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헤븐 BOY'S LOVE SCRAMBLE!
[image]
'''学園ヘヴンボーイズラブスクランブル'''
이름이 길어 그냥 간단하게 학원 헤븐(学園ヘヴン)이라 줄여 부른다.
스프레이에서 내놓은 BL 게임. 제목에 걸맞게 대략 학원에서 벌어지는 일을 담은 게임이다.
BL 작품 중에서 꽤나 인기를 얻은 작품으로 PC 게임으로 발매 후 PS2와 PSP로 이식되고 외전과 후속작도 출시되고 드라마 CD도 여러 장 발매되고 캐릭터송 음반도 발매되었으며 코믹북과 소설도 나왔다. 그러다가 2006년에 애니메이션화되는데 OVA가 아닌 TV 방영 애니메이션으로 BL 작품 중 몇 안되는 TV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배경이 되는 학교 '''벨 리버티 스쿨'''은 스즈비시(鈴綾)라는 기업에서 전국의 남고생 중 한 분야에 특출난 능력을 가진 천재들을 뽑아서 학비 전액 무료로 교육시키는 초 엘리트 학원이다. 학교는 스즈비시 기업이 지은 도시 내의 인공섬에 위치해있다.
참고로 이 학교의 약자는 BL학원... 노리고 지은 이름인 듯. 게다가 게임 타이틀 부제인 '''B'''OYS '''L'''OVE '''S'''CRA'''M'''BLE!에서 빨간 글씨로 색칠되있는 알파벳만 나열하면 BL SM(...)
어느 날 "이토 케이타"라는 평범한 소년이 벨 리버티 스쿨에 입학이 허가되었다는 통지서를 받게 된다.[1]
그는 입학 수속을 밟기 위해 버스를 타고 가지만, 이 때 벨 리버티 스쿨로 가는 다리가 열려 버렸다.
다리가 확 열려서 버스는 전복되지만, 전복 사고에도 불구하고 이토 케이타와 버스 운전기사 아저씨 둘 다 무사했다. 그 이유는 이토 케이타가 뭣도 모르고 가져온 '''이불''' 때문에.
어쨌든 무사하게 학원에 입학한 후 여러 친구와 선배들을 알게 되면서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교감 선생 쿠가누마가 케이타를 불러 "너에게 입학서가 간 것은 시스템 상의 오류였다"며 교장과의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퇴학 명령을 내렸다. 갑작스런 케이타의 퇴학 명령에 본인을 포함한 등장 인물들이 교감의 이러한 만행에 반발하여 반대의 의견을 표하러 교장실로 찾아갔는데 그 순간 갑자기 학교에서 우수한 학생을 뽑는 대회인 '''학원 MVP전'''이 개최되는 것을 발표하였는데 우승 특전으로는 스즈비시 기업이 해줄 수 있는 한도 안에서 소원을 하나 이뤄주겠다고 한다.
이대로 퇴학당하기 싫은 케이타와 케이타를 떠나보내기 싫은 등장 인물들은 우승 특전으로 케이타의 퇴학 명령을 철회시키기 위해 MVP전에 출전하게 되는데...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애니메이션에서는 항상 눈이 안보이게 웃고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눈을 떠 수상한 분위기를 부각시킨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스즈비시 기업의 벨 리버티 연구소의 연구원이기도 해, 그 연구 내용은 매우 가치가 높다고 한다.
담당 성우가 여성인지라 음성이 수록된 PS2판이나 드라마 CD에선 수위가 전혀 없다.
[image]
[image] [image]
주니어 테니스 대회 복식 부문에서 우승을 한 쌍둥이 형제로 테니스부 소속이다. 주인공 케이타가 전학생이여서 특별 취급 받는 것같이 느껴져 일방적으로 적대시하고 있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오히려 케이타를 걱정하고 있는 츤데레의 모습을 보여준다.
첫 발매는 2002년 8월 2일이며 PC판. 그 뒤로 NEC 인터채널에서 이식작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2003년 11월 27에는 플레이스테이션2로 이식되어 나왔고, 2004년 7월 22일과 2006년 8월 31일에는 각각 Type B와 염가판이 나왔다. 이 외에도 2009년 PSP판, 2014년 PC 리뉴얼판, 2015년 PS Vita판이 있다.
