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に에 해당되는 사항
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4. 모양
5. 발음
6. 쓰임
6.1. 조사 に
6.2. 기타
7. 한자
7.1. 음독
7.1.1. 오음 ニ / 한음 ジ
7.2. 훈독
8. 한글 표기


1. 개요


  • 가타카나: ニ (仁의 약자)
  • 히라가나: に (仁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니
  • 라틴 문자 표기: ni
  • IPA: /nʲi/ (유성 치경구개 비음 + 전설 평순 고모음)
  • 일본어 통화표: 日本のニ (니혼노 니)
  • 일본어 모스 부호: - · - ·
な행 い단 글자이다.

2. に에 해당되는 사항


に는 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

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い단의 모음은 한국어의 ㅣ와 같은 전설 평순 고모음이다. 나머지 네 모음은 약간 다르다.

い단의 글자들은 や행과 조합해 /ja/ /ju/ /jo/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ェ와 붙어 /je/를 표기하기도 한다.

4. 모양


[image]
[image]
둘 다 仁에서 따왔다. 가타카나 ニ는 二와 크기만 다른 정도. 한자 변환도 가능하다.

5. 발음


に의 자음은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 비음(/ȵ/)이다. 이건 한글 '니' 역시 마찬가지.
과거 한글에서는 /ȵi/가 아닌 /ni/를 적기 위해 '늬'를 쓰기도 했는데, 가나 문자에서는 딱히 /ni/를 적으려는 시도는 없었던 듯하다. 적으려고 한다면 ィ나 ィ가 그랬듯이 う단을 써서 ィ를 쓰겠지만 그런 표기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사실 スィ만 해도 그렇게 썩 자주 쓰이는 표기는 아니고.
아무튼 に가 구개음화되었으니 ニャ ニュ ニョ 역시 모두 치경구개 비음이다.

6. 쓰임



6.1. 조사 に


, 와 비슷하게 장소나 물건에 붙는 조사. 주로 한국어 '에'에 대응되기는 하지만 100% 들어맞지는 않는다. '자전거를 탄다' 같은 것도 自転車に乗る라고 하니까. 초급 일본어에서 접할 수 있는 한국어와의 차이 중 하나는 '~가 되다' 라는 뜻으로 に를 쓴다는 것이다.

6.2. 기타


이로하 노래 순으로 4번째이다. イロハ'''ニ'''. 음악으로는 (D). ニ長調는 그래서 '라장조'가 된다. 폰트에 따라서 二長調(2장조)로 보이기도 한다. ハ長調도 그렇지만. 둘 다 하필이면 숫자 한자와 닮아서 ... 실제로 구글에 "二長調"라고 검색해도 꽤 나온다. 묘하게 틀리는 사람이 많은 모양이다.
기상예보 약자로는 소나기('''に'''わか雨)를 뜻한다고 한다. 구름이나 비 기호 옆에 ニ라고 작게 써두는 식으로 쓴다. 는 강한 비(あめ'''つ'''よし), 는 안개('''き'''り)이다. 한국에서는 소나기의 뜻으로 역삼각형 기호(▽)를 쓴다.
[image] 

7. 한자



7.1. 음독


'''日'''
'''韓'''
'''한자'''
'''韓'''
'''한자'''
'''특수'''


二弐

[1]


ニク






ニチ






ニュウ






ニョ



[2]


ニョウ

尿




ニン

忍認

妊任

상용한자표 기준으로 に로 시작하는 독음은 6종이며 한자 수는 16자이다. 그리 많은 편은 아니나 ナ행 자체가 다들 한자 수가 별로 없어서 ナ행 중에서는 제일 많다. 밑줄은 한음 ジ 계열로도 읽을 수 있는 글자이다. 아래에는 入나 二에서도 한음이 나타나지만 빈도가 적어 표에는 실려있지 않다.

