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5 Episode 2
원본
비하인드 1
비하인드 2
ERB 위키
'''고든 램지''' VS '''줄리아 차일드'''
요리 쇼 호스트 셰프들의 랩 배틀이자 아담 vs 이브 이후 두번째 혼성대결이다.
각자의 주방에서 서로의 요리 실력을 뽐내며 진행하는 게 포인트며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재료들이 제각기 요리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고든 램지는 말할 것도 없는 유명한 영국의 탑셰프로 미슐랭 3성의 빛나는 스타 셰프이다. 줄리아 차일드는 60~70년대 미국에 프랑스 요리를 소개한 유명한 요리 쇼 호스트이다. 미국인들에겐 추억 속의 친근한 이미지로 남아있는 요리사 중 한 명이다. 한국으로 치자면 백종원 VS 이혜정[1] 정도로 볼 수 있다.
스코틀랜드 악센트에 이어 고든 램지 특유의 영국식 영어 악센트를 흉내내려고 노력하는 로이드를 볼 수 있다.[2] 줄리아 차일드를 맡은 유튜버는 맘리 하트로 요리 유튜브를 운영하는 듯 하다.
고든 램지가 이걸 봤는지 공식 트위터 계정에 "Great stuff"(굉장하군) 와 "It's hilarious"(아주 재밌어)라고 트윗했다. 고든 램지 계정 ERB 계정
그리고 고든 램지 공식 유튜브 계정이 유튜브에 댓글을 남겼다. "Even with that questionable English accent, it's pretty clear who won...(미심쩍은 영국식 영어 악센트지만 누가 이겼는진 확실하군...)" 캡쳐
1. 가사
[1] 백종원은 수석요리사가 아닌 요리연구가이지만 국내 최정상의 인지도를 가진 요리사이며, 골목식당등 식당 운영과 관련된 예능을 찍었다는 점은 고든 램지와 유사하며 이혜정은 친근한 이미지의 요리사이며, 요리 쇼 호스트로 나온 적이 많은데다 줄리아 차일드의 "Bon Appétit!(맛있게 드세요)" 처럼 "얼마나 맛있게요~" 라는 자신만의 유행어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2] 참고로 고든 램지도 스코틀랜드 출신이다. 이후 에픽로이드는 시즌 5의 또다른 스코틀랜드인인 숀 코너리를 연기하게 된다.[3] 고든 램지의 유명한 구절인 and that's how you make perfect~ 로 시작한다. 카메라에 대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랩을 시작하기 전까지 방송을 찍고 있던 설정인것 같다. 이후 스케줄을 확인하고 화장도 받고 그린 스크린도 깔고 랩을 시작한다.[4] 리조또는 고든 램지를 상징하는 요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5] Grown-up table은 행사같은 곳에서 아이들이 앉는 곳과는 따로 설치되어 있는 어른들이 앉는 테이블이다. 줄리아 차일드의 성이 Child 인것을 이용했다.[6] 고든 램지의 랩 첫 파트가 끝나고 정확히 2분 후에 랩이 끝난다.[7] in the weed는 요리 업계에서 자신의 요리 업무에 실패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 pitch the show는 tv회사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긍정적으로 검토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보내는 것이다. 자신은 tv프로그램들을 내느라 바빠 정신이 없어 차일드를 상대할 시간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동시에 영상에서는 램지가 진행하는 다양한 쇼들이 나온다.[8] 이 대사에서의 파일럿은 중의적 의미를 가지는데, 오븐의 파일럿 라이트를 의미하는 동시에 프로그램이 방송을 시작했음을 의미한다.[9] 노련한, 단련된 기술이 있는 요리사라고 얘기하는셈이다.[10] 팸 스프레이는 맛을 내기 위해 뿌리는 쿠킹 스프레이로, 간편히 요리를 할때 쓰이는 것이다. 실제로 차일드는 시청자들에 조리법을 간단하게 전달하기 위해 팸 스프레이를 자주 썼다.[11] 차일드의 뚱뚱한 체형을 미쉐린 타이어의 마스코트인 마시멜로 맨에 빗댄것이다. 또한 미쉐린 타이어가 미슐랭 가이드를 통해 세계의 질 좋은 레스토랑에 점수를 매기는 것이 바로 미슐랭 스타다.[12] roll in dough는 roll in wealth와 같은 뜻으로, 매우 부유하다는 뜻이다. 또 고든 램지의 간판 요리 중 하나인 비프 웰링턴은 고기를 도우에 말은 고기로 roll in dough의 문자 그대로의 뜻의 비유 표현으로 쓰였다. 그리고 소리를 지르는건 램지의 방송 스타일을 의미한다.[13] 젖당을 소화 못하는 lactose intolerance를 구린 라임을 참지 못한다는 wack flows intolerant으로 바꿨다.