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image]
'''모든 하스스톤 게이머들과 선수들의 꿈의 무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개최하는 최고 권위의 하스스톤 대회이다. [1]
리그 오브 레전드의 롤드컵 이나 스타크래프트 2의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와 비슷한 성격의 대회이며, 매년 11월 블리즈컨 에서 개최된다.
과거 HCT방식에서는 매달 등급전의 순위 혹은 대회를 통해 포인트를 얻어 지역 예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가졌다. 현재는 하스스톤 마스터즈 방식으로 변경되어, 레더와 온라인 예선으로 마스터즈 투어 출전권을 얻게 되며, 마스터즈 투어 상금 성적순으로 초청되는 그랜드마스터 리그에서 우승하면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얻게 된다.하스스톤 마스터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추가로, 중국 골드 시리즈 우승자도 출전하여 총 4개 지역에서 2명씩 8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한국 예선은 온게임넷 한중 마스터즈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크라니쉬, 레니아워가 한국 대표로 출전하였다.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image]
[image]
우선 모바일 버전의 흥행 덕분인지 상금이 대폭 확대되고, 계절별 챔피언십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등급전으로 얻을 수 있는 포인트는 획득이 상대적으로 쉬워짐에 따라 [2] 대회 성적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포인트가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있어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와글와글 하스스톤과 같은 오프라인 대회들이 확대될 예정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이번 개편으로 인해 메이저 대회나 컵대회에서 초청유저 시드를 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스트리머들이나 상위권 유저들만 상대적으로 많은 포인트를 가져갈 수 있었으나, 이번 개편에서는 그런 차이가 많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공식룰의 단점으로 지목되던 엔트리 고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디어 밴이 추가되었다. 3개의 덱을 사용해 정복전 방식으로 경기를 하는 것은 예전과 똑같으나 선수들은 총 4개의 덱을 가져와야 하며, 상대 선수는 그 중 하나를 밴하게 된 것.
작년 시즌에 비해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시즌 챔피언십'''의 추가인데, 스타크래프트2의 WCS체제에서 따온 듯한 모습이다.[3] 대회 우승자는 '''블리즈컨으로 직행'''하게 되며, 준우승자와 4강진출자는 각각 20점/15점을 획득한다.[4] , 각 3월/6월/8월을 목표로 한다고 트위터에서 언급한 바 있다.
2월 3일 패치를 통해 정규전으로만 월드 챔피언십이 진행될 것이 알려졌다. 당연히 포인트 획득 대회들도 정규전으로 치뤄진다.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포인트는 등급전 뿐만 아니라 블리자드 공식 대회에서도 획득할 수 있다. 점수는 각 대회 성적에 따라 지급된다. 매 챔피언십 시즌마다 상위 점수 획득자들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의 시즌 예선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한해 동안 축적된 점수를 바탕으로 8명을 선발하여,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직전에 지역별로 라스트 콜 인비테이셔널이 개최된다. 포인트는 월드 챔피언십 매 시즌마다 초기화 된다.
2017년 시즌 개요
2017년 챔피언십 투어 공식 규정
챔피언십 투어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기존에 진행되었던 지역별 시즌 챔피언십이 글로벌 시즌 챔피언십으로 통합되었다.
또한 각 지역의 시즌 예선이 지역별 시즌 플레이오프로 변경되어 4개의 지역(아시아 태평양, 미주, 유럽, 중국[8] )에서 각각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먼저 플레이오프는 지역별 포인트 상위 64명[9] 과 지역별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상위 8명이 참가하게 된다.
플레이오프 1일차엔 약 72명의 선수들 중 7라운드의 스위스 대전을 통해 상위 8명을 가려내며, 2일차엔 8명의 선수들이 싱글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상위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동계, 춘계, 하계 시즌 챔피언십의 상위 4명과 2017년 동안 4개의 지역에서 각각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1명, 총 16명의 선수들이 총 상금 $1,000,000 달러를 놓고 경쟁하게 된다.
특별히 하스스톤만 월드 챔피언십을 2018년 1월에 한다. 차기 정규전 해에 맞추기 위함인 듯 하다. 그로 인해 2017 블리즈컨에서는 하스스톤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 2 2017 WCS Global Finals-2017 오버워치 월드컵-2017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 Finals 등이 진행되었다. 월드 챔피언십 기간 동안 운고로 팩, 얼왕기 팩, 코볼트 팩을 1개씩 받을 수 있다.
2018년 시즌 개요
HCT 2018 공식 규정
HCT 챌린저스 공식 규정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한글)[10]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Eng)
우선 '하스스톤 마스터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는데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image]
플레이어 등급은 가장 최근 3번의 HCT 시즌 누적 총점으로 결정되고,각 HCT 시즌 마지막 날 등급을 다시 계산하므로 등급 혜택은 4개월 동안 지속된다.
