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명나라)

 


'''명나라의 명신'''
'''海瑞 | 해서'''

[image]
'''시호'''
충개(忠介)
'''이름'''
해서(海瑞)
''''''
여현(汝賢)
'''생몰'''
1514년 1월 23일 ~ 1587년 11월 12일
'''출신'''
경주부(瓊州府) 경산현(瓊山縣)
'''군주'''
명 세종 숙황제
명 목종 장황제
명 신종 현황제
1. 개요
2. 생애
3. 사후
4. 창작물
5. 여담

[clearfix]

1. 개요


중국 명나라 시대의 명신.

2. 생애


1514년에 광동성 경산현(瓊山縣: 현 하이난성 하이커우시)에서 출생했다. 향시에 합격해 거인(1차 시험 합격자)이 되었으나 이후 회시에서 불합격하는 바람에 진사가 되지는 못했다.
이때문인지 지방의 하급관료로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처음 맡은 관직은 복건성의 남평현 교유였다고. 비록 하급관료이긴 했으나 강직한 성격과 검소한 생활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각지의 현령을 지내면서 선정을 펼쳤고 이런 덕에 유능하고 강직한 관료로 인정을 받아 중앙관료로 승진하여 호부주사에 발탁되었다.
당시는 희대의 막장황제 가정제 시기로, 가정제의 무능과 사치향락으로 명나라 전체가 휘청거리던 시절이었다. 이런 때에 해서는 과감하게 국정쇄신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런데 그 내용이 실로 간덩이가 부었다. 가정제의 연호인 가정을 빗대서 ''''백성들이 가정(家淨)합니다.' '''라고 쓴 것. 이 말인즉 '''정치를 하도 못하시니 백성들이 너무 가난해져서 집이 아주 깨끗합니다''' 하는 이야기였다. 이런 과격한 상소는 조선 중종 때 채수가 중종을 주전충에 빗대버린 설공찬전을 쓴 것이라든지, 남명 조식이 명종을 고아, 문정왕후를 뒷방 과부라고 신랄하게 까버린 단성소를 연상시킨다. 참고로 한국 속담에 '서 발 장대를 휘둘러도 거칠 게 없다.'는 말이 있는데, 집안에 가구고 항아리고 식량이고 전혀 없어서 부숴먹을 것도 없다는 뜻이다. 이 에피소드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당연히 가정제는 길길히 날뛰었고 본때를 보이기 위해서 이놈을 당장 잡아오라고 명령하였다. 그러자 옆의 신하들이 말하길 "이 해서란 인간은 강직하기로 유명한 인간이고 이 상소를 올리면서 해서 자신도 '''미리 을 짜두고''' 황제가 벌을 주길 기다리고 있다고 대답하자, 암군이었던 가정제도 악명은 남기기 싫어서 해서를 징벌하려던 생각을 포기했다고 한다. 어쨌든 가정제는 이 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듯하다. 이후 가정제가 궁녀들에게 이유 없이 짜증을 부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궁녀들은 "해서 때문에 난 화풀이를 우리들에게 한다."라고 수근거렸다는 일화가 있다.
나중에 가정제가 해서를 투옥하였지만 당시 재상이던 서계가 말린 탓에 처형이 늦어지다가 가정제가 죽어버렸다. 황제가 죽자 해서가 곧 풀려날 것임을 안 옥리들이 이를 축하해주려 해서에게 식사를 대접했는데, 이를 모르는 해서는 사형 집행을 위로하는 마지막 만찬이라고 생각하고 맛있게 먹었다. 그러다 황제의 죽음을 안 해서는 울면서 먹었던 것을 모두 토하고 황제를 애도했다고 한다. 대인배. 결국 가정제의 뒤를 이은 융경제가 석방하여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응천순무가 되어 강남지역에서 '''일조편법'''(一條鞭法 중국사/세금 제도 항목 참조)을 시행했으며 지역의 신사(지주)가 빼앗은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게 했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 토지의 주인이 해서를 구하려 노력한 재상 서계였다. 당시 서계는 재상을 그만두고 낙향해서 남의 땅을 빼앗았다가 이런 일을 당한 것. 해서는 사사롭게는 서계가 목숨을 구해준 은혜가 있지만, 공사는 철저하게 구분해야 한다라는 입장에 따라서 서계가 빼앗은 모든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었다. 강직한 해서의 성품을 알 수 있는 대목. 그러나 농민에게서 토지를 빼앗은 지주는 서계뿐만이 아니었고 오랜 기간에 걸쳐 벌어진 일이었기 때문에 증거나 대상자가 불분명했다. 또한 빼앗긴 농민들이 법을 알기는커녕 문맹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해서가 계획한 토지반환제도는 전반적으로는 사회혼란을 초래할 뿐 실패했다. 해서는 이 때문에 탄핵 당했다.
결국 강직한 성격 탓에 해서는 관직생활을 그만두고 고향 하이난으로 돌아갔다가, 이후 다시 부름을 받고 남경이부우시랑을 맡았다가 1587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많은 사람들이 슬퍼하였다. 평생을 워낙 청빈하게 살았기에 어머니의 환갑잔치에 고기반찬이 나온 일이 조정의 화제거리가 될 정도였고, 강직해서 재산을 모으지 않았기에 죽었을 때 장례식을 치를 돈이 부족하여 조문객들의 도움으로 치렀을 정도였다.