[14] 차일드는 몇몇 요리에서는 대량의 버터를 넣기로 유명했다. 그 요리들 중에는 비프 부르기뇽도 포함되어 있었다.[15] rock hard는 뭔가를 엄청나게 잘한다는 뜻이고 rock hard의 다른 뜻인 단단하다때문에 콘크리트가 나왔다.[16] pommes frites 는 문자 그대로 보자면 '튀긴 감자(fried potatoes)'로 감자 튀김의 프랑스 발음이다.[17] 줄리아 차일드는 2차 세계대전때 미국 전략정보부 소속으로 근무했다. 라드는 동물성 지방으로 차일드는 자신이 라드를 자신의 요리에 쓸때부터 그녀는 그것을 완벽하게 자를 수 있다고 믿었다.[18] 이 부분에서 차일드는 라드 덩어리에서 한 조각을 잘라낸 뒤 그 한 조각이 아니라 나머지 덩어리 전체를 요리에 넣어 버린다.[19] 실제로 차일드는 2차대전 중 OSS에서 비서로 일하며 상어 퇴치제를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20] charcuterie는 차일드가 잘하던 편육등을 이용한 요리 기법이다.[21] B-boy stance는 고든 램지가 주로 하는 포즈인 팔짱을 끼고 있는 자세이다.[22] F-word는 램지의 상징인 욕설(fuck을 돌려 말하는)을 의미한다. "The F-Word"라는 쇼가 따로 나올 정도로 램지의 걸죽한 입담은 매우 유명하다. 차일드는 고급 요리를 위한 F-word는 Fuck이 아닌 French로 충분하다고 하는 것이다.[23] 램지와 그의 가족들은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학대를 당했다고 한다.[24] voilà는 프랑스어로 here you go로 보면 된다.[25] douche는 공격적이고, 모욕적이며, 무례한 사람을 일컫어 비하하는 단어다.[26] Huge는 거대하다는 뜻도 있지만 크게 성공하다 라는 뜻도 있는데, 단순히 엄청난 병신이라고 욕을 하는 것인지, 어린시절에 학대 당하긴 했지만 자수성가에 성공한 병신이라고 칭찬겸 욕을 하는 것인지는 미지수.[27] pansy에는 동성애자의 의미도 가지고 있지만 램지는 게이가 아니다.[28] 짤주머니는 빵집 등지에서 크림이나 프로스팅 등을 짤 때 쓰는 주머니다.[29] 둘의 요리 스타일은 정반대이다. 차일드가 웃고 밝은 모습으로 요리하는 반면 램지는 꾸짖고 비난하며 요리한다.[30] 고든 램지의 상징과도 같은 욕인 멍청이(Donkey)는 당나귀를 뜻하기도 한다. 슈렉의 등장인물인 동키와 빗댔다. 공교롭게도 이번 대결이 업로드 된 날짜는 첫 슈렉 영화가 미국 개봉한 날짜와 일치한다.#[31] 램지는 Ironman Triathlons, 철인 3종 경기에 참가했었다.[32] "open up(a can of whoop(whup)-ass) on someone"은 "흠씬 패다"라는 뜻이다.[33] 프랑스 음식을 미국 시청자들에게 맞춰 다시 만든것을 말한다. regurgitate는 역류하다는 뜻이다.[34] 덥스텝에 관련한 구인 "drop the bass"와 요리 중 하나인 부야베스를 활용했다. 영상에서는 이 라인부터 헬스 키친의 블루 팀이 등장해서 재료들을 들고 램지 뒤를 혼란스럽게 오간다.[35] 영상에서 이 쯤에 블루팀중 한 명이 고든 램지로 분장한 로이드 옆에 끼어드는데 로이드가 당황했는지 쳐다본다.[36] 차일드는 키가 무척 크고 뚱뚱했는데 세서미 스트리트의 빅 버드와 머펫쇼의 미스 피기로 비유했다. 또 차일드의 요리가 살찌는 고기 음식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37] 줄리아 차일드의 베스트셀러인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를 말한다.[38] 원 가사는 rubbish지만 발음은 rubber(고무)라고한다. 이 역시 헬스 키친 오마쥬다.[39] 여러 방송에서 램지는 탈락자의 자켓을 뚫어버린다고 하는데, 가끔 아쉬운 참가자들에게는 그냥 주기도 한다. 헬스 키친 참조[40] 이 라인이 끝나자마자 갑자기 정적이 흐르면서 당황한 블루 팀의 얼굴을 차례로 클로즈업한다. 이건 요리방송에서 항상 클라이맥스에 60초 광고가 끼는 것을 패러디한 장면이며 마지막에 패티를 뒤집어서 ERB 로고를 띄운다.[41] 고든 램지는 분자요리를 싫어한다. 수비드는 식재료를 비닐봉지에 밀봉해서 오래 재워 조리하는 기법으로 램지의 패배를 봉지 안에 미리 수비드로 조리해두었다고 하는 것이다.[42] 미슐랭 스타가 맛집의 보증이듯 자기자신이 램지를 보증한다는 뜻이다[43] 옐프는 미국의 맛집 어플쯤 된다.[44] frost에는 얼린다는 의미도 있으며 고든 램지의 헤어스타일을 Frosted tips같다고 하는 것이다. 참고[45] pat of butter는 버터 덩어리를 뜻한다.[46] "Bon appétit"는 프랑스어로 "맛있게 식사하세요"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