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경제성장률
1. 개요
이 항목은 G20의 경제성장률인 20개국의 국가별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2. G20 가맹국과의 경제 성장률 비교
2.1. 2007년 ~ 2011년: 5년 총합
2.2. 2015년 ~ 2018년
통계청 KOSIS 2019.10.10, G20 가입국 경제성장률
3. G20의 경제 분석
3.1. 2013년: 상반기
2013년 2월 26일, 무디스는 세계경제 위기를 거론하며 한국경제의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2013년 '2월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세계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이다. 이들은 한국 경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2013년 경제성장률 예측치를 (0.2%) 삭감한 (2.9%)로 잡았다.[2] PwC는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성장률 예측치를 각각 (0.1%)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여 (6.0%)와 (6.3%)로 수정했다. 유로존, 미국, 중국, 일본의 전망치는 전월인 1월과 같다. 각각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미국(2.2%), 유로존(0.0%), 중국(7.8%), 일본(0.8%) 등이다. IMF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0.4%)로 낮춰 3.2%로 수정하였다.
4. 관련 항목
[1]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30302060208790, 국회 예산정책처[2]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30226141106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