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상버스
1. 개요
저상버스의 반대말. 보통은 계단이 2개 이상인 버스를 말한다.[1] 전통적인 버스의 형태다. 대부분의 버스가 이에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버스라고 말하기도 한다.[2]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이 문서에서 칭하는 고상버스는 일반적인 버스의 형태인 표준지상형과 고속버스 등에서 볼 수 있는 고상형으로 나뉘어지는 것이 맞다. 영어 명칭으로 High-Decker(= HD, 고상), Standard Decker(= SD, 표준지상), Low Decker(= LD, 저상)으로 구분이 되기 때문이다. 고상, 저상, 표준지상에서의 상이 차량의 실내 바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저상버스와 다르게 대다수의 부품이 국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이 싸다. 또 저상버스와 달리 바닥이 긁히거나 많이 태워도 차체가 내려앉는 등[3] 의 일이 없고 험한 길에도 다닐 수 있어서 웬만한 버스 노선에 다 다닐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계단이 있기 때문에 타고 내리기가 불편하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휠체어의 영원한 원수가 무엇인지 한 번 생각해 보자. 천연가스버스인 경우에는 문제점이 더 생긴다. 저상버스는 가스통이 지붕 위에 있지만 고상버스는 바닥 아래에 있기 때문에[4] 폭발사고에 더 위험하다. 또 타이어 폭발 사고는 고상버스에만 일어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가스통이 바퀴 앞을 가로막고 있어서 통풍이 안 되기 때문이라고 하나 아직까지는 확인된 것은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쿠리치바 등 일부 도시의 BRT는 고상버스를 투입하되, '''정류장 자체를 고상홈으로 만들어서''' 어떻게든 저상버스의 효과를 보도록 만들어서 해결했다. 다만 이렇게 만들 경우 호환성이 망해버리고, 그걸 건지려면 계단이 결국 생겨버리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게다가 기껏 만든 고상홈이 계단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휠체어 리프트 등을 장착해 극복하려는 시도도 있지만, 이건 관련 장비 가격이 수 천 만 원에 달해 보편화에는 무리가 있다.
2. 구분
3. 현황
3.1. 시내버스
우리나라는 주로 도시형 2계단 고상버스를 시내버스로 운행한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굴리고 있는 차종은 길이가 약 11m인 뉴 슈퍼 에어로시티, 10.6m인 자일대우상용차 BS106이다. 저상버스를 도입하고 있지만 비싼 가격과 유지비, 험한 길 때문에 도입률은 목표치에 못 미치게 미미한 실정이여서 아직까지는 고상버스가 주류다.
반면에 다른 나라들은 고상버스 대신에[5] 초저상버스만을 도입하고 있다. 또 고상버스를 시내버스로 생산하지 않는 나라도 많다.[6]
하지만 우리나라는 환경적인 이유와[7]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8] 고상버스를 시내버스로 계속 굴리고 있다. 초저상버스는 부품의 국산화율이 상대적으로 낮고[9] 또한 국산품이라 하여도 일반 차량보다 특수한 구조로 인해 고가의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여전히 비싸고 가격이 조금 싸다고 하는 준저상버스도 자일대우버스 BC, 준저상버스 도입 문제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꿈도 희망도 없는 상태여서 교통약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희망고문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3.2. 마을버스
위에서 말한 시내버스로 많이 쓰는 2계단 고상버스에서 길이를 9m로 줄인 고상버스를 주로 운행하고 있다. 이에 해당되는 우리나라의 차종은 현대 그린시티, 현대 에어로타운, 자일대우상용차 BS090이 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이 모델을 대체할 수 있는 초저상, 준저상 차종은 아직 없다. 2002년에는 서초구 마을버스에 휠체어리프트가 달린 고상버스가 운행한 적이 있다. 이 차량은 이후 서초 18번 청암운수의 차량으로 투입되어 2011년까지 운행되다 대차되었다. 냉정하게 말해서 중형급에 저상버스가 나와도 대부분 마을버스 회사들은 열악한 규모의 영세 업체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선뜻 뽑기 힘들다.[10]
3.3. 시외버스
보통은 3계단 이상인 고속형 고상버스로 운행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주로 HD 아니면 SD급 모델로 운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저상화 혹은 고상형이라도 리프트를 달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 순수 고상버스로만 다니고 있기 때문에 휠체어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 따위는 전무한 상태다. 자세한 것은 시외버스 휠체어 탑승 문제 문서를 참조.
[1] 계단이 2개지만 바닥이 낮은 버스(상면지상고 740 mm 내외)는 도시형 저상이라고 말한다.[2] 일반버스라는 말은 무엇이 일반인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저상버스도 일반버스가 될 수 있다.[3] 부산 87번과 대구 401번이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고상버스로만 운행하고 있다.[4] 사실 마음만 먹으면 고상버스도 지붕 위에 가스통을 올릴 수는 있고, 실제로 시도되었지만 전복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려되었다. 전장이나 전폭에 비해 전고가 너무 높아지면 위험성은 당연히 올라간다. 한국GM 다마스가 대표적이다.[5] 선진국은 고상버스 시내버스가 완전히 퇴역된 나라가 대부분이다.[6] 미국/일본은 고상버스를 시내버스로 생산하지 않는다. 초저상버스만 시내버스로 생산 된다.[7] 초저상버스는 차체가 일반 고상버스보다 낮기 때문에 험로, 험지나 가파른 고갯길 등에서 함부로 못 굴리고 과속방지턱을 잘못 넘어가면 범퍼가 긁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산이 저상버스 보급률이 타 광역시에 비해 낮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8] 지방공기업이 시내버스 운영을 맡는 선진국과 달리 일부 메이저 업체를 제외하면 대부분 영세 업체들이다.[9] 현재 핵심부품인 초저상형 차축의 경우 2012년 경 국산화되었다. 과거에는 한국제 초저상버스의 경우 거의 독일 ZF 사의 제품을 탑재하였다.[10] 그린시티/BS090 급이 운행할 만한 노선에 재정문제로 카운티/레스타 급이 들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