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lox/2차 창작

 


1. 개요
2. 음악
2.1. Slaying in roblox
3. 애니메이션
3.2. The oder
4. 팬픽
5. 팬 아트
6. 팬 게임
6.1. cubash/Brick planet
7. 공식에 가까운 창작물
7.1. guest666
7.2. John Doe
7.3. 4x4x4x4
7.4. ZOMBIE
7.5. 데스파시토
8. 밈
8.2. 고든학교 6학년
8.3. im korea
8.4. Micheal P
8.6. oh no
8.7. 벽돌사이다
9. 그외 창작물/창작자


1. 개요


Roblox2차 창작한 것에 대해 말한다. 아래 참조.

2. 음악



2.1. Slaying in roblox


LOginHDI라는 로블록스와 관련된 노래를 부르는 유튜버가 올린 노래 영상이며.The Chainsmokers의 <paris>를 개사/패러디한 곡이다.

영상

3. 애니메이션


Roblox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 Roblox Studio의 애니메이팅 툴을 이용하거나 프레임 단위로 찍어서 제작하기
  • MikuMikuDanceBlender같은 전문 프로그램의 애니메이팅 툴을 이용하기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이용하면, 기본적인 파츠를 다룰 줄만 안다면 누구나 쉽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지만, 애니메이팅 툴을 이용하는 게 아니라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팅 툴로는 한계가 있어서 높은 퀄리티를 기대하기 힘들다.
MMD나 블렌더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역동적인 움직임도 구현이 가능하기에 퀄리티가 높은 작품을 만들 수 있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에 숙달되지 않으면 다루기 힘들다.
아쉽게도 Roblox에는 Mine-imator 같은 전용 애니메이팅 특화 툴이 로블록스 스튜디오에 플러그인 형식으로 존재하나, 다루기 좀 어렵고, 플러그인이라는 한계가 있다.

3.1. Oblivious


The last guest등의 Roblox 2차 창작 애니메이션을 만든 사람이다.
구독자는 182만명.
만든 작품은 이렇다.
  • Guest 666
  • The Last Guest
  • bacon city
  • Blox Watch

3.2. The oder


pankeyz라는 유튜버가 만든 Roblox 2차 창작 에니메이션이다.

4. 팬픽


딱히 대표적인게 없다. 다만 유저들이 만든 소설등이 난무한다.

5. 팬 아트


주로 Roblox에 나오는 게스트,뉴비등이 그려진다.
위The last guest같은 것들을 그려서
올린다. 자신의 아바타나 로블캐릭으로 제작된 애니 캐릭터를 그리는
3차창작을 하기도 한다.

6. 팬 게임



6.1. cubash/Brick planet


Roblox의 팬 게임 내지는 아류작.
대놓고 Roblox에게 영향을 받은 게 티가 나는 게 아이템 같은 경우 Roblox 내에 있는 아이템과 렌더링이 유사하고 시스템 또한 그대로 가져왔다. 과거 Roblox 느낌으로 개발한다고 했다.
Brick planet은 2020년 3월 3일 4시 18분에, Cubash는 2020년 11월 8일 11시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7. 공식에 가까운 창작물



7.1. guest666


거의 마인크래프트의 히로빈 같은 존재다.
모자를 쓴 게스트 복장에 빨간눈 검은피부이다.
그러나 이를 따라한 컨셉충 유저들이 잘 안보이는데, 그 이유는 빨간눈의 경우 리미티드 아이템이라 무지 비싸기 때문. 다만 UGC로 666 head가 나와서 어느 정도는 가능해졌다.

7.2. John Doe


3월 18일에 로블록스에 접속중인 계정을 모두 해킹한다는 루머가 있었다. 당연하게도 해킹을 당하지 않았다.
실제로는 Jane Doe와 함께 Roblox가 만든 테스트 계정이다. [1]
John Doe는 우리나라의 김철수, 홍길동과 같이 익명의 사람을 표현할 때 쓰는 이름이다.

7.3. 4x4x4x4


Roblox의 자칭 전 운영자. 사실 이녀석도 가상의 캐릭터인데 위 존 도와 엮여서 나온다.
Ready Player Two 이벤트에선 이를 패러디 한듯한
"1x1x1x1의 주전자"라는 아이템을 출시했다.

7.4. ZOMBIE


로블록스의 대부분 게임에서 사용하는 좀비이다.
갈색옷에 초록피부, 가끔씩 주름이 굉장히 많은 얼굴 이기도 하다.

7.5. 데스파시토


[image]
'''로블록스가 최초로 아이템으로 내보낸 2차창작물'''
빅헤드, 비거헤드를 합쳐놓은 후 거미다리를 붙여놓은 듯한 모습이며, 이 캐릭터가 크게 인기를 끌자, 에그 이벤트로 아이템으로 내놓았다. 거의 공식 캐릭터급.
신기한게 로블록스에서 데스파시토를 어린이들이 보긴 좀 그런가 싶었는지. 한국기준 로블록스에서 데스파시토를 치면 해시태그 처리된다.
실제로 이 밈은 2018년에 어떤 한 유저가 Robloxian Highschool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만들어 낸 것이 처음이다.[2]

8. 밈


로블에서 공식으로 내보낸 것이나. 로블과 관련된 밈을 서술할것. 엄연히 2차 창작으로 밈화한 것 이니 서술.
엄밀히 말하자면 로블에서 공식적으로 밀어주는 밈이라곤 OOF이다. 근데 그마저도 유저들이 그 소리를 보고 만든것에 불과하다.
단순히 몇몇 사람이 알기보단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으며. 인터넷에 떠도는 밈을 기재하도록 하자.

