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1. 일반적인 의미의 '하늘'
[image]
지평선이나 수평선 위로 보이는 무한대의 넓은 공간. 순우리말이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ㄹㅎ 받침으로 끝나는 단어였다.[1] 조선 말기 언중들은 동학의 예에서 보듯 '한-(큰)'과 '울'(울타리)의 합성어가 하늘의 어원이라고 추측한 듯하다. '울' 역시 옛 어형은 '욿'로 장소 접미사 ㅎ이 종성에 붙었다. 성균관대 교수는 하늘의 어원은 옛 왕을 뜻하는 단어인 한,칸(한자발음은 간)에서 왔다고 말한다. 몽골어에서 왕을 뜻하는 칸은 카안이라는 발음이며 투르크에서 왕을 뜻하는 한은 하ㅡㄴ으로 발음이 긴 것에서 부터 하늘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고 보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보는 하늘의 다양한 모습은 지구의 대기가 있기에 볼 수 있는 것이지만, 대기가 희박한 달이나 다른 행성에서도 땅이 있으면 그와 대비되는 공간을 하늘이라 할 수 있다.
창문 밖을 보거나 아무것도 없는 평지에서 고개를 위로 들면 보이는 것. 맑은 날에는 옅은 파란색[2] 이 쫙 깔려 있으며 가끔 하얀 얼룩(구름)이나 색 얼룩(먹구름)이 묻어 있다. 어쩔 때는 구름이 아예 없이 매우 쨍한 하늘색이 되기도 한다.
새벽녁이나 노을이 되면 빛이 다채로워진다. 볼 때마다, 혹은 사진마다 붉은색 + 파란색, 노란색 + 파란색 등 다양하게 나오는 편.
그 높고도 푸른 절경을 보고 있으면 한없이 마음이 평온해지며, 혼탁해진 가슴도 깨끗이 맑아진다. 다만 황사가 나거나 온통 구름으로 덮여 있으면 심히 우울해진다.
그럼에도 고대부터 인간은 하늘을 난다는 것을 갈망해왔고, 또한 거기에 도전했다. 슬프게도 신화상에서 좋게 끝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당장 성경의 바벨탑과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카루스 이야기를 읽어보자. 동양버전으로 선녀와 나무꾼의 나무꾼도 해당이 되겠다. 하늘에 대한 동경의 결과물로는 '''마천루'''가 있다. 특히 두바이에 지어놓은 높이 '''828m'''의 부르즈 할리파는... 이하생략
밤이 되면 까맣게 변하는데, 사람에 따라 엄청나게 짙은 보라색이라고도 생각된다.[3] 이때는 별이 보이기 때문에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맑은 곳에서라면 장관을 엿볼 수 있다.[4]
달의 경우 가끔 낮의 새파란 하늘 위에도 혼자 떠 있는 경우가 있다. # 야외에서 하늘을 보던 사람들이라면 가끔씩 한낮에 달이 떠있는것을 본 경험이 있을 수도 있다. 이 때는 달이 밤보다 좀 더 희미하게 보인다. 참고[5]
1.1. 기상학·지구과학적 의미
[image]
비, 눈, 우박, 햇빛의 출처.[6][7] 정확히 말하면 구름이 생겨나서 비, 눈, 우박 등의 날씨를 일으키는 곳은 하늘 중에서 대기권의 지상고도 10km까지인 대류권이고, 그 위로 지상고도 50km까지의 성층권에 들어가면(제트 비행기가 날아다니는 곳) 구름이 없다. 그 위로 다시 지상고도 80km까지가 중간권이고, 지상고도 100km대에 분포하는 전리층을 넘어가면 열권에 해당한다. 열권부터는 우주산업에서 인정하는 우주공간으로, 인공위성이 날아다니는 곳은 이 열권이다. 열권의 영역은 지상고도 1000km까지로 그 너머는 더 이상 지구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열권을 지구 영역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오로라가 열권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무한히 높은 하늘 운운하지만 그 하늘을 대류권으로 한정하면 그 높이는 10km이고, 대기권(전리층까지) 전체로 확장하더라도 그 높이는 100km이다. 마라톤 코스의 길이가 42.195km이니 마라톤 풀코스를 두 번 달리면 하늘 꼭대기까지(전리층까지) 달려간 셈이다. 인간이 수평에 비해 수직을 극복하기가 얼마나 힘든지에 대한 최고의 증거.
