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전거

 

1. 개요
2. 대한민국
3. 외국


1. 개요


자전거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빌려주고 반납하는 체계를 갖춘 근거리 대중교통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인의 운동 오락 레저용으로 사용하는건은 안된다. 시민의 편의를 추구하고 대중교통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관련 정책이 추진된다.

2.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전거를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갖추고 있는곳에 비해 체계적인 대여 - 반납 시스템을 갖춘곳은 의외로 적다. 관리가 안되는 경우 비양심적인 사람들이 훔쳐가서 도색만 바꿔 자기 것인 마냥 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1]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들면 단거리 수요를 확실히 잡기 때문에 경쟁 대상이 되는 대중교통인 버스택시의 매출에 타격을 입힐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2] 그러나 관리 부족으로 이용가능한 멀쩡한 자전거가 극히 부족한 경우도 있다. 또한 시스템상의 허점으로 반납이 불편해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던가[3], 빌리는 곳이 많지 않아서 그림의 떡인 곳도 있다. 심한 경우 시민들이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지형상의 문제로 경사가 심해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곳도 있다.
다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공공자전거 중에서 이용객,이용률등에서 최다 성과를 이룬다고 평가받는 창원시누비자조차도 적자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자전거를 험하게 쓰다보니 수리비용으로 나가는 돈이 만만찮다.

3. 외국


  • 미국
  • 중국[6] : 정확하게 말하면 공공자전거가 아니라 민간기업에서 운영 중인 자전거 셰어링 서비스이다.
    • 오포(ofo)
    • 모바이크(mobike)[4]
    • 블루고고[5] 등.
  • 일본 : 전부 민간 사업자이며 이외에도 전국적으로 많은 사업자들이 있다.
    • 도코모 바이크쉐어
    • HELLO CYCLING[7]
    • PiPPA
    • COGICOGI
  • 대만 : 유바이크(U-Bike)
  • 영국 런던 : 산탄데르 사이클(Santander Cycle)
  • 프랑스 파리 : 벨리브(Velib)
  • 독일 : 콜어바이크(Call a Bike)[8]
  • 포르투갈 리스본 : 지라(Gira)
  • 캐나다 몬트리올 : 빅시(Bixi)
  • 싱가포르 : 오바이크(oBike)
  • 멕시코 멕시코시티 : 에코비시(ecoBici, 정부운영), 브이 바이크(V-Bike, 민간 운영)

[1] 가장 최악의 사례 중에서 '양심자전거'라는 것이 있었다. 진짜 양심에 맡겼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자전거 무료 나눔한 꼴이 되어버렸다.[2] 창원시누비자, 고양시피프틴의 경우가 있다.[3] 서울특별시의 경우 같은 서울시내임에도 불구하고 구가 달라져 반납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목적지 근처에서 먼 곳에서 반납하게 되어 많이 불편해진다.[4] 현재는 여러 국가에 서비스 중이지만, 시작은 스타트업이었다.[5] 2016년 11월에 설립되어 2017년 11월에 파산했다가 디디추싱에게 인수되어 현재는 디디추싱이 관리중이다.[6] 이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자전거 셰어링 업체가 있지만, 어느샌가 인기가 식어서 엄청난 수의 업체들이 부도나고 있다.[7] 소프트뱅크 계열[8] 도이체반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 철도역을 중심으로 독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이용이 가능하다.