이용 등급이 각 판마다 다르다. 맨 처음 나온 PC판과 PS2판은 18세 이상 이용가. Type B에서는 CERO 15로 등급이 낮아졌으나 염가판은 또 다시 CERO D, 즉 17세 이상 이용가로 올라갔다.
여러 매체로 나오고 여러 콘솔 게임기로 인식되어 자꾸 우려먹는 사골 이미지가 있지만 게임 자체는 본편과 팬서비스 게임 단 두가지 뿐이고 스토리가 전부 1학기 봄안에 마무리된다. 여러 가지 소재가 많은 학교가 배경인만큼 게임이 1탄뿐인건 아쉬움이 남는다.
2005년에는 팬서비스 개념의 게임인 '학원헤븐 오카와릿!(한그릇 더!)'을 발매하였다. 스토리는 전작의 MVP전이 끝나고 얼마 후 주인공 이토 케이타의 손에 불운의 반지가 끼워져 운이 급격히 떨어져 발생되는 헤프닝을 공략캐들과 함께 해결하는 내용. 비주류 캐릭터의 루트와 오마케에선 작붕이 절정 수준이다(...) PC판 없이 PS2와 PSP판만 발매되었다.
2011년에 학원헤븐 출시 10주년을 앞두고 후속작 학원헤븐2의 제작을 발표하였다. 부제는 "Double Scramble". 학원헤븐1에서 7년이 지난 시점으로 1의 등장 인물들은 모두 졸업하고 새로운 등장 인물들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제작 발표와 동시에 각종 여성향 잡지에 주요 등장인물을 공개하는 등 계속 떡밥을 던져왔으나 계속되는 출시일 연기에 2012년에도 발매되지 못하고 2013년 연내 발매 예정이였다가 또 연기되고 2014년 3월 발매 예정이였다가 5월 말로 밀리고 또 여름 발매로 연기되다가 드디어 7월 11일에 학원헤븐2의 PC판이 발매되었다(!) 학원헤븐2의 주인공인 아사히나 유우키가 만들어진지 3년이 지나서야 겨우 세상의 빛을 보게된 것. PSP와 Vita판 출시는 2014년 겨울 발매였다가 2015년 연초 발매로 밀렸다. 아쉽게도 학원헤븐2는 19금이 아니다.
1탄의 주인공 이토 케이타가 벨 리버티 스쿨의 선생님으로 등장한다. 엔도 카즈키도 특정 루트에서 잠깐 특별 출연.
* DJ CD BL학원 방송부 ~벨☆라디오~
성우들의 토크가 담긴 CD.
2003년에는 잡지 BE-BOY에서 학원헤븐의 만화를 연재하였는데 등장 인물 인기투표에서 1위를 한 니와 테츠야와의 커플링 스토리를 연재하고 그 다음해에 코믹북을 발매하였다. 이후 2006년에 나카지마 히데아키 커플링, 2007년에 엔도 카즈키 커플링, 2009년에 시치조 오미 커플링의 만화가 각각 연재 후 발매되었다.
위 4권 모두 현대지능개발사의 루비코믹스에서 발매되었다. 이후 아청법 제정으로 인해 엔도편과 시치조편은 19금씬을 삭제한 후 발매하였고 나머지 2권은 E-book 서비스를 중단하였다.
소설판도 발매하였는데 2002년에 PC판 게임 발매 이후 엔도 카즈키 커플링의 노벨이 발매되었다. 이후 2006년에 커버를 새로 그린 복각판을 발매하고 2007년에는 시치조 오미 커플링의 노벨이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후자의 2권이 현대지능개발사에서 발매되었고 19금이지만 E-book 서비스도 지원중이다. 그러나 E-book 서비스에선 텍스트만 지원하기 때문에 중간 작화를 볼 수가 없다.