하늘의 색이 파란 이유는 대기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레일리 산란식에 의하면 산란광의 세기는 파장의 네제곱에 반비례하기때문에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통의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되어 푸른색의 하늘을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하늘은 머리 위에 따로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라 보는 사람의 눈높이 위로 펼쳐지는 대기권의 가시영역 전체를 말한다. 구덩이를 파고 땅으로 들어가서 눈높이가 땅겉보다 낮아진다 해도 그곳에 공기가 있는 한 보는 사람의 눈높이 위의 공기는 모두 하늘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기권 상층부까지 트여 있을 때만 이 정의가 해당하므로, 건물 안 방이나 동굴 천장에 가리면 높이가 건물 몇 층이더라도 하늘이라 할 수 없다.
바다가 푸른빛을 띠는 까닭도 일종의 산란. 물분자는 붉은색 계통의 빛에 공명하여 붉은빛에 가까운 빛일수록 잘 흡수한다. 따라서 붉은빛 계열에 속한 빛은 20m도 못 가서 모두 흡수된다. 이때 파란색 계열에 속한 빛은 거의 흡수가 되지 않고 주로 물 분자에 부딪쳐 산란된다. 그렇게 푸른빛이 산란되어 바다에서 퍼져 바다가 푸른빛을 띠게 되는 것.
대류권과 성층권이 찍힌 영상이며 하늘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1.2. 하늘을 주요 소재로 삼은 작품들
- 거꾸로 된 파테마
- 소라토로보
- 소라(게임)
- 아이젠 플뤼겔
- 하늘이시여
- 에어기어
- 테일 콘체르토
- 푸른 저편의 포리듬
- 하늘의 유실물
- AIR
- sola
-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 업(애니메이션)
1.3. 관련 문서
2. 색깔
3. 하늘이란 이름을 가진 인물/캐릭터
절대다수가 남자 이름으로 많이 쓰인 이름이기도 하다. 하늘이라고 하면 세계 공통으로 남성성에 대응된다. 이하늘과 같이 남성들도 충분히 사용하며 어색하지 않은 것을 볼 때, 기본적으로는 남성적인 어감으로 보인다. 바다가 문화권을 막론하고 전적으로 여성명사인것과는 대조적.
3.1. 실존 인물
- 하늘
- 하늘1호 - 자동차 유튜브 채널 섬즈자동차공방에 출연하는 인물
- 강하늘 - 뮤지컬 출신 배우.
- 권하늘 - 여자 축구선수.
- 김하늘
- 남하늘 - 축구선수.
- 빈하늘 - 아이돌학교 출연자.
- 신하늘 - 前 프로게이머.
- 이하늘 - 가수 DJ DOC의 리더.
- 정하늘 - 스트리머 하느르
- 최하늘 - 걸그룹 세러데이의 멤버.
3.2. 가상의 인물
- 하늘
- 이하늘 - 골판지 전기 W의 등장인물 오오조라 히로의 한국판 이름.
- 강하늘 - 심연의 하늘의 등장인물.
- 강하늘 - 우주해적 미토의 대모험의 등장인물 미츠쿠니 아오이의 한국판 이름.
- 박하늘 - Yes! 프리큐어 5&Yes! 프리큐어 5 GoGo!의 등장인물 아키모토 코마치의 한국판 이름.
- 박하늘 - 외모지상주의의 등장인물.
- 박하늘 - 여중생A의 등장인물.
- 정하늘 - 아내의 유혹의 등장인물.
- 조하늘 - 동물전대 쥬오우저의 주인공 카자키리 야마토의 한국판 이름.
- 진하늘 - 러브슬립의 등장인물.
- 진하늘 - Go! Go! 다섯 쌍둥이의 등장인물.모리노 카부토의 한국판 이름.
- 최하늘 - 유희왕 ARC-V의 등장인물 시운인 소라의 한국판 이름.
- 한하늘 - 실례지만 잠시 지구 좀 멸망시키겠습니다의 등장인물.
