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구개음
[image]
1. 개요
+5 [[齒]][[莖]][[口]][[蓋]][[音]]
Alveolo-palatal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잇몸센입천장소리''', 치경경구개음, 치조경구개음, 전경구개음이라고도 부르며,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내는 소리다.
치경음의 변이음으로 분류된다. 조음 위치상 치경음과 전설 고모음([i], [y]와 이에 대응하는 반모음 [j], [ɥ])은 궁합이 맞지 않아, 이것을 피하는 두 방법이 생겼는데 하나는 전설 고모음을 쓰지 않는 방법[1] 이고, 또 하나는 '''전설 고모음에 최적화된 음가를 만드는 것'''이다. 치경구개음은 후자를 따른 음가다. 때문에 치경구개음 기호의 모양새는 치경음에서 꼬리를 동그랗게 만 것처럼 생겼다. 이 꼬리가 의미하는 게 치경구개음이며, 어디서 유래한 건지는 모른다.
아무래도 서양 언어에는 잘 없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지정된 건 파찰음([t͡ɕ],[d͡ʑ])과 마찰음([ɕ],[ʑ]) 뿐. 이외의 음의 경우 밑에서 쓰는 기호를 쓰지 않고 [d̠ʲ],[t̠ʲ], [n̠ʲ], [l̠ʲ]로 쓰기도 한다. 물론 본 위키에서는 밑에서 쓰는 기호를 수입하는데 성공했으므로 그 기호를 그대로 쓴다. 한국어에는 치경음에 해당하는 음소(ㄴ, ㄷ, ㄸ, ㅌ, ㄹ, ㅅ, ㅆ)[2] 가 많기 때문에 , ㄴ, ㄷ, ㄸ, ㅌ, ㅅ, ㅆ이 [i], [y], [j], [ɥ]랑 만나면 치경구개음이 될 수도 있다.[3] 또다른 이유로는 '''더럽게 불안정해서 좀처럼 확인하기 힘들다'''라는 이유도 기호가 적은 데에 한몫하는 듯 하다. 한국어에서는 ㅈ, ㅉ, ㅊ가 여기 속한다.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은 조음 위치가 상당히 유사한데, 후치경음에서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치면 치경구개음이 된다. 물론 서로 다른 발음이다.
2. 조음 방법
2.1. 치경구개 비음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i], [y], [j], [ɥ] 앞의 ㄴ이 이 소리가 난다.[4]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경구개 비음(/ɲ/) 등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 또는 경구개 비음 기호 아래쪽에 +[5] 를 붙이는 경우(/ɲ̟/)도 있다. 비음이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폴란드어 ń도 이 소리가 난다고 한다.
세르보크로아트어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이 발음을 이중문자인 NJ로 표기한다
발음 방법 : '냐','냬','녀','녜','뇨','뉴','니'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2.2. 치경구개 파열음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서 떼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ㄷ, ㅌ, ㄸ 다음에 ㅣ나 경구개 접근음이 들어간 이중모음이 들어간 경우에 발음된다.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데다, 대체할 수 있는 기호도 없다. 또한, 소리도 그리 안정적이지 못한 음가여서, 세월이 지나면서 아래의 치경구개 파찰음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6]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ち도 옛날에는 [ti]였으나 파찰음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ti]를 표기하려면 ティ와 같은 표기를 쓴다.
러시아어에서는 [i], [j] 앞에 오는 д(/d/), т(/t/)가 이렇게 소리난다. 다만 러시아어의 이 발음은 마찰음적 특성도 약간 들어가 있어서 전자는 마치 ㄷ과 ㅈ의 중간발음처럼, 후자는 ㅌ과 ㅊ의 중간발음처럼 들린다. 블라'''디'''미르 푸'''틴'''(Вла'''ди́'''мир Пу́'''ти'''н)이 '블라'''지'''미르 뿌'''친'''에 가깝게 들리는 것이다.
