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딱
[clearfix]
1. 개요
'''찐딱'''(Trịnh Tạc / 鄭柞 / 정작,1606년 4월 11일 ~ 1682년 9월 24일)은 대월 후 레 왕조의 정치인, 찐 주의 제5대 왕(재위: 1657년 ~ 1682년)이다. 봉호는 '''서정왕'''(Tây Định Vương / 西定王)이다.
2. 생애
호앙딘 7년 3월 초닷샛날(1606년 4월 11일), 찐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호앙딘 5년(1614년), 영군공(榮郡公)으로 봉해졌다.
득롱 3년(1631년), 북군좌도독부장(北軍左都督副將), 태보(太保), 서군공(西郡公)으로 진봉되었고, 예안처(乂安處)로 나가 진수하였다.
1632년, 소부(少傅)가 가봉되었다.
푹타이 3년(1645년),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장국권병좌상태위서국공(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掌國權柄左相太尉西國公)으로 진봉되었고, 겸정부(謙定府)를 설치하니 나라의 정치가 대개 찐딱에 의해 결정되었다.
카인득 4년(1652년), 원수장국정서정왕(元帥掌國政西定王)으로 진봉되었다.
틴득 3년(1655년), 응우옌 주가 북쪽으로 찐 주를 침공하여 찐 주의 군대를 여러 차례 패배시키자 전선이 예안처(乂安處)의 람강(藍江) 일대로 밀리게 되었다.
틴득 4년(1656년), 찐짱이 찐딱의 아들 찐깐으로 하여금 병사를 이끌고 예안을 지원하도록 했다.
틴득 5년(1657년), 찐짱이 병사하자 찐딱이 뒤를 이었다. 이때 찐 주의 군사는 더 이상 패배하지 않았고, 응우옌 주의 군사와 승부를 겨루어 람강 일대에서 상호 대치하였다.
빈토 2년(1659년), 찐딱이 대원수장국정상사서왕(大元帥掌國政尙師西王)으로 진봉되었다.
빈토 3년(1660년), 응우옌 군에 내홍이 발생해 두 장수 응우옌흐우떤(阮有進), 응우옌흐우까인(阮有鏡)이 차례로 철군하여 린강(𤅷江) 이남으로 되돌아갔다. 찐딱이 병사를 파견해 응우옌 군의 후미를 따라가 그들이 점령했던 현 7개와 주 1개를 일거에 수복하였다.
빈토 4년(1661년) 윤10월, 찐딱이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여 이전의 승세를 타고 응우옌 주를 멸하려고 하였으나 응우옌 군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
1662년 10월, 찐딱은 철군하여 탕롱으로 돌아갔다. 막 왕조의 황제 막낀부가 틈을 타 남하하여 찐 주를 공격하였으나 찐딱에게 패배하였다. 이후 찐딱은 응우옌 주와의 교전을 잠시 멈추었고, 대신 까오방의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
까인찌 2년(1664년), 팜꽁뜨(范公著)에게 명하여 도량형을 새로 수정하도록 하니 상민들이 편해졌다.
까인찌 5년(1667년), 까오방을 공격해 크게 이겼고, 막낀부의 뒤를 이은 막응우옌타인은 청나라로 피신하였다. 강희제의 요구에 따라 찐딱은 막응우옌타인이 까오방으로 돌아오도록 동의하였으나, 막 왕조의 세력은 이미 더 이상 찐 주에 대항할 수 없는 상태였다.
까인찌 6년(1668년), 찐딱은 대원수장국정상사태부덕공인위명성서왕(大元帥掌國政尙師太父德功仁威明聖西王)으로 진봉되었다.
즈엉득 원년(1672년), 찐딱은 다시 응우옌 주에 대한 출정을 개시하여,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였고 아들인 찐깐을 수군통수(水軍統帥)로 삼았다.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떤 또한 자신의 아들인 똔텃히엡(尊室協)을 보내 방어하도록 했다. 찐 주의 군사가 최종적으로 응우옌 군에게 격퇴되었다.
1673년, 찐 주와 응우옌 주는 전쟁을 중지하고 린강(𤅷江)을 경계로 하기로 약정하였다. 베트남은 마침내 평화 상태를 맞았고, 이는 약 100년 정도 지속되었다. 이와 동시에 청나라에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막응우옌타인은 까오방에서 오삼계를 공개 지지하였다.
빈찌 2년(1677년), 청나라가 삼번을 패배시키자 찐딱은 이 기회를 이용해 다시 북벌하여 까오방을 공격해 크게 이겼고, 막 왕조를 완전히 무너뜨렸다. 아울러 청나라에 막 왕조가 오삼계를 지지하였다는 증거를 보였고, 청나라가 막 왕조를 까오방으로 돌려보내려는 계획을 취소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찐호아 3년 8월 23일(1682년 9월 24일), 찐딱이 병사하니 향년 77세였고, 찐깐이 뒤를 이었다. 시호를 총헌(聰憲), 묘호를 홍조(Hoằng Tổ / 弘祖)로 하였고, 양왕(Dương Vương / 陽王)으로 존봉하였다.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홍모원략안국회강진강흥치웅도영위규문분무돈대명작준덕위공예산신모경광대렬조하조기수휴천범수내양외보화치치양왕(洪謨遠略安國恢疆振綱興治雄度英威揆文奮武惇大明作峻德巍功睿算神謀耿光大烈造夏肇基垂庥闡範修內攘外保和致治陽王)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