7.1.1. 오음 ニ / 한음 ジ


와 대립하는 것과 비슷하게, に는 じ와 대립하는 경우가 많다. 와 마찬가지로 な행 쪽인 に가 더 먼저 들어온 오음(呉音)이고 じ는 후대에 들어온 한음(漢音)이다. 오음 vs. 한음이 주로 그렇듯이 한음 쪽이 조금 더 우세할 때가 많지만... 아래의 경우를 보면 꼭 그렇지도 않아서 좀 골치 아프다. 굵은 쪽이 우세한 발음.
  • 人(にん・じん ) 人形(にんぎょう) 人体(じんたい)
  • 女(にょ・じょ) 女体(にょたい) 女子(じょし)
  • 児(に・) 小児(しょうに) 育児(いくじ)
  • 日(にち・じつ) 来日(らいにち) 本日(ほんじつ) : 어두에서는 日月(じつげつ)를 제외하면 じつ는 잘 쓰이지 않는다.
  • 入(にゅう・じゅ) 入院(にゅういん)入水(じゅすい)[3]
  • 柔(にゅう・じゅう) 柔和(にゅうわ) 柔道(じゅうどう)
  • 二(・じ): 현재는 이름을 제외하면 じ로 읽을 때는 거의 없다. ex) 健二(けんじ) 등
이렇게 갈리는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으로는 대체로 (반치음)으로 시작되고 중국 보통화로는 r나 er인 경우가 많다. 오히려 한국 한자음 '니(냐/녀/뇨/뉴)' 계열이나 중국 보통화의 'ni-' 계열은 일본 한자음에서 た행/だ행/じ-인 경우가 있다.[4] 日의 경우 일본이 한음을 받아들이던 9세기 경의 중국 발음인 z 계열 음이 서양에 전해져 일본의 서양식 이름이 'Japan'으로 굳어졌다. 이후 중국은 음이 바뀌어서 본인들도 日本을 z로 읽지 않게 되었다(..). 보통화로는 Rìběn(한글로는 '르번')이다. 계열상으로 보면 Japan의 /dƷ/ 음은 じつ의 じ와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다.

7.2. 훈독


#
  • に(荷): 짐. 주로 쓰이는 단어는 荷物가 있다. 다만 저 글자를 쓰는 단어 대부분은 주로 음으로 か라고 읽는다. 입하(入荷;にゅうか), 하중(荷重;かじゅう) 등.
  • にい(新): '새로운'을 뜻하는 접사
  • にし(西): 서쪽
  • にじ(虹): 무지개
  • にしき(錦): 비단
  • にせ(偽): 가짜
  • にわ(庭): 뜰
  • にわとり(鶏): 닭. にわ와 관련이 있어보인다. 여담으로 체언 중에서 독음이 4자 이상인 몇 안 되는 예이다.[5]
  • におう(臭う/匂う): 냄새가 나다
  • にがい/にがる(苦い): (맛이) 쓰다
  • にぎる(握る): 쥐다
  • にくむ/にくい/にくらしい/にくしみ(憎む): 미워하다
  • にげる/にがす(逃げる): 도망치다
  • にごる/にごす(濁る): 흐려지다
  • になう(担う): 짊어지다. に(荷, 짐)와 관련이 있어보인다.
  • にぶい/にぶる(鈍い): 둔하다
  • にる(似る): 닮다. 희한하게도 あう와 붙어서 似合う가 되면 '서로 닮다' 같은 뜻이 아니라(보통은 あう가 붙으면 '서로 ~하다'라는 뜻이 된다) 전혀 다른 동사인 '어울리다'라는 뜻이 된다.
  • にる/にえる/にやす(煮る): 삶다. 주로 물에 넣어서 익히는 걸 뜻하는 듯. 증기로만 익히면 蒸す(むす;찌다)라고 하는 것 같다. 그 외에 그냥 구우면 焼く(やく;굽다). 일본어 숙어에는 '삶아먹지도 구워먹지도 못한다(にてもやいてもくえない)'라는 말이 있는데 이게 이도저도 못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훈으로 に라고 읽을 수 있는 글자는 IME 기준으로 荷煮似丹가 있다. 丹는 '붉을 단'인데 주로 붉은 흙을 に라고 읽는 듯하다. 성게를 뜻하는 ウニ를 雲丹라고 적기도 하는데 이는 아테지로 한자 뜻과는 별 상관 없다.

8. 한글 표기


무난하게 '니'로 적는다.

[1] 모양이 비슷한 泥(진흙 니)는 デイ이다.[2] 女房(にょうぼう)에서만은 장음이다.[3] にゅうすい로도 읽는다.[4] 紐(뉴->ちゅう), 泥(니->でい), 溺(닉->でき), 匿(닉->とく) 등.[5] 幻(まぼろし)와 같은 다른 예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