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국신민서사

 

1. 개요
2. 전문[1]


1. 개요


[image][2]
[image]
△ 황국신민서사를 암송하는 학생들.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도 자주 등장하는 사진이다.
皇国臣民ノ誓詞
1937년 일제가 조선인들에게 암송을 강요한 맹세문. 참고로 다른 식민지인 대만이나 중국 본토, 동남아에는 쓰이지 않았다.
서사(誓詞)란 맹세문이라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보통 신이나 높으신 분들의 이름을 걸고 맹세할 때 쓰는 단어이다. 국기에 대한 맹세와 느낌이 비슷하다. 서사(誓詞)라는 단어가 한국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 단어이기 때문에 황국신민의 맹세라고도 한다. 드라마 야인시대 34회 에서 이부분이 언급되었으며[3]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빠스껫 볼에서도 일반 조선인들은 황국신민의 맹세라고 말했다.
1937년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미나미 지로는 소위 내선일체라는 것을 주창하며 조선인들도 황국신민이므로 황국신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 이를 널리 조선인들에게 세뇌시키기 위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황국신민으로서 지켜야할 서약을 만들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학무국 촉탁으로 있던 이각종이 문안을 작성하고 김대우가 실무를 담당해 문안을 완성한 후, 1937년 10월 2일 미나미 지로에게 올려 총독 재가를 받아 공식적으로 집행되었다. 이처럼 친일파들이 만들었기에 수능이나 평가원 문제 선택지에서는 '일제가 암송을 강요했다'고 하지 '일제가 '''만들어''' 암송을 강요했다'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
사실상 일제강점기 말기에 어딜 가든 외우게 했던 것으로 황국신민으로서의 충성을 맹세하는 집회는 물론 어린 학생들에게도 외우게 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출판물 서장에 수록하게 했다.
1945년 해방이 되면서 당연히 없어졌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1949년에 이승만 정권은 현지판인 <우리의 맹서>를 만들었다. 1960년 4.19 혁명 이후로 없어졌다가 1961년 5.16 쿠데타로 박정희가 집권한 뒤 1968년 국민교육헌장이 만들어졌지만 1987년 민주화 후 폐지론이 불거지다가 2003년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북한은 1974년에 '''당의 유일적 령도체계확립의 10대 원칙'''을 만든 뒤에 현재 진행형이다.
이 서사의 일부가 등장하는 심영물도 있다.

2. 전문[5]


'''(ノ一'''[6]
첫번째
'''一、(ワタクシ(ドモ(ダイ(ニツ(ポン(テイ(コク(シン(ミンデアリマス。'''
하나, 우리들은 대일본제국의 신민입니다.
'''二、(ワタクシ(ドモ(コヽロ(アハセテ(テン(ワウ(ヘイ((チユウ((クシマス。'''
둘, 우리들은 마음을 모아 천황폐하께 충의를 다하겠습니다.
'''三、(ワタクシ(ドモ(ニン((タン(レンシテ(リツ((ツヨ(コク(ミントナリマス。'''
셋, 우리들은 인고단련하여 훌륭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

'''(ノ二'''[7]
두번째
'''一、(ワレ((クワウ(コク(シン(ミンナリ(チユウ(セイ(モツ(クン(コク(ホウゼン。'''
하나, 우리는 황국신민이니 충성으로써 군국에 보답하리라.
'''二、(ワレ((クワウ(コク(シン(ミン(タガヒ(シン(アイ(ケフ(リヨク(モツ(ダン(ケツ(カタクセン。'''
둘, 우리 황국신민은 서로 신애협력함으로써 단결을 굳게 하리라.
'''三、(ワレ((クワウ(コク(シン(ミン(ニン((タン(レン(チカラ(ヤシナ(モツ(クワウ(ドウ(セン(ヤウセン。'''
셋, 우리 황국신민은 인고단련 힘을 기름으로써 황도를 선양하리라.

[1] 당시 표준 자형인 구자체와 표준 표기법인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였다.[2] 이 사진 속의 가나 표기에는 오류가 있는데, 당시 ‘皇國’, ‘忠義’의 올바른 가나 표기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라 각각 ‘クワウコク’, ‘チユウギ’가 된다. '''당시 제도권 초등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헷갈렸을 법한 부분'''을 틀렸다는 점에서 일본에서 제작된 것이 아님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3] 이 회차에서 교도관과 죄수들이 본문을 낭독하는 장면이 언급되었고 작중 김두한이 이를 거부하다 교도관들에게 얻어맞고 면회를 금지당하는 장면이 나오며, 나레이션도 이부분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4] 당연하지만 황국신민으로서의 '''의무'''는 주장하면서 '''권리'''는 주장하지도 주지도 않았다.[5] 당시 표준 자형인 구자체와 표준 표기법인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였다.[6] 아동의 황국신민서사.[7] 성인의 황국신민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