8.1. OOF


OOF 해당 문서 참조

8.2. 고든학교 6학년


[image]

고든학교 6학년이거든 까불지마

국내 한정으로 유행하는 밈으로 Roblox의 저연령층 문제로 생긴 밈.
어느 로블록스 유저가 한국 군대를 배경으로 한 게임에서 해당 채팅을 친 것을 누군가가 한 포털사이트에 공유 했으며, 그 이미지가 현재 SNS에서 떠돌고 있으며, 위 행동을 한 유저와 같은 룩을 하고[3] 컨셉질을 하는 유저까지 생겨났다. 다만 국내 한정 밈이라 그런지, 해외나 일부 국내 로블록스 유저들은 모르는 편이다. OOF에 비하면 한참 인기가 떨어지지만 국내에서 거의 처음으로 인터넷에 알려진 Roblox 밈이란 건 여전하다.
상술했듯이 인지도가 다소 떨어지는 감이 있기에 무작정 이 밈을 Roblox에서 사용하다가 비난만 들을수 있으니 사용하더라도 이미지만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여담으로, 고든학교라는 오타 때문에 저 유저가 하프라이프의 팬 아니냐는 드립도 있었다.
해당 유저의 닉네임은 끝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유는 단순한데, 군대 배경 게임이다 보니 계급이 존재하는데, 닉네임이 계급 위에 표시되어 채팅 말풍선이 닉네임을 가렸기 때문이다.

8.3. im korea



"Im korea"

"난 한국이야"

외국 한정 또는 몇몇 한국인들이 아는 밈. 어떤 한국인 유저가 자신이 한국인이라는것을 알리기 위해 상태 메시지 창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데,
원래는 영어로 한국인이라고 표현하려면 korea 끝에 n이 와야 한다. 그런데 실수였는지 영어 실력이 부족했는지는 불명이나 n을 빼 버려서 졸지에 자신이 한국이라고 하는 말이 되어버린 것.
그 후 해당 계정의 상태 메시지는 해킹을 당해 '''I'm gay'''로 바뀌었다.해당계정

8.4. Micheal P



로블록스와 기타 게임 유튜버인 Micheal P가 올린 영상중 하나. 본 영상은 로블록스에서 부적절한 게임을 리뷰하는 시리즈중 하나인데
쓸데없이 큰 음량의 마이크 출력음과 점프맵을 하다 떨어질때 귀청을 찌르는 듯한 비명이 합쳐지면서 보는 내내 엄청난 귀갱을 선사한다.
특히 2:47초 부근의 비명이 가장 유명하다. 해당 비명은 밈 영상에서 효과음으로도 많이 쓰인다.

8.5. 보벅스


보벅스 해당문서 참조

8.6. oh no


To be continued,We will be right back와 비슷한 종류의 밈이다.
로블록스에서 무언가 안좋은 일이 일어나려고 하면 oh no oh no oh no no no no no라는 가사와함께 안좋은일이 일어난다.

8.7. 벽돌사이다



국내 한정으로 유명한 으로 틱톡에 올라온 음원이다.

리믹스 버전도 있다.#

9. 그외 창작물/창작자


애니는 아니지만 로블을 이용한 병맛영상등을 만드는 인물을 기재한다.
  • Jamine-Aki_ Artz : 로블록스 피기 밈 등을 올리는 유튜버다.
구독자 수는12.2만명[4]지금도 꾸준히 영상을 올리고 있다.
  • Buur : Roblox에서 자주 나오는 소리[5] 를 이용해 맛깔나게 memes를 만든다. 모음집 영상이 100만이 넘는다. 이전에는 짧은 밈 모음집이 주였지만 언제부턴가 올라온 Murder Mystery 2영상 부터 10분이 족히 넘는 병맛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 Untel23 : 대부분의 영상이 신태일 소스를 첨가한 로블록스 애니메이션, meme으로 이루어져 있다.
  • Notive 상당히 최근[6]에 애니메이션을 시작한 사람이며 2021년 1월 기준으로 동영상이 68개밖에 없다.[7] Eltorro64rus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엄청나게 부드러운 동작을 선사하지만 병맛이란 병맛은 다 때려부은 듯한 전개와 구성의 애니메이션이 특징으로, 팀 포트리스 2의 소리를 주로 쓴다.

[1] 둘다 유저 ID 2, 3으로 Roblox의 ID 뒤 2개의 계정이다.[2] 어떤 유저가 처음으로 만든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유튜브에 robloxian high school Despacito 라고 검색하면 거의 다 2018년도 영상이다.[3] 카탈로그를 조금 돌다보면 무료로 얻을 수 있는 룩들로 구성되어 있다.[4] 2020년 6월27일기준.[5] 예시로 OOF 자세한 것은 Roblox 문서 참조 [6] 2018년.[7] 제작 기간과 학업 때문에 그런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