그 다음은 HCT 투어 관련 내용인데 2017년과 비교했을 때 동계,춘계,하계가 각각 시즌 1,시즌 2,시즌 3로,라스트 콜은 '지역별 점수 최상위자'로 이름이 바뀐 것이다. 또한,중요한 것이 컵대회와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을 통합한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컵대회는 '챌린저 컵'으로,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은 '챌린저 파이널'이 된다. 컵대회는 결과에 따른 포인트는 사라지는 대신 결승에 진출하면 챌린저 파이널 진출 티켓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고,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은 기존과 같이 진행하며 이를 통해 챌린저 파이널 진출자를 선발한다.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은 시즌마다 8명의 선수들에게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을 주는 대신 3회 연속 HCT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다.
시즌 개요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하스스톤 경쟁 점수(CP)도 대폭 변경되었다. CP를 반영하는 기간은 시즌 1은 1월부터 3월까지,시즌 2는 4월부터 7월까지,시즌 3는 8월부터 11월까지이다. 시즌 1의 목표 점수는 전 지역에서 45점을 얻는 것이다.
이 외에 메이저 대회가 HCT 투어 스탑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시즌별 플레이오프 64강에서 바로 탈락하더라도 100만원을 받는 등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지역별 점수 최상위자'에서 1위는 8천달러에 월챔 진출,2위는 6천달러,3위는 4천달러,4위는 2천달러로 상금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시즌 2부터 각 HCT 시즌 상위 10개의 하스스톤 팀에 지원금을 지급한다. 팀에서는 전체 HCT 시즌 동안 팀을 대표할 선수 3명을 선택할 수 있고 시즌이 끝날 때마다 프로팀 순위표 상위 10개팀은 대표 선수 3인의 총 시즌 점수 합계에 따라 지원금을 받게 된다.
점수 구조도 대폭 변경되었다. 이번부터는 하스스톤 챔피언십 투어 시즌당 높은 순서 3번의 등급전 순위가 총 점수에 합산된다.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19년 참조.
대회 내용은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 참조.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20년 참조.
대회 내용은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참조.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쉽의 우승 트로피이다. 소재는 나무와 유리 그리고 청동이라고 한다. 블리즈컨 대회 트로피들은 각 게임 개발팀에서 제작하는데, 하스스톤 개발팀에서는 이 트로피를 통해 하스스톤 선술집의 매력적인 특징을 살렸다고 한다. 트로피 아래에 하스스톤 각각의 직업을 상징하는 심볼이 들어가 있으며, 물이 솟아오르는듯한 디자인이다. 여담으로 블리즈컨 트로피들 중에서 가장 이쁘다고 한다.
[image]
트로피 제작 과정은 트로피의 모양과 크기에 대한 윤곽을 명확히 잡는 콘셉 아트와 제작 과정에서 사용될 재질을 준비한뒤, 콘셉 아트를 통해 디지털 모델링 작업을 거쳐 3D 프린터로 결과물을 뽑아내어 수작업으로 형태를 마무리한뒤 주물 작업을 거친 후, 트로피를 조립한다고 한다.
'''모든 하스스톤 게이머들과 선수들의 꿈의 무대'''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개최하는 최고 권위의 하스스톤 대회이다. [1]
리그 오브 레전드의 롤드컵 이나 스타크래프트 2의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와 비슷한 성격의 대회이며, 매년 11월 블리즈컨 에서 개최된다.
과거 HCT방식에서는 매달 등급전의 순위 혹은 대회를 통해 포인트를 얻어 지역 예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가졌다. 현재는 하스스톤 마스터즈 방식으로 변경되어, 레더와 온라인 예선으로 마스터즈 투어 출전권을 얻게 되며, 마스터즈 투어 상금 성적순으로 초청되는 그랜드마스터 리그에서 우승하면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얻게 된다.하스스톤 마스터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추가로, 중국 골드 시리즈 우승자도 출전하여 총 4개 지역에서 2명씩 8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2. 대회 일람
2.1.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한국 예선은 온게임넷 한중 마스터즈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크라니쉬, 레니아워가 한국 대표로 출전하였다.
