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 3세

 



[image]
'''이름'''
후안 카를로스 테레사 실베리오 알폰소 데 보르본 이 바텐베르그
(Juan Carlos Teresa Silverio Alfonso de Borbón y Battenberg)
'''출생'''
1913년 6월 20일
스페인 왕국 [image] 산 일데폰소 라 그랑하 데 산 일데폰소 왕궁
'''사망'''
1993년 4월 1일 (79세)
스페인 왕국 [image] 팜플로나 나바라 대학 병원
'''장례식'''
1993년 4월 7일
스페인 왕국 마드리드 엘 에스코리알
'''배우자'''
보르본-도스 시실리아스의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 공주 (1935년 결혼)
'''자녀'''
필라르, 후안 카를로스 1세, 마르가리타, 알폰소
'''아버지'''
알폰소 13세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유제니
'''형제'''
알폰소, 하이메, 베아트리스, 페르난도, 마리아 크리스티나, 곤살로
스페인의 전 왕세자, 추존왕.
후안 3세는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의 3남이자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아버지다. 스페인 제2공화국스페인국(프랑코 정권) 때문에 실제 재위하진 못했다.
본래 후안은 왕위 계승권자가 아니었다. 그런데 큰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는 '''평민과''' 귀천상혼을 해서 왕위 계승권을 박탈당했고, 둘째형 세고비아 공작 하이메는 청각장애를 이유로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다.[1][2] 그래서 셋째 아들인 후안이 왕위 계승권자가 되었다. 후안은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프랑스 국경을 넘어 국민군 합류를 타진했지만 몰라 장군은 그대로 후안을 프랑스로 추방해버렸다.
1941년 알폰소 13세의 사망 이후 스페인의 왕위 요구자로서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사용했다. 바르셀로나 백작은 스페인 국왕이 갖는 작위 중 하나로, 그가 스페인 보르본 왕가의 수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3] 하지만 프랑코 정권은 상당기간 동안 보르본 왕가를 깔끔하게 무시했다. 후안은 히틀러에게 스페인에 압력을 넣어 왕정을 복고해달라고 요청하면서 대가로 스페인의 참전을 제시했지만 히틀러는 군주정에 대해 노골적인 혐오를 보이면서 무시했고 1942년 이후에 후안은 추축국에 대한 희망을 버리고 연합국 쪽에 줄을 댔다. 히틀러의 패망이 다가오면서 돈 후안은 프랑코는 추축국의 도움으로 권력에 올랐으니 히틀러와 같이 손잡고 망해야 한다면서 온건파 장군들의 궐기를 호소했지만 프랑코는 돈 후안의 도전을 분쇄했다. 이때부터 돈 후안은 온건파들과 좌파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입헌군주정, 지방자치, 자유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프랑코는 돈 후안이 거슬렸기 때문에 그에게 스페인에게 귀국할 권리를 대가로 협상을 제시했지만 돈 후안은 왕위 없는 귀국을 거부했다.
프랑코는 돈 후안의 거부를 무시하고 스페인의 군주정은 복고되지 못한다. 이후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의 지원 속에 포르투갈에 정착하여 스페인 정치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였다.
자유주의 성향을 갖고 있어서 프랑코 독재에 항의했고, 프랑코는 그런 바르셀로나 백작 후안을 경계하여 그의 아들 후안 카를로스 1세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하며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라고 압박했다. 그러나 후안은 프랑코의 압력을 거부하며 계속해서 왕위 계승권을 주장했다. 하지만 1975년 프랑코가 사망하고 아들 후안 카를로스 1세가 민주화 개혁에 나서는 것을 보고, 아들을 스페인의 국왕으로 인정하고 계승권 주장을 포기했다.
후안 3세라는 이름으로 엘 에스코리알의 왕실묘지에 안장되었다. 죽은 후 후안 3세로 추존됨으로써 그의 왕위 요구는 완전히 마무리된 셈이다.
[1] 하이메의 배우자는 프랑스 귀족인 에마누엘라 드 당피에르(1913~2012)이다. 엄밀히 말하면 귀천상혼이지만, 알폰소 13세는 하이메가 알폰소처럼 평민과 혼인하는 걸 원치 않아서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하이메의 결혼을 인정한 것이다.[2] 다만 프랑스 왕위, 즉, 카페 왕조의 수장이라는 자리는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카페 왕조의 수장인 루이 20세 (루이 드 부르봉/루이스 알폰소 데 보르본)는 하이메의 후손이다.[3] 유럽에는 유사사례가 많은데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요제프 2세도 팔켄슈타인 백작의 칭호로 루이 16세를 만난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