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군 시위대
大韓帝國 侍衛隊
1. 개요
대한제국군의 부대. 시위(侍衛)는 모시고(侍) 지킨다(衛)란 뜻으로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 황실을 경비하는 근위대였다.
2. 설명
황실호위와 서울방어를 담당한 대한제국군의 핵심 부대였다. 설립 당시에는 1개 연대 규모였고 이후 2개 연대로 확장한다. 각 연대는 5개 중대가 1개 대대였고 2개 보병대대와 포병대대, 기병대대를 합하여 사각편제를 이루었다. 시위대 창설 당시 군사 고문을 담당했던 제정 러시아식 편제에 가깝다.[1] 대한민국 국군은 주로 삼각편제를[2] 쓰는 편이다.
갑오개혁 중이던 1895년 5월에 설치되었고 을미사변 당시에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이후 대한제국군 친위대가 되었다가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식 편제인 시위대로 환원되었다. 창설당시는 1연대 2개 보병대대였으나 1898년에는 시위 1대대와 2대대를 합쳐 시위로 개편하고 포병 중대(포대)를 설치하였다. 1900년에는 포병 중대를 포병 대대로 확장하고 기병 대대를 설치하여 보병 대대 2개에 포병 1개 대대, 기병 1개 대대 등 제대로 된 4각 편제의 형태를 띄게 된다. 군악대(소대급)도 2대를 설치하였고 1902년에는 보병 연대가 2개로 늘어나 총 병력이 5천에 이른다.
러일전쟁을 일으키며 덕수궁을 점령한 일본은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군의 1차 군축을 단행한다. 친위대 2개 연대, 4개 대대의 4천여 병력은 폐지되고 시위대 2개 연대를 보병만으로 구성된 1개 연대로 축소되었다. 시위연대의 포병대대와 기병대대는 각 1개 중대로 줄여 포병, 기병, 공병을 포함한 시위 혼성 여단으로 편성하였다. 이렇게 2개 연대 5000명의 시위대는 1개 연대 3개 대대 2,513명의 시위 혼성 여단으로 대폭 축소되었다.
이후 일본은 1907년 4월에 대한제국군의 2번째 군축을 시행하였다. 대한제국의 군대를 무력화하는 6개의 칙령이 반포되었고 시위 보병 연대는 다시 3개 대대와 그 휘하 4개 중대로 편성되었다.
1907년 8월 1일에 해산되었다. 시위대 1연대 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이 이 일로 자결하고 해산에 반대한 2개 대대는 일본군에 맞서 남대문 전투를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해 진압당하였다. 강제 해산 이후 상당수가 의병에 합류하면서 정미의병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남대문 전투와 진위대 봉기에서 탈출한 군인들이 들고 나왔던 소총과 탄약은 을사의병으로 들고 일어난 의병들의 화승총에 비해 상당한 전력이 되었다. 한편 2연대 2대대와 기병대대 일부는 조선보병대와 조선기병대가 되어 황실근위를 맡았고 이후 조선기병대는 1913년에, 조선보병대는 1931년에 해체되었다. 1931년 해체 당시 약 200명의 인원이 남았고 이들은 일본군 헌병보조원과 순사보조원이 되었다.
3. 대중 매체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서 등장한다. 검은 제복에 붉은 줄무늬, 군모엔 오얏꽃(이화문) 문장이 달린 제복 차림이다. 22화에서 대한제국 군대해산을 진행하는 일본군에 무기를 반납하고 보상금으로 겨우 지폐 1장을(...) 받으면서 은사금을 받고 떠나거나 즉결 처형당하든가 양자 선택을 강요당한다. 이에 치욕을 느낀 시위대의 대대장이 자결하고 이를 도화선으로 많은 병력들이 무기고를 탈환, 일본군에 대한 저항을 펼친다. 그러나 화력 차이와 탄약 부족을 극복하지 못하며 최후까지 교전하다 일본군에 포로로 잡히거나 장렬히 전사한다. 일부는 한성을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의병에 합류한다.
[1] 서인한 저 '대한제국의 군사제도' 참고. 최초에 창설된 시위대는 일본식 편제를 따랐으나, 재창설된 시위대는 러시아식 편제를 따랐다.[2] 3개 하급부대가 1개 상급부대를 구성하는 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