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어
'''ན་མུ་ཝི་ཁི། ང་ཚོ་ནི་ལྷན་ཅིག་སྐྱེ་བ་བློའི་ཤིང།།'''[3]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티베트에서 쓰이는 언어. 중국어와 함께 중국 티베트 자치구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티베트어라고 뭉뚱그려 표기하지만 티베트가 산지로 이루워진 특성상 방언 차가 굉장히 크다. 좁게는 라싸 일대에서 쓰이는 티베트어[4] 를 말하고 넓게는 부탄의 종카어, 시킴어, 셰르파어, 라다크어, 발티어 등을 포함한다.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며 티베트 문자로 표기한다.
2. 문자
[image]
이 그림에 나온 것은 티베트어 문자 자음의 가장 기본형이라 모음/유두음/첨족어 등이 빠져있기 때문에 이것만 본다고 해서 티베트어를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티베트어의 표기와 발음이 심하게 엇나가는 이유는 발음이 바뀐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가령 'སྲོང་བྩན་སྒམ་པོ།[5] '가 고대엔 진짜로 스롱르찬즈감포라고 발음되다가 현대에 들어 송챈감포라고 발음되는 식이다.
위 그림에 나온 자음의 읽는 법을 위에서부터 표기하자면 이렇다.
까/카/가/ᅌᅡ(응아) [6]
짜/차/자/냐 [7]
따/타/다/나
빠/파/바/마
쫘/촤/좌[8] /와
샤/사/아[9] /야
롸/라[10] /쌰/싸
하[11] /ᅙᅡ 이다.
티베트어는 중국어와 같은 어족이지만 차이점이 굉장히 많아서 중국어-티베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오히려 몽골어, 만주어 등의 북방어족과 문법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이 많다. 의외로 어족상 아무 관련이 없는 한국어와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어순이 SOV(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12] 을 띄고, 성조도 복잡하지 않아 일반적으로 고저의 두 개 밖에 없으며 지역 방언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와 같이 조사를 사용하여 주어, 목적어, 경어를 표기하며, 심지어 그 단계 또한 존재한다.[13]
2.1. 학습 관련 사이트
- 영어 - 티베트어 사전(PDF)
- 티베트어 문자 타자 치기
3. 한국에서 배우기
한국에서는 일부 대학에서 티베트어를 배울 수 있는 강좌가 있다. 불교학과에서는 티베트어 강좌를 열어서 티베트어를 가르치기도 하며 불교학과에서는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언어이기도 한다. 수요는 적지만, '티베트어 기초 문법'이나 '고전 티벳어 문법' 같은 티베트어책이 일부 발행되고 있다.
4. 들어보기
달라이 라마 14세의 80번째 생일을 맞이하여. 티베트 망명정부의 롭상 셍게 총리가 티베트어로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1959년 티베트 봉기때 불린 노래인 "미망 랑루 (모든 사람이 일어나는 노래)", 가사는 문어체로 쓰여져 있다.
5. 같이보기
[image]
티베트어 검색 엔진 Yongzin
중국 칭하이성 티베트어문정보기술연구센터에서는 세계 최초의 티베트어 검색엔진 용진(yongzin.com)을 개설했다. 중국어로는 티베트어로 스승을 뜻하는 '용진'을 음차해 윈짱(雲藏)으로 명명했다. 중국 내 티베트인 700만 명은 그간 인터넷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는데, 용진에 앞서 티베트어 검색 기능을 갖고 있었던 구글이 중국 당국에 의해 접속이 차단돼 있고 중국의 주요 검색포털 바이두(百度)와 써우거우(搜狗) 등은 아예 티베트어 검색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그간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중국의 인터넷 감시시스템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우회해 구글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중국 내 티베트인들에게 용진 개설은 또다른 대안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중국이 만든 용진은 뉴스, 웹사이트, 사진, 영상, 음악, 백과사전 등의 분류가 구글과 흡사하고 심지어 아이콘, 색깔, 설계도 구글과 매우 유사하다. 그 대신 용진은 중국 사이트답게 인터넷 검열이 적용되어 민감한 용어로 분류돼 검색이 차단된 어휘들을 입력할 수 없고, 티베트의 정신적 영수인 달라이 라마도 검색할 수 없다.
위키백과에서도 티베트어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1] bod skad / pögä, 보드 스카드'는 글자를 와일리 표기법에 따라 라틴 문자로 표기한 것이고 '뵈깨'는 소리나는 대로 옮긴 것이다.[2] 그 외 각 방언마다 코드가 다르다.[3]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4] 라싸에서 사용되는 티베트어가 사실상 티베트어의 표준어다. 자치구의 티베트어 규범도 이쪽에 기초한다.[5] srong btsan sgam po[6] /ŋa/[7] 스페인어의 ñ발음과 동일, 한국어의 니+모음과 유사.[8] ㄴ, ㄷ, ㅌ 등과 같은 위치에서 조음 [9] 고대에는 음가가 있었지만 현대에는 음가가 없음[10] 영어와는 다르게 치경음으로 발음[11] 영어의 ha가 아닌 네덜란드어의 ha다.[12] 티베트어 외에도 버마어 등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들이 보통 이 어순을 띈다.[13] ex) ཤེས། (알다)-མཁྱེན། (이해하시다) 등 (출처-티베트어 기초문법, 평사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