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치 위브
Thach Weave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항공대 소속의 비행단 지휘관 겸 조종사 존 S. 타치 소령[1] 이 고안한 항공전술.[2] Thach Wave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Wave가 아니라 Weave다.
타치 본인은 이 기동을 '빔 방어 대형'이라 불렀으나 동료들은 타치의 이름을 따서 타치 위브로 부르게 된 것. 빔(Beam)이란 항공기의 3시에서 9시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말한다.
당시 미 해군의 주력 전투기는 F4F 와일드캣이었고 조종사들의 경험의 부족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전술적인 면에서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했는데, 어떤 전술을 구사하면 상대를 떡실신 시킬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탄생하였다.
타치 소령은 자신과 3기의 전투기 조종사들을 차출하여 자신이 고안한 전술을 교육시키고, 에드워드 오헤어 소위에게 4기의 전투기를 주고 공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공격을 하기도 전에 시야 사각에서 튀어나온 다른 기체에게 요격당하면서 공격은 번번히 실패하였고 여러 차례 반복된 실험을 통해 상당히 효과적인 전술임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모의실험이 끝나고 타치 소령보다 오헤어 소위가 더 흥분하면서 즐거워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image]
이 기동은 적기가 뒤에 따라 붙었을 때를 노리는 일종의 방어용 기동이다(혹은 카운터 어택이라 볼 수도...). 그림에서 적기 M이 아군기 A를 쫓는 동안 B가 공격하게 된다. 그러니까 적기가 따라 붙으면 적기에게 뒤를 잡힌 전투기는 계속 적 전투기를 끌고다니고, 동료기는 적 전투기의 사각인 측면에서 적기를 공격한다는 것이 이 전술의 주요 골자다.
이 기동이 가능하려면 적기에게 쫓기는 전투기가 쉽사리 적기에게 격추당해버려서는 안되는데, 다행히도 F4F는 A6M(제로센)보다 선회성능 등은 뒤처졌으나 급강하를 통해 일시적으로 거리를 벌릴 수 있었고, 기체의 방어력 또한 튼튼한데다가 A6M의 무장이 상당히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에[3] 그렇게 쉽게 격추당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미군 항공기는 각 기체마다 제대로 무전기가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편대기가 서로 소통하면서 전술을 실행하는 것에 무리가 없었다.[4]
첫 실전데뷔는 미드웨이 해전이었으며 10기의 제로센을 격추시키면서 고작 4기의 와일드캣을 잃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사실 제로센이 뇌격기나 급강하폭격기 요격하느라 정신이 없는 상황에 말려든거라서 순수하게 타치 위브의 효과라고 보지는 않는다.
그래도 타치 위브가 효과적인 전술이라고 증명되자 미 해군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후 과달카날 항공전에서 수많은 제로센 베테랑들을 낚으면서 악명을 떨쳤다. 일본의 유명 에이스 사카이 사부로 역시 라바울에서 작전을 펼칠 때 경험한 것과 동료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꼬리를 잡은 적을 공격하려는 찰나, 갑자기 사각에서 적기가 튀어나와 공격하는 바람에 격추당한 사례도 있고 간신히 도망친 사례도 많아서 상당히 위협적인 전술이었다고 평하였다.
이후 미 해군항공대에서 기본적으로 가르치는 전술이 되었다. 실제 베트남 전쟁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보았으며, 현대 항공전에서도 유효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물론 미사일이 먼치킨화 되어가고 있고 조기경보기의 백업하에 항공전이 펼쳐지는 현 시점에서도 유효할 것인가 싶지만, 미사일전에는 미사일전에 맞춰 일단의 편대가 미끼가 되는 와중에 나머지 편대들이 아군기를 노리고 오는 적기를 유리한 위치에서 기습공격한다는 식의 전술 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 단지 타치위브식으로 근거리 교전에서만 쓰는 것이 아니라 적 레이더의 사각지대 등에 숨어서 BVR 전으로 기습공격을 가하는 식으로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 다를 뿐.[5]
이례적으로 밀리터리물이 아닌 SF 장르에서 등장하기도 했는데,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에서 ELS와 접촉을 시도하다가 위기에 빠진 건담 팀을 지원하기 위해 때마침 도착한 솔 브레이브즈 편대가 ELS를 상대로 사용하였다.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상대를 침식하는 ELS의 특성을 이용해 고화력을 갖추고 고속 기동이 가능한 가변 MS 브레이브 1기가 ELS 무리를 유인하는 동안 다른 브레이브 1기가 사각에서 풀 버스트 드레이크 하울링으로 ELS 무리를 쓸어버리고, 그 기체는 또 다른 ELS 무리를 유인하기 위해 이탈하면, 다른 브레이브 편대기가 배후를 노리는 타치 위브 전술을 보여준다.