2.2.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2.3. 2016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image]
[image]
우선 모바일 버전의 흥행 덕분인지 상금이 대폭 확대되고, 계절별 챔피언십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등급전으로 얻을 수 있는 포인트는 획득이 상대적으로 쉬워짐에 따라 [2] 대회 성적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포인트가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있어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와글와글 하스스톤과 같은 오프라인 대회들이 확대될 예정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이번 개편으로 인해 메이저 대회나 컵대회에서 초청유저 시드를 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스트리머들이나 상위권 유저들만 상대적으로 많은 포인트를 가져갈 수 있었으나, 이번 개편에서는 그런 차이가 많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공식룰의 단점으로 지목되던 엔트리 고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디어 밴이 추가되었다. 3개의 덱을 사용해 정복전 방식으로 경기를 하는 것은 예전과 똑같으나 선수들은 총 4개의 덱을 가져와야 하며, 상대 선수는 그 중 하나를 밴하게 된 것.
작년 시즌에 비해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시즌 챔피언십'''의 추가인데, 스타크래프트2의 WCS체제에서 따온 듯한 모습이다.[3] 대회 우승자는 '''블리즈컨으로 직행'''하게 되며, 준우승자와 4강진출자는 각각 20점/15점을 획득한다.[4] , 각 3월/6월/8월을 목표로 한다고 트위터에서 언급한 바 있다.
2월 3일 패치를 통해 정규전으로만 월드 챔피언십이 진행될 것이 알려졌다. 당연히 포인트 획득 대회들도 정규전으로 치뤄진다.
2.3.1. 점수 구조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포인트는 등급전 뿐만 아니라 블리자드 공식 대회에서도 획득할 수 있다. 점수는 각 대회 성적에 따라 지급된다. 매 챔피언십 시즌마다 상위 점수 획득자들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의 시즌 예선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한해 동안 축적된 점수를 바탕으로 8명을 선발하여,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직전에 지역별로 라스트 콜 인비테이셔널이 개최된다. 포인트는 월드 챔피언십 매 시즌마다 초기화 된다.
2.3.2. 2016 시즌 챔피언십 일람
2.4. 201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7년 시즌 개요
2017년 챔피언십 투어 공식 규정
챔피언십 투어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기존에 진행되었던 지역별 시즌 챔피언십이 글로벌 시즌 챔피언십으로 통합되었다.
또한 각 지역의 시즌 예선이 지역별 시즌 플레이오프로 변경되어 4개의 지역(아시아 태평양, 미주, 유럽, 중국[8] )에서 각각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먼저 플레이오프는 지역별 포인트 상위 64명[9] 과 지역별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상위 8명이 참가하게 된다.
플레이오프 1일차엔 약 72명의 선수들 중 7라운드의 스위스 대전을 통해 상위 8명을 가려내며, 2일차엔 8명의 선수들이 싱글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상위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지역별 플레이오프에서 많은 변경점이 있었다. 원래 북미와 유럽지역은 국적 상관없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에서 스위스 대전 방식으로 바뀌고, 상위 128명에서 64명으로 바뀐것 뿐이지만,
2016년 아-태 지역은 한국, 대만별로 2명, 일본, 동남아, 호주별로 1명, 포인트 1위까지 총 8명이 진출하는 방식에서 북미, 유럽과 같은 방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특히 한국, 대만에 적용되는 메이저 대회 시드가 사라지면서 하마코가 폐지되기도 했다.
시즌 챔피언십은 4개의 지역에서 플레이오프 상위 4명씩 총 16명의 선수들이 참가하며, 기존의 월드 챔피언십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상위 4명의 선수들이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총 상금은 각각 $250,000 달러.최종적으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동계, 춘계, 하계 시즌 챔피언십의 상위 4명과 2017년 동안 4개의 지역에서 각각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1명, 총 16명의 선수들이 총 상금 $1,000,000 달러를 놓고 경쟁하게 된다.
특별히 하스스톤만 월드 챔피언십을 2018년 1월에 한다. 차기 정규전 해에 맞추기 위함인 듯 하다. 그로 인해 2017 블리즈컨에서는 하스스톤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 2 2017 WCS Global Finals-2017 오버워치 월드컵-2017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 Finals 등이 진행되었다. 월드 챔피언십 기간 동안 운고로 팩, 얼왕기 팩, 코볼트 팩을 1개씩 받을 수 있다.
2.4.1. 2017~2018 시즌 챔피언십 일람
2.5. 2019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8년 시즌 개요
HCT 2018 공식 규정
HCT 챌린저스 공식 규정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한글)[10]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Eng)
우선 '하스스톤 마스터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는데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image]
플레이어 등급은 가장 최근 3번의 HCT 시즌 누적 총점으로 결정되고,각 HCT 시즌 마지막 날 등급을 다시 계산하므로 등급 혜택은 4개월 동안 지속된다.
