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항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鄭沆
(1080 ~ 1136)

1. 개요


고려의 인물. 동래군 출신으로 자는 자림(子臨), 시호는 문안(文安)이다.

2. 생애


어려서부터 총명해 부친 정목의 사랑을 받는다. 숙종 7년(1102) 4월 23세의 나이에 왕이 문덕전에서 본 복시에 2등으로 급제한다. 숙종 시기에 잠시 내시에 속했던 정항은 상주목의 사록, 장서기에 임명돼 외직으로 나간다. 상주 사람들은 처음에는 젊은 정항을 경시했는데 업무에서 판단을 잘 하니 모두가 탄복한다. 상주 사람들은 정항을 마찬가지로 사록을 지냈던 정극영, 한충에 견주며 2정1한(二鄭一韓)이라고 구분한다.
임기를 마친 정항은 예종의 부름에 응해 내시로 돌아가며 한림원을 겸하면서 직사관, 직한림원, 신호위녹사 군기주부 등을 역임한다. 예종 11년(1116) 집주로 주사(奏事)를 관장하는데 정직하고 공평했다. 장작(주부), 대부주부, 권지합문지후를 역임한다. 한편 이 해에 북송에 보내는 표장을 짓고 이자량 등을 따라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한다. 북송에서 돌아온 뒤 예종 12년(1117) 우정언 지제고에 임명된다. 간관으로서 곧은 마음으로 논해 문벌귀족이라 할지라도 거리낌이 없었으니 전주통판의 외직으로 쫓겨나게 된다. 곧 다시 소환된 정항은 좌정언 지제고를 거쳐 우사간에 임명된다. 예종 재위 중 양광도충청도의 관찰사를 역임한다.
인종이 즉위한 뒤 외척 이자겸이 권세를 얻는다. 정항은 이자겸에게 아첨하지 않았고 전중내급사로 좌천된다. 좌천 뒤에 예부원외랑을 거쳐 지제고로 돌아오며, 인종 4년(1126) 여름 이자겸이 실각한 뒤에는 형부원외랑 권지승선, 예부낭중을 거쳐 승선에 오른다. 이후 승선[1]으로서 인종 앞에서 여러 번 강론한다.
인종 10년(1132) 지공거 최자성의 선발로 사위 김이영이 진사로 급제하는데, 출제된 시제(試題)의 오류로 시험을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게 된다. 정항은 환관에게 가서 과거가 취소되지 않게 힘써주기를 간청했고 결국 인종이 나서서 합격자들이 급제자 신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듬해 인종 11년(1133)에는 본인이 지공거가 되어 성균시를 맡았고 그 다음해인 인종 12년(1134)에는 동지공거가 된다. 정항의 관직은 조산대부 좌승선 이부시랑, 국자좨주 한림학사 지제고 겸 태자좌유덕, 비서감 추밀원지주사 겸 태자좌서자로 올라갔으며 임시직이지만 국자감대사성에 오르기도 한다.
인종 14년(1136) 정항은 병에 걸려 어의관 2명에게 진찰을 받는다. 곧 위독해졌고 인종은 지추밀원사 예부상서 한림학사승지의 벼슬을 내렸는데 그 다음날인 11월 27일(음력) 57세의 나이로 죽는다. 인종은 조회를 중지하고 조문했으며, 정항의 집안에 모아둔 돈이 없었음을 듣고는 쌀 1백석, 포 2백필을 부의(賻儀)로 내리면서 문안의 시호도 함께 하사한다. 정항의 관은 개경 남쪽의 창신사(彰信寺) 남산 기슭에서 화장됐으며 남은 유해는 이듬해 송림산 남서쪽 언덕에 매장됐다.

3. 가족관계


  • 증조부: 정지원
    • 조부: 정문도
      • 부: 정목
      • 모: 상당군부인 고씨
        • 본인: 정항
정지원, 정문도, 섭대부경 정목은 모두 동래에서 호장을 역임했다. 정항의 모친 고씨는 검교장작감 고익공(高益恭)의 딸로 상당군부인에 봉해진다. 정점과 정택이라는 형이 있었는데 정항과 마찬가지로 57세로 죽었기에 정항묘지명에서 이를 기이하게 여긴다.
  • 본인: 정항
  • 처: 강릉군부인 왕씨
    • 아들: 정사문
    • 며느리: 장흥 임씨
    • 딸: 동래군부인 정씨
    • 사위: 최유청
    • 딸: 동래 정씨
    • 사위: 이작승
    • 딸: 동래 정씨
    • 사위: 김이영
왕국모의 딸 왕씨와 결혼해 4남 3녀를 둔다. 세 아들은 모두 요절했고 막내 정사문만 남는다. 장녀 정씨는 최유청과 결혼해 동래군부인에 봉해진다. 모두 7남 1녀를 둔다. 삼녀 정씨는 선평왕후의 동생 김이영과 결혼한다.

[1] 정항묘지명에 따르면 '우승선 예부시랑 한림시독학사 태자좌유덕'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