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두품
1. 개요
신라 골품제의 일종.
2. 지위
주로 신라에 편입된 옛 부족장, 촌장 계층 출신이 5두품에 들었을 거라고 추측된다. 윗 등급인 6두품 문서에도 비슷한 설명이 있지만 일반인 기준으로는 우습게 볼 만한 위치는 아니었던 게 5두품 역시 최고위 귀족계층에는 들지 못했다지만 한 지역을 아우르는 고위 인사가 포함된 계층으로 은수저~동수저 정도는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
신라의 17등급으로 나뉘는 관위에서 10등급인 대나마까지만 올라갈 수 있었다.[2] 그러나 삼국통일을 전후하여 중위제가 실시되면서 5두품도 7중대나마까지 진급할 수 있게 되었다. 중위제를 통해 진급할 수 있게 되어 5두품의 불만이 어느 정도는 누그러졌다.
삼국통일전쟁 후 멸망한 옛 백제계들의 경우 충상 같은 일부를 제외하면[3] 신라의 관등 체계에 편입되면서 받은 최고 관등이 5두품이었는데, 이는 역시 차별대우였지만 백제계가 자초한 측면도 분명히 있었음을 알아둬야, 제대로 된 상황인식이 될 것이다. 백제계의 경우 기존 지위를 모두 인정하려 하였으나, 이들 중 일부가 신라에서 주는 관위를 거부하는 초유의 행태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대한 신라 지배층의 반응은 사서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대단히 격분했을 것임은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신라의 초기 기준으로 6두품에 해당하는 고위귀족층(대성팔족)은 백제 멸망 직후 당나라로 압송되거나 백제의 동맹이던 일본으로 도피하거나 전란 중에 사망하거나 했겠지만, 다수는 도망가지 못했다고 봐야 한다. 이후 기록을 보면 신라에서 백제의 살아남은 최고위귀족에 대한 기준을 다시 설정하는 게 나오는데, 이 단계에선 백제왕실이 주도하는 부흥운동 따위는 꿈에서나 가능해졌고, 시도했다간 보덕국이 그랬듯 백제인들로 주로 구성된 청금서당, 백금서당 등에게 참혹한 진압을 받을게 뻔했기에 관위를 거부한다등 행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미 당해본 바 있는(?) 신라는 이 기준을 5두품으로 낮추었고, 이로써 통일신라에서 백제계 성씨를 대놓고 쓸 수 있는 사람들은 대단히 적어졌다고 본다. 백제의 고위 귀족인 좌평 신분으로 신라에 투항한 충상은 6두품 아찬 대우를 받은 건 그나마 매우 용하게 받은 경우. 신라 문무왕은 673년 백제계에게도 기존 백제에서의 지위와 벼슬에 견주어 그에 상응하는 신라의 벼슬과 관등을 내렸지만 최고위단계는 분명히 5두품이었다. 물론 이러한 차별이 백제유민들에겐 더 아프게 다가왔겠지만, 신라도 분명히 할 말은 있었다. 신라 입장에선 초반에 신라가 사정이 어려울 때 반감을 억누르고 회유하고자 했을 때 비협조적이었고, 나당 전쟁 때도 고구려 유민들보다 공헌이 적은 것도 사실이었으니, 이 정도도 꽤 후하게 대접한 것이라 생각했을 개연성은 분명하다.
고구려계가 진골[4] 이나 6두품으로 편입된 것은 차별이 아니라 안승이 원래 왕족이었고, 6두품을 받은 고연무는 고씨 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태생부터 6두품에 준하는 고위 귀족이었고 나당전쟁에서 큰 공을 세우기도 했다.
한편 진골의 일종이라고 알려진 밀양 박씨 세력은 성덕대왕신종에 따르면 가장 높은 관등이 대나마로 나와서, 중대에 들어서는 이미 5두품으로 강등당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물론 후대에 신덕왕이 박씨 국왕으로서 즉위한다는 점을 미루어보면 이는 일시적인 것으로 박씨는 기본적으로 진골로 취급된 것이 맞아보인다. 다만, 태종무열왕의 직계라든지 김씨 왕족들 중에도 6두품으로 족강된 사례가 존재함을 생각하면 모든 박씨가 진골대우를 받은게 아니라 김씨 왕족들과 혼맥을 형성하면서 왕의 친족지위를 유지했던 박씨들만 진골 신분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1] 진골은 금수저, 6두품은 은수저 상위, 4두품은 동수저~철수저 정도. 평민은 오늘날로 치면 나무수저, 흙수저, 똥수저로 볼 수 있다.[2] 4두품은 대사, 6두품은 아찬 까지만 올라갈수 있었다.[3] 드물게 백제의 최고위직인 좌평 신분으로 신라에 투항한 충상은 6두품 아찬 대우를 받았다.[4] 대표적으로 통일신라에서 진골 품계를 수여한 인물로 안승과 대조영 등이 있다. 다만 진골 대우는 이용가치가 떨어지자 곧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