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調'''고를 조
|
| | '''총 획수'''
| 15획
|
| 중학교
| | |
|
| -
|
'''일본어 음독'''
| チョウ
|
'''일본어 훈독'''
| しら-べる, ととの-う, ととの-える
|
|
| 调
|
'''표준 중국어 독음'''
| diào, tiáo
|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고를 조(調)'''. '고르다', '조절하다', '조사하다', '가락'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이 글자는 다음자이므로 나누어서 표기한다.
'''한국어'''
| '''훈''' : 고르다 '''음''' : 조
|
'''일본어'''
| '''음독''' : チョウ '''훈독''' : しら-べる, ととの-う, ととの-える
|
'''중국어'''
| '''표준어''' : tiáo 광동어 : tiu4 객가어: thiàu, thiau 민동어: dièu[1], dèu[2] 민남어 : tiâu 오어 : diau (T3)
| '''표준어''' : diào 광동어 : diu6 객가어: tiau 민동어: diêu 민남어 : tiāu, tiàu 오어 : diau (T3)
|
'''베트남어'''
| điều
| điệu
|
유니코드에는 U+8AB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RBGR(卜口月土口)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5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周(두루 자) 자를 합쳐 만든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조절하다', '섞다', '조화' 등의 뜻으로 쓰일 때는
평성(平聲)으로, '고르다', '가락' 등의 의미로 쓰일 때는
거성(去聲)으로 읽는다. 이밖의 파생된 나머지 뜻에 대해서는 방언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調査('조사하다')의 경우, 표준중국어에서는 거성(4성)으로 읽지만, 광동어, 대만 객가어, 대만어에서는 평성으로 읽는 게 표준이고 비표준으로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