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プリティーリズム・オーロラドリーム'''
[clearfix]
주식회사 타카라토미, 신소피아[1] 의 동명의 아케이드 게임을 원작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이며, 2011년 1월 한국의 완구회사인 손오공과 맺은 업무 협약에 따라 기획되었다.
원작 게임이 어떤지에 대해서는 이 영상을 참조.
감독은 음양대전기의 감독인 '히시다 마사카즈'이며, 시리즈 구성은 '아카오 데코.'[2] 캐릭터 원안엔 와타나베 아키오가 내정되었으며,[3] 캐릭터 디자인에는 신인 '카와시마 히사시'가 담당하였다. 나레이션은 이토 카나에가 담당.
애니메이션의 주 무대는 요코하마와, 소속사인 프리티 탑 사무실이 소재한 하라주쿠.
실사파트가 존재하는데 내용은 프리즘 메이츠(연구생)인 쿠보 레이나, 타카하시 카린, 쿠사카베 미아, 세마 아야미의 프리즘 스타 데뷔 과정을 다룬 '''상황극'''으로 마르스가 실존 인물인 것처럼 나온다던가, 애니속 프리즘 스톤이 실제인것 처럼 나온다던가...
그런데 이마저도 인터넷 방송분에서는 잘린데다가, 분량이 4분 가량 밖에 안 된다(...). 그래도 나중에 주역들이 프리즈미라는 걸그룹으로 실제 데뷔도 하고, 다음 후속작 실사 파트에도 출연하였다. 여기서는 실사파트에 이름이 없었으나 후속작부터는 이름이 생긴다.
후속작으로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 방영되었으며 2013년 4월부터 3기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이 방영되었다. 2014년~2018년까지 후속작인 '프리파라'를 방영.
2013년 2월 13일에 전작인 이 작품을 건너뛰고 SBS에서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가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면서 전작인 이 작품이 국내방영 계획이 없어진 줄 알았지만 카툰네트워크에 9월 7일 오전 8시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후 애니맥스에서도 9월 9일 오후 4시 30분에 방영을 시작. 수입은 명탐정 코난과 수호캐릭터를 수입했던 SS애니멘트[4] 란 곳에서 담당한다.
지명과 작중 인물들 이름이 한국식으로 바뀌었지만 후속작과 방식이 다르며 [5] 작품 제목은 그대로이다.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 국적을 언급하는 일 없이 퓨리티 등의 한국인 캐릭터를 제외하곤 미국식에 가까운 로컬라이징을 한 것과는 차이점.
성우진은 지상파인 SBS에서 방영한 후속작과는 달리 성우들이 '''단 한 명도 유지되지 않고 전부 교체'''되었는데 류승곤, 신소윤, 최옥희, 정옥주, 사성웅[6] , 정소영 등 베테랑 성우들, 홍수정, 김목용 등 경력 미만 성우, 그해에 갓 프리가 된 선은혜, 탁원정 등 신인 성우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홍수정이 주인공 하루네 아이라 역을 맡게 되면서 애니메이션 첫 주역으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먼저 국내에 방영된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못지않게 역시 중복 캐스팅이 눈에 띈다. 또한 엄연히 후속작과 연계되는 시리즈작인데도 인물들 이름, 배경 현지화, 성우진까지 '''전혀''' 연계되지 않은 점 때문에 팬들에게 까였으며,[7][8] 작중 삽입곡의 경우 가사나 반주가 후속작에 비해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다. 해당 Q&A글 참고.
이렇게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한국판에 비해 평가가 떨어지고 흥행도도 더 낮았지만, 비록 소수이긴 해도 어린 시절 꿈보프보다 오로라 드림을 더 재미있게 본 이들 또한 존재한다. 이들은 오히려 꿈보프의 여러 단점들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기도 한다. 아무래도 한국에서의 흥행도를 제외하고 객관적인 완성도만 놓고 보면 꿈보프 쪽이 오로라 드림에 비해 퇴보한 면이 많기 때문인 듯하다.
먼저 방영한 후속작인 디어 마이 퓨처에서는 '''남자 성우가 3명'''밖에 없었던 것에 비하면 이쪽의 경우 그나마 남자 성우수가 1명 더 있다.
한편 카툰네트워크에서 첫 방영을 선보일 때에는 오프닝 전의 프롤로그 도입부 대사를 삭제하고 바로 오프닝을 보낸 반면 애니맥스에서 첫 방영을 선보일 때에는 프롤로그 도입부까지 더빙하여 그대로 내보낸 뒤 오프닝을 보낸다.
인터넷에서 더빙판을 시청할 수 있다. 유튜브 링크 (무료, 국내에서만 시청가능) [9] 라프텔 링크 (1화 제외 유료)
오프닝은 30화를 기점으로 바뀌고 엔딩은 13화 주기로 바뀐다.
