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rain

 




1. 개요
2. 노선
2.1. 1호선 (컨페더레이션 라인)
2.2. 2호선 (트릴리움 라인)
3. 연장


1. 개요


[image]
O-Train
운영기관
OC Transpo
영업거리
20.5 km
궤간
1,435 mm
역 수
17
전력공급
1,500V 직류 전철(1호선)
비전철(2호선)
개통연도
2001년
2001년 10월 개통한 캐나다 온타리오오타와도시철도 노선. OC Transpo 에서 운영한다.

2. 노선


[image]
'''총연장 20.5km'''로 1호선 '''컨페더레이션 라인'''과 2호선 '''트릴리움 라인'''이 존재한다.

2.1. 1호선 (컨페더레이션 라인)


[image]
LRT 형식의 전철이다. 차량은 프랑스 기업인 알스톰사 제작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1]
2012년에 공사를 시작해 2019년에 개통했다.

2.2. 2호선 (트릴리움 라인)



[image]
차량은 도이치반이 주문했다 취소했던(...) 봄바르디어제 탈렌트 디젤 동차 3편성을 운행하다 현재는 알스톰 코라디아 LINT로 대차되었다. 신형 차량은 2량 1편성으로 총 6편성이 도입되었다.
2001년에 개통했다. Ottawa Central 철도의 화물 노선을 활용하여 건설되었으며, 5개의 역을 신설하였다. 화물열차가 부정기적으로만 다니기 때문에 밤 늦게까지도 운행이 가능하다.
2020년 3월 운행을 중지했으며 보수공사 후 2022년에 운행을 재개할 예정이다. 현재는 대체버스가 다니고 있다.

3. 연장


다른 캐나다 대도시들과 비교해 짧은 구간만을 커버하고 있다. 캘거리C 트레인도 마찬가지로 노선은 2개밖에 없지만 이 2개노선이 커버하는 지역이 사실 꽤 넓어서 동서남북 4방향을 폭넓게 커버하고있는 반면 O-트레인의 경우 다운타운 중앙부를 기점으로 동쪽과 공항방면의 남쪽등 2개 지역만 제한적으로 커버하고 있다. 에드먼턴에드먼턴 경전철조차도 총연장 24.3km라는걸 감안하면 O-Train은 도시 규모에 비해 부족하다.
지자체도 이러한 현실을 인식하고 있어서 현행 2개 노선 양쪽에 대해 연장선 공사가 활발하게 논의 혹은 현재 진행되고 있다. 특히나 2호선 트릴리움 라인의 경우, 현 최남단 종점역인 그린보로(Greenboro)역보다 더 남쪽으로 확장공사가 진행중인데 이는 오타와 국제공항까지 역을 신설해서 공항과 경전철을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공항철도계획이 수립되어있기 때문이다. 트릴리움 라인의 오타와 국제공항 환승역이 완공될경우 오히려 위에 상기된 C 트레인이나 에드먼턴 경전철보다도 공항접근성이 더 좋아지는 만큼 지역 사회의 대중교통망 확충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2]
1호선 '''컨페더레이션 라인'''도 서쪽으로의 연장을 목표로 하고있고,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될경우 최소한 도심부를 중심으로 서, 남, 동 3개 방향으로는 교통망이 갖춰진다.
[image] [image]
여기서 빠진 '''북쪽''' 방면으로의 철도교통 계획은 OC TRANSPO 산하의 O-트레인으로 직접 가티노 시 방면으로 연결하는게 아니라, 가티노의 지자체 교통공사인 '''STO'''의 주도로 가티노 남쪽과 Hull 방면에 경전철노선을 자체 신설한 다음 가티노의 경전철을 O-트레인역까지 연결시켜서 환승시키는 새로운 도시간 경전철 계획이 추진되고있다. 넉넉히 잡아서 20년뒤 쯤이면 동서남북 4개방향을 모두 커버하여 가티노-오타와 도시권 양측을 아우르는 광역 철도교통망이 건설된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 연방정부 차원에서 가티노 측 STO에 경전철 건설을 위한 지원이 약속되어 있다. 하지만 오타와와 가티노를 이으려면 오타와 강을 건너는 다리가 필요한데, 이 경우 어떤 다리를 써야할지가 최고 논쟁거리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좋게 말하자면 발전속도가 점진적이었고 나쁘게 표현하자면 번영이 지지부진하기만 했던 연방 수도권의 최근 급속한 성장은 사실상 이 O-트레인 경전철 계획의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역 사회의 숙원사업으로써 여겨지는 노선 연장을 통한 공항철도의 완성, 퀘벡 주 가티노와의 철도 연결을 통한 완벽한 도시간 연계 달성이라는 매우 묵직한 호재들이 기다리고 있는 만큼 이 지역에서 경전철의 등장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오타와-가티노 도시권의 잠재력을 일깨울 최고 중요 요소로 꼽히고있다.

[1] Alstom Citadis Spirit[2] 국제공항에서 다이렉트로 철도교통을 이용해 도심부까지 접근하게끔 하는것이 얼마나 막대한 경제효과를 낳는지는 이미 서부 밴쿠버스카이트레인 성공사례에서 여실히 증명된 바가 있다. 특히나 오타와는 연방수도인 만큼 관광객 이외에도 국내 도시간 교류로 인한 수요가 생성되는 도시인데, 공항에서 내려서 바로 업무지구까지 대중교통으로 직결되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일이다. 경전철은 트래픽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송량을 분담해준다는 점에서 도로계획의 부담도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