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온동물
定溫動物 / Endotherm
'''정온동물'''(定溫動物)은 변온동물이 아닌 동물을 가리키는 용어로, 대체로 조류, 포유류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과거에는 온혈동물로 불렸으나 냉혈동물과 같은 이유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항온동물(恒溫動物)이라고도 하며, 외부 온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스스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시스템(땀, 순환계 등)이 갖추어진 동물이 여기에 해당한다.
공룡이 정온동물인지 변온동물인지 여부는 상당 기간동안 논란에 대상이였다. 현재는 화석상에 근거한 해부학적인 특성으로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온동물이 가지는 일부 특징[1] 이 부재 하고 그 큰 몸집에 특성상 정온동물의 이점[2] 이 없기도 하여, 일부는 내온성 정온동물, 일부는 외온성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어류들도 정온동물이 있다(내온성 : 악상어[3] 류의 백상아리, 청상아리 등 외온성 : 다랑어 등)
대부분 정온동물은 컨디션에 따라 1~2도 정도 체온차이를 보이며, 면역체계가 활성화 하면 더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4도를 넘지 않으며 이보다 높거나 낮으면 생명에 위험하다. 그러나, 겨울잠을 자는 일부 정온동물은 이보다 체온이 훨씬 낮아진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시기엔 변온동물처럼 많은 영양분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된다.
체내에서 발생하는 대사열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대다수의 포유류 및 조류)
일정한 환경에서 얻는 열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 또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바다악어, 코끼리거북, 장수거북, 다랑어)
1. 개요
'''정온동물'''(定溫動物)은 변온동물이 아닌 동물을 가리키는 용어로, 대체로 조류, 포유류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과거에는 온혈동물로 불렸으나 냉혈동물과 같은 이유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항온동물(恒溫動物)이라고도 하며, 외부 온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스스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시스템(땀, 순환계 등)이 갖추어진 동물이 여기에 해당한다.
공룡이 정온동물인지 변온동물인지 여부는 상당 기간동안 논란에 대상이였다. 현재는 화석상에 근거한 해부학적인 특성으로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온동물이 가지는 일부 특징[1] 이 부재 하고 그 큰 몸집에 특성상 정온동물의 이점[2] 이 없기도 하여, 일부는 내온성 정온동물, 일부는 외온성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어류들도 정온동물이 있다(내온성 : 악상어[3] 류의 백상아리, 청상아리 등 외온성 : 다랑어 등)
대부분 정온동물은 컨디션에 따라 1~2도 정도 체온차이를 보이며, 면역체계가 활성화 하면 더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4도를 넘지 않으며 이보다 높거나 낮으면 생명에 위험하다. 그러나, 겨울잠을 자는 일부 정온동물은 이보다 체온이 훨씬 낮아진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시기엔 변온동물처럼 많은 영양분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된다.
2. 특징
2.1. 내온성
체내에서 발생하는 대사열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대다수의 포유류 및 조류)
2.2. 외온성
일정한 환경에서 얻는 열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 또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바다악어, 코끼리거북, 장수거북, 다랑어)
3. 장점
- 변온동물보다 물질대사가 빠르므로 성장 또한 빠르다.[4]
-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체온이 유지되므로 신진대사가 높아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온에 관계없이 같은 근육량 대비 변온동물보다 훨씬 강하고 빠르다.[5] 그래서 기온이 낮은 새벽을 틈타서 변온동물을 사냥하는 정온 육식동물이 많다.
- 혈류가 빨라서 신경계에 산소와 영양분을 활발하게 공급하기 때문에 지능도 변온동물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편이다.
- 서식지의 제한이 변온동물보다 적다. 일정한 체온 유지 능력 덕에 어디든지 쉽게 적응 할 수 있다. 사람이 전지구적으로 퍼져 살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4. 단점
- 체열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기초대사량이 높다. 즉, 체열 유지에 항상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따라서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먹이 활동을 변온동물보다 왕성하게 할 수 밖에 없다. 극단적인 예로 극지방에 살면서 몸집이 작아 체온도 쉽게 빼앗기는 땃쥐나 뒤쥐의 경우, 자신의 체중에 3배에 달하는 먹이를 먹어야 체온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다.
- 체온조절에 실패하면 변온동물보다 치명적이다. 체온이 섭시 4~5도만 내려가도 저체온증으로 죽는다.
- 열대지방에 사는 몸집이 큰 코끼리, 코뿔소 등은 내온성 정온동물이지만 몸이 커서 물리적으로 외온성도 가지기 때문에 체온이 순식간에 올라버린다. 단백질 구조의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온이 40도 이상 올라버리면 죽는다. 이 때문에 체온을 식히기 위해 큰 귀를 가지고 있다던가 물가나 진흙에 마사지를 하는 등 체온 내리기에 힘쓴다.
- 체온 유지를 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서 혈압이 높으므로 상처가 났을 때 출혈 속도가 빠르다. 목이 잘렸을 때 금방 죽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극단적인 예로 변온동물이고 몸집이 작아 혈압이 낮은 곤충의 경우, 목이 잘려도 지혈이 되어서 머리는 빨리 죽어도 몸 부위는 아사할 때 까지 오랜 기간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
[1] 비갑계 여부 등 일부 정온동물이 가지는 해부학적 기관이 없다.[2] 아래 코끼리 항목에 보듯이 몸이 너무 크면 물리적 특성상 열이 잘 빠져나가지 않아 정온동물이면서도 오히려 냉각에 힘써야 하며, 심장과 머리 사이의 길이가 길어서 혈압이 엄청 높아야 한다. 변온동물이라면 이러한 단점이 없다.[3] 몸에서 나오는 열을 아가미 쪽으로 보내 식히는 식으로 해서 일정하게 체온을 유지한다.[4] 단 열대지방처럼 높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곳은 변온동물과 성장이 그렇게 차이 나지 않는다.[5] 다만 동체급 대비 변온동물의 근육량이 정온동물보다 압도적으로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