댄스 스케이트 & 코디 & 노래까지 섭렵! 완전히 색다른 댄스 스케이트 쇼「프리즘 쇼 . 쇼에 출연하는 프리즘 플레이어는 댄스 스케이트의 기술과 패션 센스, 가창력까지 모두 가지고 있는 슈퍼 아이돌이다. 그 프리즘 플레이어 중 톱을 의미하는 '프리즘 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여자아이들의 스토리.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피소드 가이드 참고.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등장인물 문서 참고.
프리즘 점프 항목 참조
[clearfix]
1. 개요
주식회사 타카라토미, 신소피아[1] 의 동명의 아케이드 게임을 원작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이며, 2011년 1월 한국의 완구회사인 손오공과 맺은 업무 협약에 따라 기획되었다.
원작 게임이 어떤지에 대해서는 이 영상을 참조.
감독은 음양대전기의 감독인 '히시다 마사카즈'이며, 시리즈 구성은 '아카오 데코.'[2] 캐릭터 원안엔 와타나베 아키오가 내정되었으며,[3] 캐릭터 디자인에는 신인 '카와시마 히사시'가 담당하였다. 나레이션은 이토 카나에가 담당.
애니메이션의 주 무대는 요코하마와, 소속사인 프리티 탑 사무실이 소재한 하라주쿠.
실사파트가 존재하는데 내용은 프리즘 메이츠(연구생)인 쿠보 레이나, 타카하시 카린, 쿠사카베 미아, 세마 아야미의 프리즘 스타 데뷔 과정을 다룬 '''상황극'''으로 마르스가 실존 인물인 것처럼 나온다던가, 애니속 프리즘 스톤이 실제인것 처럼 나온다던가...
그런데 이마저도 인터넷 방송분에서는 잘린데다가, 분량이 4분 가량 밖에 안 된다(...). 그래도 나중에 주역들이 프리즈미라는 걸그룹으로 실제 데뷔도 하고, 다음 후속작 실사 파트에도 출연하였다. 여기서는 실사파트에 이름이 없었으나 후속작부터는 이름이 생긴다.
후속작으로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 방영되었으며 2013년 4월부터 3기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이 방영되었다. 2014년~2018년까지 후속작인 '프리파라'를 방영.
2. 국내 방영
2013년 2월 13일에 전작인 이 작품을 건너뛰고 SBS에서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가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면서 전작인 이 작품이 국내방영 계획이 없어진 줄 알았지만 카툰네트워크에 9월 7일 오전 8시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후 애니맥스에서도 9월 9일 오후 4시 30분에 방영을 시작. 수입은 명탐정 코난과 수호캐릭터를 수입했던 SS애니멘트[4] 란 곳에서 담당한다.
지명과 작중 인물들 이름이 한국식으로 바뀌었지만 후속작과 방식이 다르며 [5] 작품 제목은 그대로이다.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 국적을 언급하는 일 없이 퓨리티 등의 한국인 캐릭터를 제외하곤 미국식에 가까운 로컬라이징을 한 것과는 차이점.
성우진은 지상파인 SBS에서 방영한 후속작과는 달리 성우들이 '''단 한 명도 유지되지 않고 전부 교체'''되었는데 류승곤, 신소윤, 최옥희, 정옥주, 사성웅[6] , 정소영 등 베테랑 성우들, 홍수정, 김목용 등 경력 미만 성우, 그해에 갓 프리가 된 선은혜, 탁원정 등 신인 성우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홍수정이 주인공 하루네 아이라 역을 맡게 되면서 애니메이션 첫 주역으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먼저 국내에 방영된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못지않게 역시 중복 캐스팅이 눈에 띈다. 또한 엄연히 후속작과 연계되는 시리즈작인데도 인물들 이름, 배경 현지화, 성우진까지 '''전혀''' 연계되지 않은 점 때문에 팬들에게 까였으며,[7][8] 작중 삽입곡의 경우 가사나 반주가 후속작에 비해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다. 해당 Q&A글 참고.
이렇게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한국판에 비해 평가가 떨어지고 흥행도도 더 낮았지만, 비록 소수이긴 해도 어린 시절 꿈보프보다 오로라 드림을 더 재미있게 본 이들 또한 존재한다. 이들은 오히려 꿈보프의 여러 단점들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기도 한다. 아무래도 한국에서의 흥행도를 제외하고 객관적인 완성도만 놓고 보면 꿈보프 쪽이 오로라 드림에 비해 퇴보한 면이 많기 때문인 듯하다.
먼저 방영한 후속작인 디어 마이 퓨처에서는 '''남자 성우가 3명'''밖에 없었던 것에 비하면 이쪽의 경우 그나마 남자 성우수가 1명 더 있다.
한편 카툰네트워크에서 첫 방영을 선보일 때에는 오프닝 전의 프롤로그 도입부 대사를 삭제하고 바로 오프닝을 보낸 반면 애니맥스에서 첫 방영을 선보일 때에는 프롤로그 도입부까지 더빙하여 그대로 내보낸 뒤 오프닝을 보낸다.