2011년에는 '학원헤븐 레볼루션'이라는 만화를 연재 후 발매하였다. 기존 스토리에서 이것저것 섞어 하나의 스토리로 만들었는데 특이하게 '''MVP전'''이 없는 채로 전개된다. 그런데 전연령판이라서 수위가 없고 등장인물 중 아무랑도 안 이어져 BL작품이 아닌 수준이다(...) 한국에선 발매되지 않았다.
2006년 4월에는 이를 애니메이션화한 '''학원 헤븐 BOYS LOVE HYPER!'''가 만들어져 방영되었다.
2006년 4월 1일부터 6월 24일까지 AT-X에서 방영되었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으로, 13화작이다. AT-X에서의 방송이 호평을 받아 같은 해 7월부터 9월까지 독립 UHF국에서도 방송되었다. 높은 수위도 방영 가능한 AT-X 채널에서 방영하였지만 수위가 '''제로'''.
캐릭터 디자인은 나카야마 유미가 담당. 몇몇 캐릭터는 애니메이션에서 용됐다(...)
드라마CD, 캐릭터송, 코믹북, 노벨, 애니메이션에 이어 끝판왕으로 뮤지컬까지 하였다.
'학원 헤븐 뮤지컬 ~벨 리버티★프린스~'의 타이틀로 2008년 7월 25일 ~ 7월 30일까지 공연.
한때 등장인물들의 얼굴이 길쭉한 게임으로 유명하기도 했었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책과는 달리 게임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정말 얼굴이 길다.
[image] [image]
오리지널 PC판을 발매한 2002년에는 작화가 많이 날카로운 편이였고 귀여운 외모라는 설정인 주인공 케이타마저 바닥을 찌를 듯한 턱을 자랑한다
[image]
그리고 1년 후인 2003년에는 둥글둥글한 주인공의 얼굴이 완성되었다.
'''学園ヘヴンボーイズラブスクランブル'''
이름이 길어 그냥 간단하게 학원 헤븐(学園ヘヴン)이라 줄여 부른다.
1. 소개
스프레이에서 내놓은 BL 게임. 제목에 걸맞게 대략 학원에서 벌어지는 일을 담은 게임이다.
BL 작품 중에서 꽤나 인기를 얻은 작품으로 PC 게임으로 발매 후 PS2와 PSP로 이식되고 외전과 후속작도 출시되고 드라마 CD도 여러 장 발매되고 캐릭터송 음반도 발매되었으며 코믹북과 소설도 나왔다. 그러다가 2006년에 애니메이션화되는데 OVA가 아닌 TV 방영 애니메이션으로 BL 작품 중 몇 안되는 TV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2. 스토리
배경이 되는 학교 '''벨 리버티 스쿨'''은 스즈비시(鈴綾)라는 기업에서 전국의 남고생 중 한 분야에 특출난 능력을 가진 천재들을 뽑아서 학비 전액 무료로 교육시키는 초 엘리트 학원이다. 학교는 스즈비시 기업이 지은 도시 내의 인공섬에 위치해있다.
참고로 이 학교의 약자는 BL학원... 노리고 지은 이름인 듯. 게다가 게임 타이틀 부제인 '''B'''OYS '''L'''OVE '''S'''CRA'''M'''BLE!에서 빨간 글씨로 색칠되있는 알파벳만 나열하면 BL SM(...)
어느 날 "이토 케이타"라는 평범한 소년이 벨 리버티 스쿨에 입학이 허가되었다는 통지서를 받게 된다.[1]
그는 입학 수속을 밟기 위해 버스를 타고 가지만, 이 때 벨 리버티 스쿨로 가는 다리가 열려 버렸다.
다리가 확 열려서 버스는 전복되지만, 전복 사고에도 불구하고 이토 케이타와 버스 운전기사 아저씨 둘 다 무사했다. 그 이유는 이토 케이타가 뭣도 모르고 가져온 '''이불''' 때문에.
