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티베트 망명 정부 관계

 




[image]
[image]
'''대한민국'''
'''티베트'''
1. 개요
2. 역사적 관계
3. 문화 교류
4. 대사관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티베트의 관계. 티베트가 독립국이 아니기 때문에 미수교 상태로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전무하다. 그러나 민간차원에서는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이 다람살라를 방문한다던가 한국 내 체류하는 티베트인들이 망명정부에게 활동 자금을 송금하는 등 꾸준히 교류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 불교학과에서 티베트어를 가르치는 등 일부 문화 교류가 있다. 민간 차원에서 놓고 보면 한국인들 중에서는 특히 불교계에서 티베트의 독립을 지지하는 이들이 많다.
한국 내에서 티베트에 대한 인식은 호의적인 편이다. 그리고 한국에도 티베트인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다. 국내 체류 티베트인이 포탈라라는 타이틀의 티베트 요리 레스토랑을 개업하면서, 한국 내에서 티베트 요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편이다.[1] 포탈라 레스토랑은 수익금 일부를 티베트 망명 정부 측에 기부한다고 한다.

2. 역사적 관계


역사적으로 티베트와 한반도는 직접 교류는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나당전쟁 당시 토번 제국대비천 전투에서 당군을 무찌르고 당나라 본토를 진격하면서 나당전쟁에 파견된 당군 중 적지 않은 인원이 티베트군을 막기 위해 한반도에서 후퇴하였다. 티베트는 간접적으로 나당전쟁 당시 신라의 승리에 기여했던 셈이다. 고려시대 말 원간섭기 티베트 불교가 고려에 도입될 뻔 했으나 기존 불교 교단의 반대로 무마되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쓰여진 열하일기에는 성리학적 입장에서 티베트 불교에 관한 부정적인 서술이 기록되기도 했다.

3. 문화 교류


중국을 통해 티베트 여행을 가는 경우는 점점 힘들어지고 있으나 인도의 다람살라로 여행을 가는 경우가 많다.
달라이 라마의 방한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인도 다람살라에서는 한국인 불자들을 위한 법회가 거의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03년 여수 석천사 주지 진옥스님(現 티벳대장경역경원장)의 청으로 달라이 라마의 한국인 불자들을 위한 법회가 처음으로 개최된 후 현재까지 해마다 수백명의 한국인 불자들이 참여하는 법회가 다람살라 남걀사원에서 열리고 있다.
1967년에 달라이 라마 14세가 라사판 티베트 대장경 한 질을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한 일이 있다. 이후 2009년 달라이 라마가 기부한 20만 달러 상당의 자금을 토대로 동국대 경주캠퍼스에 티베트 대장경 역경불사를 담당하는 티벳대장경역경원이 설립되었다.
불교계에서도 달라이 라마의 방한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중국 정부주한중국대사관의 압력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2020년 11월 8일에 진행된 2020서울국제불교박람회 온라인축제에 참석한 달라이 라마 14세는 한국 불자들에게 축하메시지를 보내면서 한국 불자들은 기도뿐만 아니라 불교 철학과 논리학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였으면 한다고 밝혔다.#
특이하게도 반미친중 성향이 강한 한경오에서 티베트 독립운동 및 티베트 망명정부에 대해서만큼은 우호적인 기사를 자주 싣는 편이다.[2] 대한민국 보수 측에서도 티베트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경우가 많으나, 극우 계열은 전광훈 목사류의 배타적인 극우 개신교 교단이 잡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지, 티베트 독립운동 자체에 무관심한 편이다.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없지만 한국 불교계에서는 티베트 불교 승려들을 자주 초빙해 법회를 개최한다. 티베트 불교 수행체계인 '람림'에서 스승의 역할, 논리적인 깨달음이 중요한만큼 정치적 환경과는 상관없이 매 해 교류가 이어져왔다. 자세한 내용은 티베트 불교 인적교류 항목, 티베트 불교/수행 체계 참조. 2019년에는 前 티베트 망명 정부 총리였던 삼동 린포체가 대승전법륜대회(大乘轉法輪大會)를 위해 방한하였다.#

4. 대사관


현재 티베트가 중국의 영토로 되어 있다보니 티베트 망명 정부는 인도 다람살라에 망명 중이다.
그렇기에 대한민국은 티베트 망명 정부와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티베트 망명 정부는 도쿄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 법왕 일본 대표부 사무소'가 대한민국 관련 업무를 관할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1] 이후 국내에 네팔인 요리사들이 들어오고 티베트 요리와 공통 분모가 많은 네팔 요리가 들어오면서 티베트 요리에 대한 인지도나 시식 경험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2] 이런 성향은 한경오가 위구르 독립운동 관련해서 다룰 때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한경오에 노골적인 친중 성향 기자들도 있는만큼 노골적으로 티베트 독립운동을 비하하는 칼럼 등도 종종 올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