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거북

 

[image]
'''장수거북'''
Leatherback sea turtle
이명: 가죽거북[1]
''' ''Dermochelys coriacea'' ''' Vandelli, 176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거북목(Testudines)
아목
잠경아목(Cryptodira)

장수거북과(Dermochelyidae)

장수거북속(''Dermochelys'')
''''''
'''장수거북'''(''D. coriacea'')
[image]
1. 개요
2. 특징
3. 기타
4.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학명 : Dermochelys coriacea
영어 : The leatherback sea turtle
일본어 : オサガメ
거북목 장수거북과에 속하는 바다거북의 일종.

2. 특징


몸길이 150 ~ 180cm로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이며''',[2] 웨일스의 북대서양 해안에서 발견된 표본은 '''약 3m에 몸무게 900kg'''까지 자란 것[3]을 보면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최대 1280m까지 잠수할 수 있으며, 시속 35.3 km/h까지 헤엄칠 수 있어 기네스북에서도 가장 빨리 헤엄치는 거북으로 등록되어 있다. 가장 깊게 잠수하는 파충류와 가장 빠르게 헤엄치는 파충류라는 타이틀을 동시에 딴 녀석. 다른 바다거북류와 마찬가지로 가죽질인 등껍질을 갖고 있어서 피부가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머리를 집어넣을 수 없다.
주요 먹이로는 해파리를 선호하며 이런 먹이 대부분이 영양가가 적기 때문에 장수거북은 엄청난 양의 해파리 등을 먹어야 한다. 때문에 장수거북이 해파리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큰 역할을 한다는 가설도 있다. 해파리뿐만 아니라 피낭동물, 연체동물 등과 같이 몸이 연한 동물과 물고기도 먹는다. 대체적으로는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 온순한 종이지만 턱힘은 몹시 강하니 함부로 만지려고 들면 안 된다.
[image]
식도에 뾰족한 가시가 여러 개 붙어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가시들은 장수거북이 먹은 먹잇감을 붙잡는 용도로 쓰이는데, 문제는 장수거북이 해파리와 비슷하게 생긴 비닐봉지를 먹다가 이것이 식도의 가시에 걸리는 일까지 생긴다고 한단 거다.
원래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의 열대, 아열대 바다에 살지만, 드물게는 대한민국서해남해에서도 산다. 심지어는 북극권에 가까운 해역에서 목격되기도 하는 경우도 있어서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의 냉대해역까지도 서식범위가 넓다.
파충류로써는 특이하게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물이다'''. 특유의 크기가 체온이 빠져나가는 걸 막아줌으로써 체온을 주변의 온도보다 높은 18 °C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이를 보고 '거대항온성'이라고 하는데, 장수거북뿐만 아니라 바다악어와 같은 대형 파충류들도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현생 파충류뿐만 아니라 덩치가 거대했던 공룡들도 거대항온성이었다는 가설이 있다.

3. 기타


다른 바다거북류처럼 장수거북 또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2013년 전에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가장 높은 멸종위기 단계인 '''위급'''(CR)까지 간 적이 있었지만 2015년 기준으로는 '''취약'''(VU)으로 등급이 낮아진 상태. 그래도 지나친 남획과 환경오염 등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남양주 주필거미박물관에는 실제 개체 박제 1점이 전시되어 있다. 이 개체는 동해안으로 올라오려다 북한에서 침투한 무장공비로 착각한 경찰이 실수로 사격해 죽은 개체를 수습해 박제 처리한 것이라고 한다.

4. 대중 매체에서


G 다라이어스에선 이 생물을 모티브로 한 HEAVY ARMS SHELL이 등장하였다.
ABZÛ에서도 등장하는데, 그냥 볼 수는 없고 챕터 2로 넘어가기 직전[4]에 방문할 수 있는 심해로 가서 웅덩이에서 해방시켜야 볼 수 있다.
네이버 웹툰 신의 탑의 설정상 등장인물인 헨도 록 블러드메더의 이명이기도 하다.
[1] 문화어 명칭이다.[2] 자라종류를 제외한 민물거북 중에서 가장 큰 악어거북이 약 70cm정도이다.[3] 아쉽게도 살아 있는 상태가 아닌, 사체로 발견되었다.[4] 백상아리가 탐사정 하나를 부숴버린 곳.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