발음 방법 : [ȶ]는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발음한 '탸','턔','텨','톄','툐','튜','티'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ȡ]는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울려 발음한 '댜','댸','뎌','뎨','됴','듀','디'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2.3. 치경구개 파찰음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살짝 떼면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ㅈ, ㅉ, ㅊ이 이 소리가 난다.[7] 단 북한 문화어에서는 치경음#파찰으로 발음한다. 물론 치경음으로 발음해도 알아듣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변이음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ć(ћ), đ(ђ)나 일본어의 ち와 じ(じ는 [d͡ʑi] 또는 [ʑi]로 발음된다. 원래는 ぢ의 음가가 [di]였던 게 [ȡi]를 거쳐 [d͡ʑi]로 변했고 그 때까지만 해도 じ([ʑi])와 확실히 구분되는 소리였으나 세월이 지나 두 음가 사이의 변별력이 사라지면서 현재는 몇몇 방언을 제외하고는 じ와 ぢ 모두 [d͡ʑi]로도 발음되고 [ʑi]로도 발음된다. (요츠가나 항목 참고.) 중국어 한어병음의 q와 j, 폴란드어의 ć와 dź,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ć(ћ)와 đ(ђ), 러시아어의 ч도 이 발음이 난다.
발음 방법: 자음 ㅈ, ㅉ, ㅊ을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발음한다.(참고로 이것이 '''자음 ㅈ, ㅉ, ㅊ의 표준 발음법'''이다.)
2.4. 치경구개 마찰음
혀끝을 잇몸에 살짝 대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살짝 걸친 상태에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 각각 [i], [y], [j], [ɥ] 앞의 ㅅ, ㅿ에 대응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ㅿ은 사라졌다. 일본어의 し와 어중 じ, 중국어 x, 러시아어 Щ[8] , 폴란드어의 ś와 ź, 스웨덴어의 k[9] 와 tj도 여기 속한다.
한때 ㅅ이 치경구개 마찰음으로 발음이 되던 시절이 있었다.([ɕ]) 쉽게 설명하자면 '사'와 '선', '순'이란 글자가 그 시절엔 '샤', '션', '슌'으로 발음이 되었다는 얘기가 되겠다. 그것 때문에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35항에 '''ㅅ ㅈ ㅊ을 첫소리로 삼는 ㅑ ㅕ ㅛ ㅠ를 ㅏ ㅓ ㅗ ㅜ로 적는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는데, 20세기 중후반에 오면서 사와 샤의 변별이 생기자[10] 상당수의 현대 한국 한자음이 본래의 음가를 잃어버리는 비극(…)이 생겼다.
발음 방법 : [ɕ]는 샤, 셔 처럼 발음하면 된다. [ʑ]는 여기서 성대를 떨어준다.
어쩌면 현대에 살아남은 쉐라는 잘못된 표기도 ㅅ이 [ɕ]으로 발음됐을 때의 잔재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ɕwe]라고 발음하면 [swe]로 발음할 때보다 원음에 가깝다. 근데 솨, 숴, 쇄 같은 표기가 없는 걸 보면 딱히 그런 이유 때문인 건 아닌 것 같다...
2.4.1. 비 치찰 치경구개 마찰음
화자에 따라 '히'를 이 발음으로 하기도 하는데(형→셩, 히오스→시오스 등), '시'로 오해할 수도 있다. 일단은 '히'도, '시'도 아니지만. 일본어의 에도 방언에도 있다.
2.5. 치경구개 탄음
저 기호는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 기호 위에 반달표를 붙인 것으로, 해당 발음을 짧게 발음하라는 뜻. 억지로 기호를 만들자면 [image]정도가 될 수 있겠다.
자체 변별력이 있는 건 아니고, 주로 치경 탄음(ɾ)이 /i/, /y/, /j/, /ɥ/ 앞에서 구개음화되면 이 발음이 나온다. '이랴'에서 랴는 보통 치경 탄음으로 발음되나, 이 발음으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랴 부분을 혀를 경구개에 대고 발음하는 식. 매우 불안정해서 위의 비음이나 아래의 설측접근음이 되기도 한다.
