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치상

 

洪致祥, ?~1689
숙안공주와 홍득기의 외아들로, 본관은 남양 홍씨 당홍계다. 숙종에겐 고종사촌이 되는데,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이모부이기도 하다.
선왕의 누나이자 현왕의 고모어머니의 뒷배를 믿고 여러가지 악행을 저질렀다.[1]
처조카인 영빈 김씨와 함께 장희빈의 모친에 대한 추문을 지어내고 자의대비에게 편지로 정치에 대해 조롱하거나 왕의 동정과 궁중 기밀 등을 유포한 죄목으로 사형당했다. 이때 숙명공주의 아들, 즉 홍치상의 이종사촌이자 동서인 심정보에게 죄를 덮어쓰웠는데 결국 심정보도 연루되어 폐서인되었다.
장희빈이 몰락한 후 숙종이 자신의 고모의 아들이라는 점 때문에 특별히 복관시켜줬는데, 훗날 홍치상의 아들 홍태유는 자신의 사촌이자 숙종의 후궁인 영빈 김씨와 함께 홍치상이 무고하다고 세상에 밝혀달라고 요청을 했으나 이는 긁어 부스럼만 만드는 격이었다. 숙종은 '홍치상의 죄는 만 번 통분할 일이지만 늙은 공주(숙안공주)가 하나 남은 아들을 잃은 것이 가엾어 특별히 복관해 준 것인데 그 아들이 감히 멋대로 격고하여 신설할 계획을 하려 한다.'며 홍치상의 복관을 환수해 도로 서인으로 강등해버렸다. 또한 1710년에도 홍치상과 이사명은 영구히 복관치 말라고 재차 명을 내렸으며, 후에 명을 회수하여 이사명은 특별히 복관해주면서도 홍치상은 복관치 않았을 만큼 홍치상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이는 홍치상과 공범이었던 영빈 김씨에 대한 숙종의 감정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후 영조는 홍치상을 복관해주었지만, 정조는 홍치상의 사례를 왕실 내척의 폐단의 대표적인 예로 삼기도 했다.

[1] 그의 어머니 숙안공주이모숙정공주 역시 마찬가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