인터넷에서 더빙판을 시청할 수 있다. 유튜브 링크 (무료, 국내에서만 시청가능) [9] 라프텔 링크 (1화 제외 유료)
3. 스태프
- 캐릭터 원안: 와타나베 아키오 (渡辺明夫)
- 캐릭터 디자인: 카와시마 히사시 (川嶋尚)
- 미술감독: 타카하시 마호 (高橋麻穂)
- CG 디렉터: 사토 유조 (サトウユーゾー)
- 촬영감독: 타자와 지로 (田沢二郎)
- 편집: 사카모토 마사키 (坂本雅紀)
- 음향감독: 나가사키 유키오 (長崎行男)
- 음악: 나가오카 세이코우 (長岡成貢)
4. 주제가
오프닝은 30화를 기점으로 바뀌고 엔딩은 13화 주기로 바뀐다.
- OP
- 첫번째 오프닝(1화 ~ 29화): You May Dream - LISP
- 두번째 오프닝(30화 ~ 51화): 1000%キュンキュンさせてよ♡ - 프리티 리듬 올스타즈 [10]
- ED
5. 스토리
댄스 스케이트 & 코디 & 노래까지 섭렵! 완전히 색다른 댄스 스케이트 쇼「프리즘 쇼 . 쇼에 출연하는 프리즘 플레이어는 댄스 스케이트의 기술과 패션 센스, 가창력까지 모두 가지고 있는 슈퍼 아이돌이다. 그 프리즘 플레이어 중 톱을 의미하는 '프리즘 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여자아이들의 스토리.
6. 에피소드 가이드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피소드 가이드 참고.
7. 등장인물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등장인물 문서 참고.
8. 방영 목록
9. 프리즘 점프 목록
프리즘 점프 항목 참조
[1] 과거 AKI라는 이름으로 몇몇 프로레슬링 게임들을 제작한 바가 있다.[2] '미에노 히토미'라는 본명으로 유명하며, 가수 겸 작사가, 여기에 각본가 겸 구성작가로서 주로 애니메이션 노래를 다수 불러왔다. 지옥소녀와 아라카와 언더 더 브릿지 시리즈의 각본 역시 이 사람이 맡았다. 참고로 Yes! 프리큐어 5와 후레쉬 프리큐어의 각본에도 참여한 경력이 있다. 주제가로 대표적인 것은 기어전사 덴도의 오프닝곡인 W-Infinity. 물론 단독곡은 아니고 카게야마 히로노부와 같이 부른 곡이다. 방송작가로 활동할 때에는 '모리나가 타마치'라는 이름을 쓴다.[3] 바케모노가타리로 매우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4] 서울문화사에서 애니등을 수입하던 사업부를 독립시킨 자회사라고 한다.[5] 주역인 MARs의 하루네 아이라, 아마미야 리즈무, 타카미네 미온과 세레논 with 카나메의 죠노우치 세레나, 토도 카논, 크리스 카나메는 원판 이름을 유지하는 대신 성을 빼서 수정하였다. (순서대로 아이라, 류리듬, 미온, 세레나데, 캐논, 크리스)[6] 우연이지만 이후 후속작에도 캐스팅된다[7] 사실 오로라 드림이 일본에서만 제작한 순수 일본 애니메이션이라 2007년부터 한국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규정이 시행되면서 요즘 지상파에서의 애니 방영은 한국 애니(or 한일 합작) 위주가 되었기 때문에 본 작이 지상파에서 방영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로컬라이징, 성우진, 배경 현지화 또한 프리즘스톤 때와 똑같이 적용하기에는 저작권이 지상파(SBS)에게 있기 때문에 이것도 불가능한 모양이다. 이후 똑같이 한국식으로 현지화한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은 세계관 자체가 두 작품과는 별개여서 반대로 아무런 문제점이 없었다.[8] 하지만 설령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성우진을 유지한다 해도 완전히 유지하기보다 주연 쪽은 유지하면서도 그 외에는 어느 정도 성우교체가 이루어졌을 듯 싶다.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의 경우 주역인 MARs의 하루네 아이라와 아마미야 리즈무, 라이벌인 세레논 with 카나메의 토도 카논과 크리스 카나메를 각각 같은 성우가 맡았는데 이 캐스팅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두 그룹이 서로 대화하는 장면에서 자문자답이 많아졌을 것이며 더군다나 아이라는 오로라 드림에서 메인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당장 오로라 드림에서의 아이라 성우인 홍수정도 오로라 드림 한국판 성우진 중 유일하게 중복배역이 없었으니 말이다.[9] 2017년 1월부로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현재는 쥬니어네이버에서의 시청이 불가능해졌다.[10] 하루네 아이라, 아마미야 리즈무, 타카미네 미온, 죠노우치 세레나, 토도 카논의 성우가 참여했다[11] Prizmmy☆ 데뷔후 첫 프리티 리듬 시리즈 담당곡[12] 국내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카툰네트워크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3] TV 도쿄(2011.04.09.~2012.03.31.) / 애니맥스 코리아(2013.09.09.~2013.12.16.) / 카툰 네트워크(2013.09.07.~201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