3. 사후


이런 해서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후대에 쓰여진 희곡이 바로 베이징 부시장 우한의 <해서파관>. 하지만 마오쩌둥이 베이징 시장 펑전 숙청을 위해 장칭야오원위안을 시켜서, 해서파관이 해서를 펑더화이에 비유하고 마오쩌둥을 가정제에 비유하여 대약진 운동을 비판한 것이라고 고발하게 하면서 해서파관 사건이 일어나고, 이를 시작으로 문화대혁명이 시작된다. [1]
마오쩌둥 모욕에 연루된 해서도 죽은 지 수백 년이 지나 억울한 꼴을 당했다. 홍위병들이 몰려와 그의 무덤을 파괴했고 유골은 유실되었다. 1966년의 무덤 뽀개기 광풍으로 외국인 묘 2만 5천 기 이상, 산동성 곡부의 공자와 그 후손들이 묻힌 공림 등이 숱하게 파괴되었는데 해서 역시 희생양이 된 것.

4. 창작물


2007년에 해서를 다룬 드라마 <대명왕조 1566>이 방영된 바 있다. 당시 중국 정부의 부정부패 일소 이미지를 널리 알리기 위한 의지가 담겼다고는 해도, 과거 '해서파관' 연극으로 인해 문화대혁명까지 일어났던 걸 생각해 보면....
명대의 백성들에게는 충신이자 청백리로 널리 알려진 명신으로 대만의 드라마 <괴협 일지매>에서는 조정의 간신배들이 해서를 늘 죽이고 모함하려 들지만 일지매가 이를 구해준다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5. 여담


후세에 창작된 듯한 '해서살녀'라는 일화가 있다. 해서의 딸이 남자종복에게 고병(예물로도 쓰이는 떡의 일종)을 받아먹었는데, 해서가 이를 보고 노해서 "여자가 어찌 함부로 남자의 고병을 받는가? 내 딸이 아니로다. 만약 굶어죽을 수 있다면 그제서야 내 딸이다!" 하고 미친 소리를 지껄이자 딸이 그날로부터 울면서 먹기를 거부하다 7일째 되는 날에 죽었다는 이야기다. 참고로 당시 딸의 나이는 다섯 살... 날조를 해도 꼭 이런 변태 같은 고사를 날조해낸 정신상태가...

[1] 가정제는 악명을 남기는 것도 싫고 해서를 변호하는 신하들의 말을 들을 줄이라도 알았지 마오는 그런 것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