- 아마노 소라오의 한국명 - 우주에서 온 모자코의 주인공
4. 철학·종교의 '하늘'
天 / heaven
하늘을 가리키는 한자는 크게 天과 空 두 가지가 있는데, 天은 '하늘나라', '신들이 사는 세계' 같은 개념적인 존재로서의 하늘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실 천(天)은 그 자체로 신을 뜻하는 말이었다. 본래 상나라에서는 최고신이 제(帝)였는데, 훗날 주나라가 상나라를 밀어버리자 주나라의 신이던 천(天)이 제(帝)를 밀어버린 것이다. 이때의 천은 하느님, 야훼와 개념이 비슷하여, 단순한 신을 넘어서 '초월자'의 개념까지 가지고 있다. 그후 '''지나치게 앞서가는''' 경향이 있던 춘추전국시대때쯤에 종교적 의미는 저 정도로만 남고 이신론적인 '세상의 이치'와 유사한 개념의 의미가 더해졌으며 유교에서 사용하는 의미는 이쪽이다.[8] 즉 '세상의 이치와 법칙으로서의 하늘'인 이법천(理法天) 개념이 정립되었다. 다만 이전의 신적인 개념의 영향으로 "하늘"이 자아를 가진 개체인 것처럼 표현하는 관용어구들이 많다.
空은 '비어있다'는 뜻으로서 딱딱한 물질이 없는(텅 빈 것 같은) 하늘의 성격을 표현한 말이다. '공중'은 빈 곳의 어느 가운데란 뜻이고, '공간'은 빈 곳의 사이라는 뜻이다. 영어의 에어(air)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한편 한국에선 조선후기때 성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실학에서 제자백가 시절의 고전유학을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여기서 천의 개념이 재조명되었고 훗날 일부 실학자들이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원인이 되었다. 이들은 천주교가 유학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줄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를 보유론(補儒論)이라고 한다. 다만 당시에는 제사문제 때문에 박해의 원인이 되었다.
5. 시
정규화[9] 의 시.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오월시'다. 5.18 관련 문학작품 선집인 <5월문학총서>에 실려 있는 시이기도 하다. 시집 <지리산 수첩>(1989년)에서 발표되었다.
6. 아이돌 마스터의 곡
空(아이돌 마스터)
7. DOS용 그래픽 소프트웨어
하늘(그래픽 툴)
[1] 여기서 ㅎ 부분은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였다. '나라'나 '고을'도 좀더 오래된 어형에서는 '나랗', '고옳'로 나타난다.[2] 지평선에 가까울 수록 짙어진다.[3] 톰 클랜시의 소설 레인보우 식스에서는 이와같은 이유로 야간작전을 수행하던 저격수가 짙은 보랏빛 길리슈트를 입어 몸을 위장한다.[4] 물론 대기가 별로면 그딴 거 없다. 가끔 별빛으로 오인되는 움직이는 빛무리가 지나가기도 하는데, 높은 확률로 비행기의 빛이라고 한다.[5] 한낮에 달이 뜰 때는 보통 태양빛이 달의 모습을 다 가려버리지 않을 정도로 강하지 않을 때라고 한다. 사실 달은 낮에도 지구 주변을 돌고 있으나 낮의 하늘에선 햇빛에 가려져서 안 보일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낮의 파란 하늘은 달의 색을 희게 보이게 하고, 밤의 시커먼 하늘은 달의 색을 노랗게 보인다고 한다. #[6] 이상하게도 번개는 하늘에서 보이는데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번개 항목 참고.[7] 엄밀히 말하자면 번개가 치고 난 후의 섬광이 하늘에서 치는 것이 아니다. 일단 번개는 구름에서 치는게 맞기는 맞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중 80%는 구름에서 구름으로 치는거라고 한다.[8] 이를테면 맹자의 경우 토지의 신들이나 곡식의 신들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효과가 없으면 그 신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권력은 천으로 부터 나오며, 천의 의지는 민심을 통해서 반드시 드러난다고 보았다. 즉 맹자에게 있어서 '천'은 초월적인 최고신으로서 이해되었거나, 혹은 세상 그 자체의 이치로서 이해되었다.[9] 1949-2007. 1981년 창작과비평사의 13인 신작시집 <우리들의 그리움은>으로 등단했다.[10] 갯땅에서 일하는 마당쇠라는 뜻으로, '하와이'와 함께 전라도 사람을 비하하는 멸칭으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