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데이비드 소로

 

1. 개요
2. 생태주의
3. 명언
4. 작품
5. 매체에서의 등장

이름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생몰년도
1817년 7월 12일 ~ 1862년 5월 6일

1. 개요


미국의 유명 작가이자 사상가. 생태주의자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유명한 작품으로는 '''월든'''이 있다.
훗날 그의 사상은 우리나라의 법정스님과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 인도의 국부 마하트마 간디[1], 미국의 마틴 루터 킹목사, 넬슨 만델라 남아공 대통령을 비롯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매사추세츠 주의 콩코드에서 태어났으며,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했다. 미국-멕시코 전쟁에 반대해 인두세 납부를 하지 않았다가 감옥에 투옥된 적이 있다.

2. 생태주의



자연과 사회 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았으며, 강연을 하기도 했다.
당시 산업혁명 직후 아메리카 드림등 노동과 성공에만 관심을 쏟던 세태와 달리 직접 숲에서 집을 만들고 혼자서 자립해서 살았다. 당연히 당시 사람들에겐 외면을 받았지만, 20세기 후반에 와서 계속된 노동과 반복을 비판한 <월든>이 비로소 빛을 보기 시작했다.
실천적 초월주의자인 소로는 미국적 삶의 주류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실험적 삶을 산 사람이었다. 하지만, 당대 생활양식의 비판 근거를 미국적 이념에서 찾았기에 그는 미국적 특성이 강한 작가라고도 여겨진다. 산업화와 근대화에 사로잡힌 근대적인 삶의 양식을 거부하고 비판한 그는 내면의 풍요로움, 검소한 삶, 자급자족의 삶을 강조하였다. 이외에도, 그는 자연친화적인 삶을 중시하고 전쟁과 노예제도를 비롯한 물질문명과 인간의 이기와 탐욕을 싫어하고 반대하며 옳지 못한 정부와 사회에 대해선 합법적이면서도 간접, 소극적으로라도 반대, 저항하고 맞설 것을 주장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을 주장한 생태주의자였다.
그렇긴 한데, 1844년 4월경 피시 차우더 수프를 만들던 중 콩코드의 숲 300 에이커(약 1,200,000m2)를 태워먹은 적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는데, 소로의 자연 속 거주지는 그의 후견인인 랄프 왈도 에머슨의 사유지였다. 소로는 에머슨의 호의로 임대료를 내지 않고 해당 부지를 무료로 이용한 것이다. 에머슨은 미국 내 이름난 강연자로 이름이 높았으며, 사교계의 스타였고, 물려받은 엄청난 재산 덕분에 처음부터 부유한 생활을 누렸다. 이후 재산이 줄어들자 그는 각종 강연회를 통해 거액의 재산을 다시 회복하기도 한다.
그가 소로에게 특혜를 준 것은 문학에 대한 자신의 열정 때문이었다. 에머슨은 본인, 마가렛 풀러, 소로, 브론슨 올코트, 윌리암 엘러리 챠닝 등과 함께 소위 초월주의자 모임을 만들어, 동양적이고 이상적인 문학 작품을 다수 발간한 바 있다(성공하지는 못했다). 이런 배경에서 에머슨은 소로에게도 자연인용 부지를 빌려주고 그에게 문학적 기대를 품은 것이다. 이후 에머슨과 소로는 관계가 틀어지고 (소로는 후견인인 에머슨에 대해 악담을 한 바 있다) 소로는 점점 기인처럼 변해갔으며, 소로 역시도 생전에는 문학적 명성을 얻지 못하였다. 소로가 겨울철 나무의 나이테 개수를 세던 중 폐렴에 걸려 죽을 때가 되어서야 둘은 극적으로 화해한다. 다시 말해, 소로의 자연 친화적인 삶조차도 에머슨이 재력과 사유지로 그를 지원해 주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실제 소로는 오랜 기간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최소한의 생활비만으로 살아가야 했기에, 단독이었다면 월든에서의 자급자족이 어려웠을 것이다. 시민 불복종과 관련해서도, 인두세를 미납해 투옥된 소로는 이모가 미납된 세액을 대납한 후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소로우가 당시 인정받지 못한 이유 중에는 이런 점도 한 몫 했다. 물론 그의 기본적인 사상 - 즉 세속적 성공에 매몰되는 삶을 경고한 점은 높이 살만 하다.

3. 명언


새로운 옷을 요구하는 산업을 조심해라. (I say, beware of all enterprises that require new clothes.)

잔물결 소리에 귀 기울이는 사람은 무슨 일이 있어도 절망하지 않으리. (He who hears the rippling of rivers in these degenerate days will not utterly despair.)[2]


4. 작품


  • 콩코드 강과 메리맥 강에서의 일주일 (1849)[3]
  • 시민 불복종 (1849)
  • 월든 (1854)
국내 출간된 번역본에선 이름이 헨리 데이빗 소로우로 되어 있다.

5. 매체에서의 등장


  • 폴아웃 4 - 시대가 2270년도이다 보니 당연히 직접 등장하진 않지만 배경이 콩코드라서 작중에서 소로가 살았던 오두막이 등장한다.[4] 핵폭탄이 떨어졌음에도 오두막은 살아남았다. 오두막 근처 스피커로 소로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들을 수도 있으니, 관심있다면 듣는 것도 좋다. 다만 전쟁 전에 이미 그의 오두막은 기념품 상점으로 변했었고, 호수는 물이 상당히 마른데다 쓰레기도 많이 있으며 지하 땅굴에는 작중의 도적패인 레이더도 살고 있다.[5] 동료 중 하나인 코즈워스는 '핵전쟁이 지나고 나서야 우리가 소박한 삶을 되찾게 되리란걸 소로는 생각조차 못했을 것 이다.'라고 씁쓸한 한마디를 한다. 그 외의 동료들도 한마디 씩은 하는데, 퀴리(폴아웃 4)파이퍼 라이트[6], 닉 발렌타인 등 선 성향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말을 하지만 악 성향은 비꼬거나 비웃는 말을 한다. 가장 백미는 팔라딘 댄스의 '나 이 작가 알어. 숲속으로 살아남기인가 하는 책 쓴 사람 아냐?'(...)

[1] 간디는 소로가 자신의 철학과 인도 독립운동에 커다란 영감을 주었다고 밝힌 바 있다. (Robert D. Richardson, Jr., ''Henry Thoreau: A Life of Mind''(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pp. 316~17)[2] 월든의 대사. 평론가 이동진이 영화 문라이트의 평에서 인용하기도 했다.[3] 주변인의 권유로 소로가 처음 낸 책인데 말그대로 폭망해버려 소로가 남은 책을 다 사야만 했다. 구체적으로는 발간한 1천부 중 약 300부만 판매되고, 나머지 대부분을 소로가 전부 구매하여 자택에 쌓아두어야 했다. 소로는 이 점을 자조섞인 유머와 함께 이야기 한 적도 있다.[4] 정확히는 소로가 살던 오두막의 복제품이다. 소로가 월든을 떠난 직후에 오두막은 철거가 되고 집터만 남아있으며, 현재는 월든 호수 주차장에 소로의 동상과 함께 그의 오두막을 재현해두었다.[5] 레이더 중 한명이 소로의 책을 읽고 초월주의를 언급 했는데, 일반적으로 책과는 담을 쌓고 사는 일자무식인 레이더 치곤 의외로 유식한듯 하다.[6] 동료 대사에서 시민의 불복종을 언급하는데, 그녀의 행보를 볼때 소로의 시민 불복종 운동이 연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