어쨌든 무사하게 학원에 입학한 후 여러 친구와 선배들을 알게 되면서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교감 선생 쿠가누마가 케이타를 불러 "너에게 입학서가 간 것은 시스템 상의 오류였다"며 교장과의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퇴학 명령을 내렸다. 갑작스런 케이타의 퇴학 명령에 본인을 포함한 등장 인물들이 교감의 이러한 만행에 반발하여 반대의 의견을 표하러 교장실로 찾아갔는데 그 순간 갑자기 학교에서 우수한 학생을 뽑는 대회인 '''학원 MVP전'''이 개최되는 것을 발표하였는데 우승 특전으로는 스즈비시 기업이 해줄 수 있는 한도 안에서 소원을 하나 이뤄주겠다고 한다.
이대로 퇴학당하기 싫은 케이타와 케이타를 떠나보내기 싫은 등장 인물들은 우승 특전으로 케이타의 퇴학 명령을 철회시키기 위해 MVP전에 출전하게 되는데...
3. 등장인물
[image]
- 이토 케이타(1학년) - 성우: 후쿠야마 준
[image]
- 니와 테츠야(3학년) - 성우: 코니시 카츠유키
[image]
- 사이온지 카오루(2학년) - 성우: 카미야 히로시
[image]
- 엔도 카즈키(1학년)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
[image]
- 나카지마 히데아키(3학년) - 성우: 모리카와 토시유키
[image]
- 시치조 오미(2학년) - 성우: 츠보이 토모히로
애니메이션에서는 항상 눈이 안보이게 웃고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눈을 떠 수상한 분위기를 부각시킨다.
[image]
- 나루세 유키히코(2학년) - 성우: 미키 신이치로
[image]
- 시노미야 코우지(3학년) -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image]
- 이와이 타쿠토(3학년) - 성우: 노지마 히로후미
[image]
- 타키 슌스케(2학년) - 성우: 스즈무라 켄이치
[image]
- 우미노 사토시 - 성우: 카와카미 토모코
스즈비시 기업의 벨 리버티 연구소의 연구원이기도 해, 그 연구 내용은 매우 가치가 높다고 한다.
담당 성우가 여성인지라 음성이 수록된 PS2판이나 드라마 CD에선 수위가 전혀 없다.
- 토노사마 - 성우: 코니시 카츠유키
3.1. TV 애니메이션 추가 캐릭터
[image]
- 마츠오카 진 - 성우: 나리타 켄
[image] [image]
주니어 테니스 대회 복식 부문에서 우승을 한 쌍둥이 형제로 테니스부 소속이다. 주인공 케이타가 전학생이여서 특별 취급 받는 것같이 느껴져 일방적으로 적대시하고 있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오히려 케이타를 걱정하고 있는 츤데레의 모습을 보여준다.
4. 게임
첫 발매는 2002년 8월 2일이며 PC판. 그 뒤로 NEC 인터채널에서 이식작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2003년 11월 27에는 플레이스테이션2로 이식되어 나왔고, 2004년 7월 22일과 2006년 8월 31일에는 각각 Type B와 염가판이 나왔다. 이 외에도 2009년 PSP판, 2014년 PC 리뉴얼판, 2015년 PS Vita판이 있다.
이용 등급이 각 판마다 다르다. 맨 처음 나온 PC판과 PS2판은 18세 이상 이용가. Type B에서는 CERO 15로 등급이 낮아졌으나 염가판은 또 다시 CERO D, 즉 17세 이상 이용가로 올라갔다.
여러 매체로 나오고 여러 콘솔 게임기로 인식되어 자꾸 우려먹는 사골 이미지가 있지만 게임 자체는 본편과 팬서비스 게임 단 두가지 뿐이고 스토리가 전부 1학기 봄안에 마무리된다. 여러 가지 소재가 많은 학교가 배경인만큼 게임이 1탄뿐인건 아쉬움이 남는다.
4.1. 버전별 차이점
- 2002년에 출시된 오리지널 PC판은 19금이지만 음성이 없다.
