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남

 





1. 개요


동인에서 분당한 남인에서 다시 분당하여 청남이 되었다.

2. 상세


조선 숙종조 초 남인(南人) 내에서 분파된 세력의 하나이다. 허목윤휴를 영수로 했으며 강력한 반서인 입장이였다. 또한 군사권 장악을 시도하는 탁남과도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18세기 초 남인이 다시 문내파(門內派)·문외파(門外派)·과성파(跨城派) 등으로 나뉘었는데, 문외파가 청남을 계승한 세력이었다. 이들은 탕평책이 진행된 영조대 이후 정치에 참여하면서 남인의 정치적 입장을 고수하였다.
현종갑인예송남인의 승리로 귀결되었으며, 이어 숙종이 즉위하면서 남인의 여당화가 진행되어었다. 인조반정 이후 제1야당으로써 국정 참여했던 남인 세력이 처음으로 정권 장악에 성공한 것이었다. 정권을 잡게 된 남인은 서인 세력의 축출에 힘을 기울였다. 기해예송의 책임을 물어 송시열의 처벌을 주장했다. 한편 인사들이 대거 등용되었는데, 허목이 대사헌에, 윤휴가 장령에 제수되었으며, 그동안 폐고(廢固)되었던 홍여하(洪汝河)·이무(李袤)·오정창(吳挺昌) 등도 서용되었다.
여당의 분열은 필연적인지 남인 내부에서 분열 양상이 나타났다. 청남과 탁남으로의 분열로 주원인은 서인의 처벌 문제에서 청남은 강경파였고 탁남은 온건파였다. 또한 국방 정책 등에 대한 입장 차이도 분열의 원인 중 하나이다.
남인 내 갈등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져 남인 내에서도 당파 간 당쟁의 심각성을 경계하는 논의가 여러 차례 제기되었다[1]. 이런 상황에서 청남은 탁남의 군사권 장악 움직임에 대해서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숙종 초 남인들은 훈련도감/어영청 등의 현 국방부를 김석주 등 권신/척신들이 장악하자 정권 유지에 필수적인 군권을 도체찰사부(都體察使府)를 다시 설치하며 세웠다. 그러나 탁남허적이 부의 최고인 체찰사가 되자. 청남은 탁남의 군사력 장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결국 숙종 6년인 1680년 경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탁남이나 청남이나 남인 계열 전체가 상당한 인적 손실을 경험하였다.
이후 숙종 15년인 1689년 기사환국으로 잠시 남인이 정권 교체를 하고 청남도 진출하였으나 정국의 주도권은 탁남이 가지고 있었다. 숙종 20년인 1694년 갑술환국으로 다시 서인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또다른 타격을 입었으며 앞 시기 정국을 주도한 탁남의 희생이 상당히 심했다. 그러나 비교적으로 청남은 살아남아 몇몇 인물이 정치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8세기 초 남인이 다시 문내파·문외파·과성파로 분당되었을때 청남은 주로 문외파로 결집하였으며 청남을 사실상 계승한 문외파가 탕평책이 추진되던 영·정조대 정치에 참여하며 남인으로서 붕당을 유지하였다.

3. 주요 인물


  • 허목[2]
  • 윤휴[3]
  • 오정창·오정위(吳挺緯)·오시수(吳始壽) 등의 동복 오씨
  • 이무
  • 조사기(趙嗣基)
  • 이수경(李壽慶)
  • 장응일(張應一)
  • 정지호(鄭之虎)
  • 남천한(南天漢)
  • 이서우(李瑞雨)
  • 이태서(李台瑞)
  • 남천택(南天澤)
  • 이동규(李同揆)
  • 홍여하(洪汝河)
  • 이무(李袤)
  • 오정창(吳挺昌)
  • 이원정
  • 홍우원
  • 모호한 인물[4]
    • 이하진(李夏鎭)
    • 이담명(李聃命)
    • 이옥(李沃)
    • 조위명(趙威明)

4. 둘러보기



[1] 『숙종실록』 5년 6월 13일[2] 다만 현종조에 80살이 넘은 상황이라서 정신적 지주였지 실권은 없었다.[3] 실세[4] 실록의 기록으로는 양다리를 걸쳤다고 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