국한다.

2. 전개


1904년 한일의정서·제1차 한일협약이 체결되고, 1905년에는 통감부 설치와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을사 조약[1]이 체결되자 반일 감정은 전국적으로 고조되었고,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다시 조직되어 치열한 항쟁을 벌였다. 동학 농민 운동의 잔여 세력인 활빈당이 해체되자 그에 속한 사람들 중에서도 을사 의병에 가담하였다. 1906년에는 그 의병 활동이 최고조에 달하였다.
그 중 가장 손꼽히는 전투로 홍주성 전투를 들 수 있다. 1906년 5월에 민종식 부대가 홍주성(現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에서 일본군을 화포로 몰아내자 일본은 서울에 주둔하고 있던 보병 부대를 대거 투입하여 성 주위를 포위하고 공격하였다. 의병 부대는 시가전을 벌이는 등 끝까지 항전했으나 사상자 속출로 결국 퇴각하였다. 현재 홍주성 안에는 이 전투를 기념하기 위한 병오 항일 의병 기념탑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 남아있는 홍주성의 유일한 문인 조양문에는 아직까지 일본군에 의하여 맞은 포탄의 흔적이 남아있다.

3. 평가


을사 의병의 지도부는 을미의병 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양반 유생이 중심이었고, 지도 이념도 위정척사 사상에 기반한 반외세 의식이었다. 이러한 양반 유생 중심의 의병은 민중의 애국심에 호소하여 의병 부대를 조직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지만, 그들이 가진 계급적 한계가 뚜렷했기 때문에 농민을 중심으로 하는 의병 대중의 반침략적·반봉건적 요구를 수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후 민중 세력이 의병의 지도부로 진출하는 등 의병의 성격이 변화하고 전투력의 질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후 정미의병에서는 더욱 조직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4. 의병 목록



[1] 제2차 한일 협약으로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