- 2003년에 출시한 PS2판에는 음성이 수록되었는데 성우들의 라인업이 초호화급이다. 다만 가정용 게임기로 이식된 것인지라 19금 씬이 삭제된 채로 출시되었는데 수위씬에서 검은 화면으로 대체되고 그 다음날에 '그런 일이 있었다'라며 넘기는 식. 19금 씬이 삭제된 대신 몇몇 CG의 작붕을 수정하고 목욕탕 탈의실 이벤트가 추가되고 엔딩 CG도 새로 추가되었다. 이후 출시된 Type B와 염가판은 기존 PS2판과 차이가 없으나 15세 이용가인 Type B에서는 초반 카드게임 장면이 도박으로 보일 수 있어 삭제되었다고 한다.
- 2009년에 출시된 PSP판은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캐릭터 3명이 깨알 등장하였다(공략 불가). 그리고 이전 PS2판에서 삭제된 19금씬을 검은 화면으로 부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것을 두리뭉술하게 넘어가게 수정하였다.
- 2014년 9월 26일에 학원헤븐을 리뉴얼한 '학원헤븐 Mixed edition'을 발매하였다. 학원헤븐2의 발매로 인한 흐름으로 리뉴얼이 결정된 듯하다. PC판의 19금씬과 PSP판의 추가 요소를 모두 볼 수 있게 리뉴얼하였는데 아쉽게도 오리지널 PC판과 마찬가지로 음성이 없다. PC판과 PSP판의 요소를 자연스럽게 합칠려면 새로운 대사가 있기 마련이라 새로 녹음을 해야하기도 하고 우미노 사토시의 성우인 카와카미 토모코가 세상을 떠난지라 여러 이유로 음성 수록이 불가능한 상태. 다만 개런티 문제로 보기엔 2015년에 발매될 PS Vita판에는 음성이 들어간다. CD와 웹 다운로드판 등으로 판매를 하였는데 다운로드판은 일본 윈도우에서만 실행이 된다. 한국에서 돈내고 다운받아도 결국 'NoRegion Loader'로 뚫어야한다.
- 2015년 2월에 PS Vita 이식판이 발매된다고 한다. 비타판은 비타의 해상도에 최적화하고 배경그림을 새로 교체했다고 한다. 내용은 PSP판과 동일하게 15세 이용가이다.
4.2. 후속작
4.2.1. 학원헤븐 오카와릿!
2005년에는 팬서비스 개념의 게임인 '학원헤븐 오카와릿!(한그릇 더!)'을 발매하였다. 스토리는 전작의 MVP전이 끝나고 얼마 후 주인공 이토 케이타의 손에 불운의 반지가 끼워져 운이 급격히 떨어져 발생되는 헤프닝을 공략캐들과 함께 해결하는 내용. 비주류 캐릭터의 루트와 오마케에선 작붕이 절정 수준이다(...) PC판 없이 PS2와 PSP판만 발매되었다.
4.2.2. 학원헤븐2 DOUBLE SCRAMBLE!
2011년에 학원헤븐 출시 10주년을 앞두고 후속작 학원헤븐2의 제작을 발표하였다. 부제는 "Double Scramble". 학원헤븐1에서 7년이 지난 시점으로 1의 등장 인물들은 모두 졸업하고 새로운 등장 인물들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제작 발표와 동시에 각종 여성향 잡지에 주요 등장인물을 공개하는 등 계속 떡밥을 던져왔으나 계속되는 출시일 연기에 2012년에도 발매되지 못하고 2013년 연내 발매 예정이였다가 또 연기되고 2014년 3월 발매 예정이였다가 5월 말로 밀리고 또 여름 발매로 연기되다가 드디어 7월 11일에 학원헤븐2의 PC판이 발매되었다(!) 학원헤븐2의 주인공인 아사히나 유우키가 만들어진지 3년이 지나서야 겨우 세상의 빛을 보게된 것. PSP와 Vita판 출시는 2014년 겨울 발매였다가 2015년 연초 발매로 밀렸다. 아쉽게도 학원헤븐2는 19금이 아니다.
1탄의 주인공 이토 케이타가 벨 리버티 스쿨의 선생님으로 등장한다. 엔도 카즈키도 특정 루트에서 잠깐 특별 출연.
