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청동거울

 

[image]
사진 출처 :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청동거울
1. 개요
2. 내용


1. 개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한 황남대총의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청동거울.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image]
황남대총 남분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청동거울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황남대총 조문박국경이라고도 불리며, 청동으로 조형을 뜬 거울에 각종 동물과 글자 형상 무늬를 새겨놓은 것이다. 당시 황남대총 북분에서는 쇠거울이, 남분에서는 청동거울이 발견되었다.
[image]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거울이 사용된 시기는 청동기 시대였다. 당시 한국의 청동기인들은 온 대지를 밝게 비추는 태양을 숭배하고 있었는데 거울에 반사되어 눈부시게 빛나는 태양빛을 신비롭게 여겼고, 그 빛에는 하늘의 메시지가 담겨 있으며, 지상에 사는 이들의 소망도 실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후 4세기 경 신라 국왕의 정치적 위상이 매우 높아지자 이에 신라의 왕들은 과거 청동기인들처럼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조상이 하늘에서 내려왔음을 강조하였고, 중국 왕조와는 별개로 정기적으로 우리나라만의 하늘과 조상에게 따로 제사를 지내며 한반도만의 독자적인 제례 문화를 완성한다. 이때 국왕이 제사를 주도하였는데, 청동거울은 고대 신라 왕실이 지닌 제의적 성격의 상징물이었다.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이 청동거울은 1,700여년 전 한국인들의 하늘과 땅을 이어주던 매개체 중 하나로, 당시의 관념적 사상 및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