2인 1조라는 점에서 독일군이 기본으로 삼던 로테(Rotte)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로테는 편대를 구성하는 방법이고 타치 위브는 공중전 전술이라는 점에서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로테(Rotte)는 2인 1조가 되어 선제공격을 담당하는 '장기(Leader. '선도기'라고도 부른다.)'와 장기의 엄호·장기가 놓친 적기의 추적 및 마무리를 담당하는 '요기(Wingman, Wingmate)'을 나누어 장기가 선제공격을 실시하면 요기가 장기를 엄호해주거나 장기가 놓친 적을 추적하여 마무리하는 편대의 구성방법이다.[6] 반면 타치 위브는 2인 1조의 구성은 동일하나 장기와 요기의 구분이 없으며 공격 받는 기체가 미끼가 되어서 다른 기체가 적기의 사각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전술이므로 전술기동에 속하며 이 중에서도 방어기동에 해당한다.
로테가 편대를 구성하는 방법을 논하는 개념이라면, 타치 위브는 편대를 구성한 상태에서 어떠한 전술기동을 행해야 하는 지를 논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다소 어폐가 있는 말이긴 하지만 로테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술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부대의 진형을 짜는 진법#s-2의 개념이고, 반대로 타치 위브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술의 개념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항공대 소속의 비행단 지휘관 겸 조종사 존 S. 타치 소령[1] 이 고안한 항공전술.[2] Thach Wave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Wave가 아니라 Weave다.
타치 본인은 이 기동을 '빔 방어 대형'이라 불렀으나 동료들은 타치의 이름을 따서 타치 위브로 부르게 된 것. 빔(Beam)이란 항공기의 3시에서 9시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말한다.
당시 미 해군의 주력 전투기는 F4F 와일드캣이었고 조종사들의 경험의 부족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전술적인 면에서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했는데, 어떤 전술을 구사하면 상대를 떡실신 시킬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탄생하였다.
타치 소령은 자신과 3기의 전투기 조종사들을 차출하여 자신이 고안한 전술을 교육시키고, 에드워드 오헤어 소위에게 4기의 전투기를 주고 공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공격을 하기도 전에 시야 사각에서 튀어나온 다른 기체에게 요격당하면서 공격은 번번히 실패하였고 여러 차례 반복된 실험을 통해 상당히 효과적인 전술임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모의실험이 끝나고 타치 소령보다 오헤어 소위가 더 흥분하면서 즐거워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image]
이 기동은 적기가 뒤에 따라 붙었을 때를 노리는 일종의 방어용 기동이다(혹은 카운터 어택이라 볼 수도...). 그림에서 적기 M이 아군기 A를 쫓는 동안 B가 공격하게 된다. 그러니까 적기가 따라 붙으면 적기에게 뒤를 잡힌 전투기는 계속 적 전투기를 끌고다니고, 동료기는 적 전투기의 사각인 측면에서 적기를 공격한다는 것이 이 전술의 주요 골자다.
이 기동이 가능하려면 적기에게 쫓기는 전투기가 쉽사리 적기에게 격추당해버려서는 안되는데, 다행히도 F4F는 A6M(제로센)보다 선회성능 등은 뒤처졌으나 급강하를 통해 일시적으로 거리를 벌릴 수 있었고, 기체의 방어력 또한 튼튼한데다가 A6M의 무장이 상당히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에[3] 그렇게 쉽게 격추당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미군 항공기는 각 기체마다 제대로 무전기가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편대기가 서로 소통하면서 전술을 실행하는 것에 무리가 없었다.[4]
첫 실전데뷔는 미드웨이 해전이었으며 10기의 제로센을 격추시키면서 고작 4기의 와일드캣을 잃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사실 제로센이 뇌격기나 급강하폭격기 요격하느라 정신이 없는 상황에 말려든거라서 순수하게 타치 위브의 효과라고 보지는 않는다.
그래도 타치 위브가 효과적인 전술이라고 증명되자 미 해군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후 과달카날 항공전에서 수많은 제로센 베테랑들을 낚으면서 악명을 떨쳤다. 일본의 유명 에이스 사카이 사부로 역시 라바울에서 작전을 펼칠 때 경험한 것과 동료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꼬리를 잡은 적을 공격하려는 찰나, 갑자기 사각에서 적기가 튀어나와 공격하는 바람에 격추당한 사례도 있고 간신히 도망친 사례도 많아서 상당히 위협적인 전술이었다고 평하였다.