5. 여러 매체에서의 학원 헤븐
5.1. 드라마 CD
- 드라마 CD 학원 헤븐 ~미래는 너의 것~
- 드라마 CD 학원 헤븐 2 ~무적의 3년생~
- 드라마 CD 학원 헤븐 2 ~강한 2년생~
- 드라마 CD 학원 헤븐 2 ~Welcome to HEAVEN!~
- 학원 헤븐 보컬 앨범 ~SONG!MVP~
- 학원 헤븐 맥시 싱글 ~BITTER CHOCOLATE~
- 학원 헤븐 맥시 싱글 ~SWEET CANDY~
- 드라마 CD 학원 헤븐 3 ~Happy☆파라다이스~
* DJ CD BL학원 방송부 ~벨☆라디오~
성우들의 토크가 담긴 CD.
5.2. 책
2003년에는 잡지 BE-BOY에서 학원헤븐의 만화를 연재하였는데 등장 인물 인기투표에서 1위를 한 니와 테츠야와의 커플링 스토리를 연재하고 그 다음해에 코믹북을 발매하였다. 이후 2006년에 나카지마 히데아키 커플링, 2007년에 엔도 카즈키 커플링, 2009년에 시치조 오미 커플링의 만화가 각각 연재 후 발매되었다.
위 4권 모두 현대지능개발사의 루비코믹스에서 발매되었다. 이후 아청법 제정으로 인해 엔도편과 시치조편은 19금씬을 삭제한 후 발매하였고 나머지 2권은 E-book 서비스를 중단하였다.
소설판도 발매하였는데 2002년에 PC판 게임 발매 이후 엔도 카즈키 커플링의 노벨이 발매되었다. 이후 2006년에 커버를 새로 그린 복각판을 발매하고 2007년에는 시치조 오미 커플링의 노벨이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후자의 2권이 현대지능개발사에서 발매되었고 19금이지만 E-book 서비스도 지원중이다. 그러나 E-book 서비스에선 텍스트만 지원하기 때문에 중간 작화를 볼 수가 없다.
2011년에는 '학원헤븐 레볼루션'이라는 만화를 연재 후 발매하였다. 기존 스토리에서 이것저것 섞어 하나의 스토리로 만들었는데 특이하게 '''MVP전'''이 없는 채로 전개된다. 그런데 전연령판이라서 수위가 없고 등장인물 중 아무랑도 안 이어져 BL작품이 아닌 수준이다(...) 한국에선 발매되지 않았다.
5.3. 애니메이션
2006년 4월에는 이를 애니메이션화한 '''학원 헤븐 BOYS LOVE HYPER!'''가 만들어져 방영되었다.
2006년 4월 1일부터 6월 24일까지 AT-X에서 방영되었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으로, 13화작이다. AT-X에서의 방송이 호평을 받아 같은 해 7월부터 9월까지 독립 UHF국에서도 방송되었다. 높은 수위도 방영 가능한 AT-X 채널에서 방영하였지만 수위가 '''제로'''.
캐릭터 디자인은 나카야마 유미가 담당. 몇몇 캐릭터는 애니메이션에서 용됐다(...)
5.3.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school boys〉
- 엔딩 테마 〈파노라마〉
5.3.2. 회차 목록
5.4. 뮤지컬
드라마CD, 캐릭터송, 코믹북, 노벨, 애니메이션에 이어 끝판왕으로 뮤지컬까지 하였다.
'학원 헤븐 뮤지컬 ~벨 리버티★프린스~'의 타이틀로 2008년 7월 25일 ~ 7월 30일까지 공연.
6. 여담
한때 등장인물들의 얼굴이 길쭉한 게임으로 유명하기도 했었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책과는 달리 게임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정말 얼굴이 길다.
[image] [image]
오리지널 PC판을 발매한 2002년에는 작화가 많이 날카로운 편이였고 귀여운 외모라는 설정인 주인공 케이타마저 바닥을 찌를 듯한 턱을 자랑한다
[image]
그리고 1년 후인 2003년에는 둥글둥글한 주인공의 얼굴이 완성되었다.
[1] 설정상 이토 케이타는 운이 억세게 좋은 놈이라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