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골

 


1. 개요
2. 상세
3. 나무위키에 등재된 진골 출신 인물


1. 개요


'''진골'''()은 신라의 계급체계 골품제에서 성골의 바로 아래 계층이다.

2. 상세


처음엔 왕위계승권은 없는 고위 귀족층으로 추측되나 신라 중기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성골의 대가 끊기자 진골 출신인 상대등 소알천이 김춘추에게 실권을 넘겨주고 김춘추가 태종무열왕으로 즉위하면서 이후 왕위계승권까지 가진 통일신라시대 최고위 귀족층으로 군림한다.
진골을 왕족으로 분류하기도 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더 폭넓은 계층이었다. 진골은 왕족 외에도 중고(中古)시대의 왕비족에 해당하는 유력 가문, 신라에 병합된 큰 국가의 왕족들에게 주어졌다. 가야 왕족 후손인 김유신의 집안 김해 김씨도 진골이었다. 이처럼 왕성 이외의 다른 성씨들도 진골에 포함되어 있었다.
왕성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진골인 것은 아니다. 김씨(경주 김씨)나 박씨 중에서도 6두품인 경우가 있었다. 진골 집안 후손이라고 하더라도 왕실과 혈연적으로 멀어지면 족강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신라 하대로 가면 왕성이라 하더라도 진골보다 6두품인 경우가 훨씬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해 김씨의 경우에도 6두품이 많았다. 이처럼 같은 성씨 안에서도 진골, 6두품 등 계층이 갈렸고 진골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귀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막장 상황이었던 9세기 신라 하대에는 대를 이어가며 계속된 끝에 진골의 숫자가 너무 늘어나, 특권이 왕의 근친에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진골끼리의 동질감이 떨어지고 분화, 결국 서로간에 왕위를 두고 열심히 싸우게 된다.
대부분의 진골은 신라 초창기부터 귀족이었던 자들이 대물림하면서 내려오는 지위였지만 외부 출신으로 신라에서 최상급인 진골을 받은 것은 기록에 남은 것으로는 3가지 경우가 있었다. 첫 번째로 항복한 금관가야의 왕실이 진골에 편입되었는데, 이것이 이후 김유신의 가문이다. 그리고 고구려 부흥운동을 벌이던 안승보덕국왕의 직책을 받으면서 진골이 된다. 마지막으로 대조영발해를 건국한 이후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는데, 이 때 신라가 사여한 벼슬이 대아찬으로써 진골의 품계이니 대조영을 진골로 인정한 경우가 된다. 다만 마지막은 명목상으로 그렇다는 것이고, 안승의 아들들은 보덕국왕의 직위가 폐지된 이후에 반란 일으켰다가 아작났다고 추측된다. 금관가야 왕족의 경우에도 굴러들어온 돌이라 문명왕후를 배출하는 태종 무열왕 등극 이전까지는 비주류로 취급을 받았다.
현대의 대한민국에서도 이 표현이 비유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그 예가 롯데 자이언츠에서의 부산고등학교 야구부.

3. 나무위키에 등재된 진골 출신 인물


  • 태종무열왕과 그 이후에 즉위한 신라 왕. 신라/왕사 항목 참조.
  • 구형왕
  • 궁예(신라 왕족 출신설이 사실일 경우[1])
  • 김대문
  • 김양
  • 김원술
  • 김유신
  • 김인문
  • 김주원
  • 김헌창
  • 비담
  • 소알천
  • 의상

[1] 이에 관한 설은 해당 문서를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