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컨택트
1. 개요
풀컨으로 줄여 부르기도 하며, 극진공수도를 시작으로 유행한 가라테의 시합 방식을 말한다.
2. 상세
기본적인 룰은 맨손과 맨몸으로 글러브 및 일체의 보호구 착용 금지, 단 안전상의 이유로 손과 팔꿈치를 이용한 안면 가격은 반칙으로 금지한다. 이전까지는 안전을 이유로 호구를 착용하거나,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공격이 상대방 몸에 닿기 전에 멈추는 슨도메 룰, 아니면 가볍게 때리는 라이트 컨택트 방식의 무술 시합이 유행했으나 70년대부터 풀컨택트로 KO를 표방하는 시합이 유행하게 된다.
실전공수를 주장하는 만큼 보호구 착용이 일절 없이 온몸의 이곳저곳으로 쉴새없이 펀치와 킥이 날아오는 과격한 시합방식이나, 단련만 충분히 되어있으면 '''의외로 상당히 안전하다'''. 일단 손으로 안면가격이 금지인 만큼, 불가피한 상황에서 실수로 맞는 것을 제외하면 안면부가 펀치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고,[1] 주로 때리게 되는 부위가 맞는 사람에게도 튼튼하고 단련이 가능한 부위인 까닭이다. 또한 붙잡기나 밀기가 금지인 경우도 많아서 몸의 균형을 잃고 쓰러지거나 하는 경우도 드물다.
보면 알겠지만, '''태권도(WT)랑 룰이 거의 똑같다!''' 그래서 원래 풀컨택트는 보호구를 차지 않고 하는 것을 칭하지만, 태권도는 보호구를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풀컨택트로 분류된다.[2] 참고로 ITF는 라이트컨택트로 분류되어서 구분된다.
원래 태권도와 극진공수도의 초창기의 형태는 거의 비슷했다. 안면펀치 금지, 유술기 금지, '''보호구 미착용''', 펀치건 하이킥이건 미드킥이건 전부 풀파워로 ㅆ가능, 거의 차력 수준의 기행적인 격파쑈 등등 거의 비슷한 룰과 기술체계를 갖고 있었으며 당시 각각 무술의 짱이 의형제지간이었기에 지금은 이게 뭔 개소리야급 발상인 태권도 - 극진공수도 통합이 의외로 완전 헛소리는 아니었다. 실제로 그냥 거의 비슷했기 때문. 뭐 결국 모두가 알듯 최영의 총재가 당시 한국 무술계의 밥그릇 싸움 추태에 실망하고 한국 - 일본 국적 중 일본 국적을 선택하고 그냥 돌아가버림으로써 물거품이 된다.
이 이후 두 무술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걷게 되는데, 안면펀치 금지인 건 똑같지만 지상 최강의 무술이 되길 추구했던 극진공수도는 무에타이 및 타 무술과의 교류를 통해 점점 실전적인 기술 발전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로우킥을 도입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신체단련을 매우 중요시해서 그냥 풀파워 펀치, 미들킥쯤은 그냥 맷집으로 버티는 전통을 계속 유지하면서 실전최강 극진공수의 전설을 쓰지만,
최홍희가 쫓겨난 이후의 태권도는 극진공수도와는 달리 올림픽 종목 채택을 최종목표로 내세우고 룰은 그냥 그대로 똑같이 놔두고(...) IOC의 간섭에 따라 시키는 대로 착실하게 이행하여, 신체단련으로 타격을 버티는 걸 포기하고 몸통보호구와 머리보호구를 개발해내고 기타 위험한 기술을 금지하는 등 점점 더 실전과는 거리가 있는 무술로 변모하게 된 것. 한국형 킥복싱 or 군용무술을 추구했던 최홍희의 ITF는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사실 보호구 개발은 초창기에 태권도의 위력적인 발차기에 '''사람이 진짜로 죽어서''' 어쩔 수 없이 도입한 거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몸통 보호구(방구대타)는 올림픽 종목 도전 이전 한참 전부터 도입되었던 건데, 아마 진짜로 신체단련으로 버티는 게 가능한 주먹과는 달리 킥은 가끔씩 신체단련으로 커버가 불가능할 정도의 파괴력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긴 했던 모양이다. 손기술 위주인 극진공수도와 발기술 위주인 태권도의 결정적인 차이일지도.
대부분의 도시전설 같은 이야기들은 극진공수도 대회에서 슈퍼세이프티의 강화 플라스틱을 격파했다는 얘기가 종종 나오던 시절의 까마득한 옛날 이야기. 하지만 태권도에서도 문대성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안전성을 중시하는 WTF 룰 기반 올림픽 경기에서도 킥 한 방에 머리 보호구까지 장착한 상대 선수가 실신해버리는 무시무시한 장면들이 나오기는 한다.
정말정말정말 사족이지만, ITF도 평소 대련은 라이트컨택트지만[3] 실제 국제대회는 거의 풀컨택트로 진행되는 편이다. 경기 보면 누가봐도 거의 복싱 스트레이트 수준의 풀파워로 때리고 코피가 철철 흐르는 살벌한 경기인데 심판들이 그냥 눈감아주는 경우가 흔하다. 슨도메 룰의 가라데 경기들이 가끔씩 라이트컨택트나 심지어 풀컨택트 수준의 과격한 접촉이 나와도 터치 안하는 거랑 비슷한 느낌이다.
3. 변형
그러나 자칫 서로 복부공격과 로우킥만 주고받는 근성대결(...)로 변질되기 쉬운 시합구조라, 여기에 더해서 그래플링을 추가하거나(예:원심회관) 안면타격을 연습하기 위해 글러브등을 도입하는 단체(예: 정도회관, 극진관 진검승부 룰)들도 있다. 자세한 사항은 극진공수도/안면 타격 참조.
가라테류 끝판왕인 대도숙 공도 또한 머리보호구인 슈퍼세이프티외에는 착용하지않는다. 다만 핸드 가드 정도는 착용가능하다.
[1] 물론 하이킥은 가능하다.[2] 가끔 WT도 라이트컨택트라는 주장이 있지만(...) 이건 발펜싱화를 까려고 비꼬는 말이고 룰은 당연히 풀컨택트이다. 라이트컨택트 룰이면 주먹을 내질렀다 바로 회수하지 않으면 규칙위반이다. 풀파워로 안 때리는 거냐 아예 못 때리는 거냐의 차이다.[3] 정확히는 펀치만 라이트컨택트고 킥은 사실상 풀컨택트이다. 애초에 태권도 킥은 회전력이나 체중을 실어서 차기 때문에 하고 나서 회수가 거의 불가능한 킥이 대부분이다. 한마디로 일반 킥복싱이랑 비슷한데 펀치만 잽으로만 하게 제한되어 있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