2.6. 치경구개 접근음
저 기호는 경구개 접근음에 전설음화 기호를 붙인 것이다.
[image]
억지로 기호를 만들면 이런 식으로 만들 수도 있겠다.
치경 접근음[ɹ]이 구개음화되면 이 발음이 되는데, '''이거 경구개 접근음과 거의 같은 발음이다.''' 조음해 보면 i/j에 살짝 ɹ이 섞인 발음같이 들리는데, 이것도 좀 불안정한 발음이라 아예 경구개 접근음[j]가 되기도 한다. 경구개 접근음은 가장 흔한 반모음이고, 따라서 [ɹ]을 발음할 때 가장 방해되는 발음이므로 이를 피할 수 있도록 발음을 연습해야 한다. ʋ˞식으로 발음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11] .
2.7.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혀 옆구리와 어금니 사이를 살짝 좁히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어두초성 ㄹ이 모음 ㅣ[i], ㅟ[y]이나 전설모음으로 시작하는 상향 이중모음 ㅟ[ɥi], ㅑ[jɐ], ㅕ[jʌ], ㅛ[jo], ㅠ[ju] 등을 만날 때 구개음화 되어 나오는 음가. 종성에서는 "설측 권설 경구개 접근음([ɭ̡] / [ʎ̢])"이라는 이중자음이다.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설측 경구개 접근음[ʎ] 등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12] 접근음 역시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13]
발음 방법: '랴','럐','려','례','료','류','리'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3. 관련 문서
[1] 그래서 영어, 독어 등의 서구 제어에서는 음가가 비슷한 [ɪ\] , [ʏ\] 등을 많이 쓴다. 전설 고모음보다 혀가 약간 낮고 뒤로 빠지는 모음이다.[2] 중세 국어 및 문화어(북한어) 한정으로는 ㅈ, ㅉ, ㅊ도 포함.[3] 다만 일부 자음의 경우엔 20세기에 영어에서 유래된 외래어의 대량 유입으로 음운의 변화가 작게나마 일어났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게 되었다. 특히 한국어의 ㅍ. 자세한 건 후술.[4] 언니, 오뉴월, 뉘다, 나뉘어 등. 혀 모습을 의식하면서 발음해 보면 조음방식도 비슷하고 듣기에 비슷해서 의식할 수 없다.[5]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6] 굳이, 같이 등. 天地도 옛날에는 '텬디'였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天地를 그대로 /텬디/로 발음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세월이 지나면서 발음이 /천지/로 바뀌었고 1930년대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천지/로 발음되는 '텬디'의 표기를 아예 '천지'로 고치고 '텬디'를 폐기했다.[7] 정작 국어의 자음 체계에서는 ㅈ, ㅉ, ㅊ를 센입천장소리로 분류한다.[8] 단 장음이다. /ɕː/로 표기.[9] e, i, y, ä, ö 앞에 위치할 때[10] 다만 1930년대 당시 ㅅ의 음가는 이미 [s\]로 돌아온 상태였다. 구개음화 문서의 각주도 참고. 이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1939년)이 '사'와 '샤', '서'와 '셔' 등을 모두 sa, sŏ 등으로 적는 데서 알 수 있다. ㅅ이 치경구개음이었다면 sya, syŏ로 적혔을 것이다.[11] v랑 비슷한 입모양으로 r을 발음하면 rvi랑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12] 하지만 경구개음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 발음으로 대체하기에는 대단히 미묘하게 다른 발음이다. 귀로 들어봤을 때의 본 발음과 설측 경구개 접근음의 차이는 받침 ㄹ 발음의 유무 정도. 이 기호로 대체하고자 한다면 진짜 설측 경구개 접근음과 구분하기 위해 밑에 전설음화 기호를 붙여서 쓰는(/ʎ̟/) 경우도 있다.[13] 억지로 하려 하면 마찰음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