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

 


1. 調整
2. 수상 스포츠
3. 전근대시대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기구 朝廷
4.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삼국시대 촉나라의 인물, 서진의 인물
5. 수호전의 등장인물
6. 調停


1. 調整


피아노의 타현기구 및 건반과 헤머, 페달에 이르기까지 모든 동작상태가 정상이 되도록 유기적으로 정돈하여 피아노가 갖는 본래의 기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며, 최상의 터치감과 좋은 음색이 나도록 하는 것이다. 건반으로 통칭되는 복잡한 구조의 피아노의 액션파트와 댐퍼파트를 규칙성과 연속성 있게 배열하고 각 파트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연주자의 음악적 감성을 손끝에서 완벽히 표현 할 수 있게 해주는 조율 못지않게 아주 중요한 작업이며[2], 이는 업라이트 피아노그랜드 피아노 모두 동일하다.
헤르츠 단위로 정확한 음정을 잡아주는 튜닝과는 대동소이하다.[3] 조율의 경우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년 주기로 시행하며[4] 조정의 경우 습도 등으로 피아노의 상태가 변질되거나 오랜 사용으로 인한 중고피아노를 매매하거나 구입했을 때 건반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거나 소리가 안나거나 터치감을 바꾸고 싶을때 조율과 같이 작업이 이루어진다.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하다는 뜻도 있다. 주식 용어인 조정장이 이 뜻으로 쓰였다 할 수 있다.

2. 수상 스포츠


조정(스포츠) 문서 참조.

3. 전근대시대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기구 朝廷


[image]
경복궁 근정전.
朝廷[5]
임금국가정치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또는 그런 기구. 과 고위급 신하들과 서기를 맡은 사관 등이 참가했다. 사실은 여기서 사안을 일일히 정한다기보다는 현재의 국무회의처럼 대략적인 흐름을 정하고 구체적인 업무는 다시 6조 등에 넘어갔다. 왕에 따라서 경연이나 조정에서의 회의 등을 싫어한 사람도 굉장히 많았다.
모든 관리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뵙는 것을 조회라고 한다. 원래 조회라는 말은 이런 뜻으로 학교 같은 교육기관에서 전혀 쓰일 일이 없는 단어였는데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의미가 변질되어 교육기관에서 조회라는 말이 쓰이게 되었다.
일본에도 천황의 조정이 있었지만 중국이나 한국처럼 권한이 강하진 않았다. 현실 정치는 쇼군을 위시한 막부사무라이들이 하면서 조정은 허울뿐인 존재였던 기간이 매우 길었다.
사실, 이 회의가 벌어지는 자리를 가리키는 단어이지만 대체로 의미가 그렇듯이 정부를 가리키는 말로 확장되었다.

4.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삼국시대 촉나라의 인물, 서진의 인물


조정(삼국지) 문서 참조.

5. 수호전의 등장인물


조정(수호전) 문서 참조.

6. 調停


분쟁을 중간에서 화해하게 하거나 서로 타협점을 찾아 합의하도록 함. 민사조정법 참조.

[1] 피아노를 연주하는 데 있어서 튜닝 못지않게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반이 균일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면 건반마다 누르는 힘과 깊이가 미묘하게 차이가 나서 제대로 된 연주를 하지 못하게 된다.[2]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주로 타현거리(Blow distance), 렛오프(Let-off), 드롭(Drop), 해머스톱거리(Hammer stop), 애프터터치(After touch) 등의 수많은 조정작업과 건반깊이(Dip), 건반수평[1] 등, 각종 레벨링(Leveling) 등의 작업을 수반한다.[3] 튜닝이 정확한 "음정"을 낼 수 있게 하는 거라면, 조정은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4]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이 뚜렷하다 보니 최상의 음색을 얻으려면 여름과 겨울을 주기로 조율을 하는 편이 좋다.[5] 아침 조, 조정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