이후 미 해군항공대에서 기본적으로 가르치는 전술이 되었다. 실제 베트남 전쟁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보았으며, 현대 항공전에서도 유효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물론 미사일이 먼치킨화 되어가고 있고 조기경보기의 백업하에 항공전이 펼쳐지는 현 시점에서도 유효할 것인가 싶지만, 미사일전에는 미사일전에 맞춰 일단의 편대가 미끼가 되는 와중에 나머지 편대들이 아군기를 노리고 오는 적기를 유리한 위치에서 기습공격한다는 식의 전술 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 단지 타치위브식으로 근거리 교전에서만 쓰는 것이 아니라 적 레이더의 사각지대 등에 숨어서 BVR 전으로 기습공격을 가하는 식으로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 다를 뿐.[5]
이례적으로 밀리터리물이 아닌 SF 장르에서 등장하기도 했는데,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에서 ELS와 접촉을 시도하다가 위기에 빠진 건담 팀을 지원하기 위해 때마침 도착한 솔 브레이브즈 편대가 ELS를 상대로 사용하였다.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상대를 침식하는 ELS의 특성을 이용해 고화력을 갖추고 고속 기동이 가능한 가변 MS 브레이브 1기가 ELS 무리를 유인하는 동안 다른 브레이브 1기가 사각에서 풀 버스트 드레이크 하울링으로 ELS 무리를 쓸어버리고, 그 기체는 또 다른 ELS 무리를 유인하기 위해 이탈하면, 다른 브레이브 편대기가 배후를 노리는 타치 위브 전술을 보여준다.
2. 타치 위브와 로테의 차이
2인 1조라는 점에서 독일군이 기본으로 삼던 로테(Rotte)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로테는 편대를 구성하는 방법이고 타치 위브는 공중전 전술이라는 점에서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로테(Rotte)는 2인 1조가 되어 선제공격을 담당하는 '장기(Leader. '선도기'라고도 부른다.)'와 장기의 엄호·장기가 놓친 적기의 추적 및 마무리를 담당하는 '요기(Wingman, Wingmate)'을 나누어 장기가 선제공격을 실시하면 요기가 장기를 엄호해주거나 장기가 놓친 적을 추적하여 마무리하는 편대의 구성방법이다.[6] 반면 타치 위브는 2인 1조의 구성은 동일하나 장기와 요기의 구분이 없으며 공격 받는 기체가 미끼가 되어서 다른 기체가 적기의 사각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전술이므로 전술기동에 속하며 이 중에서도 방어기동에 해당한다.
로테가 편대를 구성하는 방법을 논하는 개념이라면, 타치 위브는 편대를 구성한 상태에서 어떠한 전술기동을 행해야 하는 지를 논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다소 어폐가 있는 말이긴 하지만 로테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술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부대의 진형을 짜는 진법#s-2의 개념이고, 반대로 타치 위브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술의 개념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1] 타치 소령은 태평양 전쟁의 격전에서 살아남아 1965년 해군 대장까지 승진하는 등 군인으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살다 1981년 사망하였는데 사후 미 해군은 그의 공적을 기려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34번 구축함에 그의 이름을 명명하였다.[2] 밤중에 전술을 고민하며 테이블 위에서 성냥개비를 이리저리 짜맞춰보다 창안했다고 한다.[3] 20mm 기관포 2문+7.7mm 기총 2정이라 언뜻 봐서는 준수해보이지만 기관포의 성능이 상당히 안좋았고 탄도차이도 상당히 커서 두가지를 한번에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오죽하면 제로센 에이스 중 한 명인 사카이 사부로가 미군의 F4F 와일드캣을 상대했을 때 20mm를 꺼짐에 놓고 잠가버렸다고 했을 정도였다.[4] 참고로 당시 일본기는 무전기가 없거나 상태가 안좋은 경우가 허다해 날개흔들기와 수신호에 크게 의존했다.[5] 데이터링크 등을 이용, 한 기체가 레이더로 적기를 포착, 조준하고, 다른 기체가 미사일을 발사 요격하는 전술도 어느정도 개념상 유사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6] 이 '로테(Rotte)' 대형으로 편성된 편대가 2개 모여서 다시 편성하는 진형이 바로 '슈바름(Schwarm)' 대형으로, 영국 공군에서는 영어식 명칭인 '핑거 포(핑거 팁)'라는 이름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이건 현대 공군의 기본적인 편대구성 방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