그 다음은 HCT 투어 관련 내용인데 2017년과 비교했을 때 동계,춘계,하계가 각각 시즌 1,시즌 2,시즌 3로,라스트 콜은 '지역별 점수 최상위자'로 이름이 바뀐 것이다. 또한,중요한 것이 컵대회와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을 통합한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컵대회는 '챌린저 컵'으로,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은 '챌린저 파이널'이 된다. 컵대회는 결과에 따른 포인트는 사라지는 대신 결승에 진출하면 챌린저 파이널 진출 티켓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고,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은 기존과 같이 진행하며 이를 통해 챌린저 파이널 진출자를 선발한다.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은 시즌마다 8명의 선수들에게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을 주는 대신 3회 연속 HCT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다.
시즌 개요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하스스톤 경쟁 점수(CP)도 대폭 변경되었다. CP를 반영하는 기간은 시즌 1은 1월부터 3월까지,시즌 2는 4월부터 7월까지,시즌 3는 8월부터 11월까지이다. 시즌 1의 목표 점수는 전 지역에서 45점을 얻는 것이다.
이 외에 메이저 대회가 HCT 투어 스탑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시즌별 플레이오프 64강에서 바로 탈락하더라도 100만원을 받는 등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지역별 점수 최상위자'에서 1위는 8천달러에 월챔 진출,2위는 6천달러,3위는 4천달러,4위는 2천달러로 상금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시즌 2부터 각 HCT 시즌 상위 10개의 하스스톤 팀에 지원금을 지급한다. 팀에서는 전체 HCT 시즌 동안 팀을 대표할 선수 3명을 선택할 수 있고 시즌이 끝날 때마다 프로팀 순위표 상위 10개팀은 대표 선수 3인의 총 시즌 점수 합계에 따라 지원금을 받게 된다.
-1위:7500달러 2위:4500달러 3위:3000달러 4위:2500달러 5위:2000달러 6위:1750달러 7위:1500달러 8위:1250달러 9위:1000달러 10위:750달러 (선수당 지원금 기준)
2.5.1. 점수 구조
점수 구조도 대폭 변경되었다. 이번부터는 하스스톤 챔피언십 투어 시즌당 높은 순서 3번의 등급전 순위가 총 점수에 합산된다.
2.5.2. 2018~2019 시즌 챔피언십 일람
2.6.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19년 참조.
대회 내용은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 참조.
2.7.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20년 참조.
대회 내용은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참조.
3. 역대 대회 결과
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쉽 트로피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쉽의 우승 트로피이다. 소재는 나무와 유리 그리고 청동이라고 한다. 블리즈컨 대회 트로피들은 각 게임 개발팀에서 제작하는데, 하스스톤 개발팀에서는 이 트로피를 통해 하스스톤 선술집의 매력적인 특징을 살렸다고 한다. 트로피 아래에 하스스톤 각각의 직업을 상징하는 심볼이 들어가 있으며, 물이 솟아오르는듯한 디자인이다. 여담으로 블리즈컨 트로피들 중에서 가장 이쁘다고 한다.
[image]
트로피 제작 과정은 트로피의 모양과 크기에 대한 윤곽을 명확히 잡는 콘셉 아트와 제작 과정에서 사용될 재질을 준비한뒤, 콘셉 아트를 통해 디지털 모델링 작업을 거쳐 3D 프린터로 결과물을 뽑아내어 수작업으로 형태를 마무리한뒤 주물 작업을 거친 후, 트로피를 조립한다고 한다.
[1] 블리자드에서 직접 개최하는 하스스톤 대회는 월드 챔피언쉽, 글로벌 게임, 인비테이셔널 3가지이다. 월드 챔피언쉽은 개인전, 글로벌 게임은 국가대항전, 인비테이셔널은 스트리머,선수 초청 이벤트전이다. 개인의 기량을 평가하는 월챔이 가장 크고, 우승자는 게임에 카드로 추가되는 명예가 주어진다.[2] 1위는 15포인트, 2위~10위 12포인트 등이며 전설 등급만 달성해도 1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3] 그래서 올해는 월드 챔피언쉽이라는 명칭보다, 월드 챔피언쉽 '''투어'''를 유독 강조한다. 내년까지 이어질 경우 HCT 브랜드로 브랜딩할 생각인듯.[4] 4강만 가도 메이저대회, 시즌1위와 동급이다! 엄청 큰 수치[5]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와 아프리카 하스스톤 배틀로얄 대회가 여기에 포함된다.[6] 많이들 혼동하는데 APAC 챔피언십과 시즌 챔피언십은 같은 말이다.[7] 한국, 대만(홍콩과 마카오 포함), 일본,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8] 중국은 별도로 Gold Series 진행[9] 단, 64위에 동점자가 있다면 모두 참가 가능[10] 2018년에만 대규모 한국행사가 있었다. 1585명 참가신청. Nexon Arena에서 진행하고 SPOTV에서 방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