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잡전
鷄林雜傳
신라 중대의 진골 역사학자 김대문이 저술한 설화집. 계림은 신라, 즉 크게는 8세기 기준 한반도 전체, 혹은 신라의 수도 서라벌 일대의 별칭으로 고중세 한국의 잡다한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으로 추정된다. 약 400여년이 지난 고려 중기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쓸 때까지는 분명히 남아있었으나 이후 어느 시점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김대문 열전에서는 김대문이 화랑세기, 고승전, 악본, 한산기를 썼다고 하고, 계림잡전 얘기는 빠져 있다. 계림잡전에 대해서는 이차돈 순교 때 흰 피가 나왔다는 부분을 설명할 때 "계림잡전엔 이렇게 써 있는데, 김용행이 지은 아도화상비의 기록과는 다르다"는 부분에서 등장한다. 즉 계림잡전이라는 책은 김부식 시대에도 전하고 있었지만, 유교적 관점에서 터무니없는 괴력난신을 말하는 이 책을 김대문의 저술 목록에서 고의로 제외했다고 보는 주장이 있다.[1]
삼국사기에서는 언급되는 이 책이 의외로 코드가 맞을법한 삼국유사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데, 김부식 시대와 일연 시대 사이에 여몽전쟁이 있었으므로 이 때 소실되었거나, 인용했지만 출처를 밝히지 않았을 수도 있다.
1. 신라의 사서
1. 신라의 사서
신라 중대의 진골 역사학자 김대문이 저술한 설화집. 계림은 신라, 즉 크게는 8세기 기준 한반도 전체, 혹은 신라의 수도 서라벌 일대의 별칭으로 고중세 한국의 잡다한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으로 추정된다. 약 400여년이 지난 고려 중기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쓸 때까지는 분명히 남아있었으나 이후 어느 시점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김대문 열전에서는 김대문이 화랑세기, 고승전, 악본, 한산기를 썼다고 하고, 계림잡전 얘기는 빠져 있다. 계림잡전에 대해서는 이차돈 순교 때 흰 피가 나왔다는 부분을 설명할 때 "계림잡전엔 이렇게 써 있는데, 김용행이 지은 아도화상비의 기록과는 다르다"는 부분에서 등장한다. 즉 계림잡전이라는 책은 김부식 시대에도 전하고 있었지만, 유교적 관점에서 터무니없는 괴력난신을 말하는 이 책을 김대문의 저술 목록에서 고의로 제외했다고 보는 주장이 있다.[1]
삼국사기에서는 언급되는 이 책이 의외로 코드가 맞을법한 삼국유사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데, 김부식 시대와 일연 시대 사이에 여몽전쟁이 있었으므로 이 때 소실되었거나, 인용했지만 출처를 밝히지 않았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