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우수영

 




1. 개요


조선의 경상우도[1] 해안을 방어하는 경상우수군의 본영이다. 현재의 진해, 거제, 통영이 차례로 수영소재지였다. 삼도수군통제영을 겸임했다.

2. 상세


경상우도 지역은 고대부터 서해와 일본으로 가는 중요한 항로였다. 변한가야 시절 김해에서 생산된 철은 낙랑대방으로 갈 땐 거제와 통영 사이 해협인 견내량을 지나 서진하고 일본으로 갈 땐 거제 연안을 따라 남하하다 거제도 남단에서 해류를 타고 대마도로 건너갔다.[2] 고려 ‧ 조선 때도 이곳은 낙동강-견내량을 통과해 개성 ‧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이 통과하는 중요한 길목이었고 이를 노리는 일본의 왜구 및 정규군의 침입 루트가 주로 거제도 남단을 통해 이루어졌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의 시작을 알린 1350년 충정왕 2월의 침입 역시 마찬가지였다.[3]
또한 원나라의 일본원정 때 고려 수군이 출정했던 지역이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을 격퇴한 고려 수군의 주둔지이자 대마도 정벌의 출정지로 조선이 건국되고 태종이 수군을 재편성하며 경상우수군이 창설되었다.
이런 이유로 경상우수군은 가장 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법제상으로 경상 우수영은 약 75척 ~ 100여 척의 전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전라좌수영과 전라우수영의 함선을 합친 수(약 50척 ~ 60여척)보다 더 많다.
또 고려 통신사나 전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으로 건너갈 때는 해안을 따라 최대한 남서쪽인 거제 지세포나 다대포에서[4] 출발해 대마도 북단에 도착하는 연안항로를 이용했기 때문에 사절단이 경상우수영에서 머물렀다.
임진왜란 때는 원균 이 경상우수사였다. 원균은 그 많은 전력을 보유하고도 제대로 싸우지도 않고 태반을 와해시켰다가 옥포 해전에서 4척 한산도 대첩에서 10여 척이 참전한다. 이후 칠천량 해전 전까지 계속 증강했으나 초기의 전력만큼 복구시키지는 못한다. 칠천량 패전 이후로 경상우수영이었던 오아포와 삼도수군통제영이었던 두억포는 일본군에게 넘어갔다.
임진왜란의 휴전 협정 기간 동안 권준이 임명됐다가, 원균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이후 사직하였다. 이후 배설이 임명되었다가 명량 해전 직전 도주하자, 해전 이후 무의공 이순신이 후임 경상우수사가 된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경상 우수사삼도수군통제사를 겸하였고 1894년 갑오개혁 때 해산되었다.

3. 수영 소재지


1415년 웅천현 제포[5] 창설 → 회원현 합포[6]거제현 산련포[7] → 1418년 거제현 탑포[8] → 1465년 거제현 오아포[9] → 1593년 거제현 한산도 두억포(통제영과 통합)[10] → 1599년 거제현 오아포 → 1604년 거제현 두룡포[11] → 1895년 폐지
임진왜란 이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른 경상우수영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신증동국여지승람 편찬 시기의 진포 위치로 임진왜란 시기와 동일하지 않다)
  • 11관(창원(昌原)·진주(晉州)·김해(金海)·하동(河東)·거제(巨濟)·고성(固城)·곤양(昆陽)·남해(南海)·웅천(熊川)·진해(鎭海)·사천(泗川))
  • 거제현: 경상 우수영(수사), 영등포(만호), 옥포(만호), 조라포(만호), 지세포(만호), 율포보(권관)
  • 고성현: 사량(만호), 당포(만호), 가배량수(권관), 소을비포수(권관)
  • 남해현: 평산포(만호), 미조항진(첨사), 곡포보(권관), 상주포보(권관)
  • 웅천현: 제포진(첨사영), 안골포(만호)
  • 진주목: 적량(만호), 삼천진(권관)

4. 관련 문서


[1] 서부 경상도[2] 부산에서 쓰시마로 직항하는 항로는 17세기부터 활성화 된다. 이는 대한해협의 강한 해류와 편서풍으로 인해 대마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동해로 떠내려가 버리는 위험이 커서 대마도와 가까우면서도 최대한 남쪽인 거제 남단에서 출발하는게 안전했기 때문이다. 또 해류를 타고 가기 때문에 항해 속도도 빨랐다.[3] 예외적으로 임진왜란의 경우는 일본군의 전략적 목표가 한양을 점령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북상하기 좋은 부산에 상륙한 것이다.[4] 거제 다대포[5] 현 지명 창원시 진해구 제덕동[6] 현 지명 창원시 마산합포구[7] 현 지명 거제시 거제면 법동리 산달도[8] 현 지명 거제시 동부면 탑포리[9] 현 지명 거제시 동부면 가배리. 탑포와 오아포 두 포구는 직선상으로 3km 떨어져있다.[10] 현 지명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11] 현 지명 통영시 문화동, 1618년 고성현 두룡포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